본문 바로가기

가족생활교육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10. 가족생활교육의 기본 가정

728x90
반응형

10. 가족생활교육의 기본 가정

1) 가족생활교육에 대한 기본 가정 및 전제


⑴ 개인ㆍ가족ㆍ사회의 유기적 연결
인간은 개별존재일 뿐만 아니라 동시에 사회적 존재이고, 자신의 정신적 존재를 문화 속에서 또 문화를 통
해서 발전시켜 나간다.
가족은 사회의 기본 공동체로서 독자적인 특성을 갖고 있는 동시에 국가 또는 사회와 갚은 연관을 가지고
관습, 도덕, 법률이라는 사회적 가치에 의해 외부 시계의 제재를 주고받는다.

 

⑵ 교육이 갖는 가변성과 적시성
모든 인간은 성장 잠재력이 있으며, 모든 관계도 더 나은 동반자적 관계로 나아갈 수 있는 성장 가능성이
있다.

 

⑶ 결혼과 가족에 대한 규범적 가치 지향
우리나라를 포함한 많은 사회에서 남녀 간의 영원한 결혼관계는 부부들이 바라는 규범으로, 법적으로나 종
교적으로 인정된 결혼은 대부분 부부가 선호하는 삶의 형태이다.
부부들이 자신들이 바라는 삶을 살 수 있도록 사회가 지원해야 한다.
결혼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해 직면할 수 있도록 국가가 지원해야한다.

 

⑷ 가정생활에서의 평등성
성역할 고정관념이나 남녀차별 의식 없이 가정생활은 누구에게든 평등한 삶의 역역이라는 것을 인지하게
해야 한다.
가족원의 상황이나 조건에 따른 평등을 지향하면서 남녀 모두가 가정생활의 다양한 영역의 역할들을 수행
할 수 있는 자립적인 생활인으로 성장해 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⑸ 건강한 결혼ㆍ가족관계 교육 가능성
건강한 결혼과 가족관계를 배울 수 있는 방법이 있다.

가족 내에서 이루어지는 비공식적인 가족생활교육 외에도 결혼과 가족에 대한다양한 정보를 전달하고 가치
를 확립하며 기술을 습득하는 기회를 제공한다면 건강하고 지속적인 결혼ㆍ가족관계를 유지에 도움을 줄 수있다.

 

⑹ 가족문제의 예방
가족생활교육은 문제가 발생한 뒤 해결하기 위한 치료보다는 예상할 수 있는 문제나 어려움에 대해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는 규범적 발달뿐만 아니라 특이발달의 상황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⑺ 개인과 가족의 실제적 삶과 가족과 사회의 부적합성에 대한 관심
가족생활교육은 개인과 가족이 갖는 이상과 현실의 차이 속에서 그들은 어떤 사회문제를 경험하며 살고 있
는지, 그 실제적 삶을 통해 통찰하여야 하며,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가족과 사회의 부적합성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한다.


⑻ 개인과 가족의 자조적 잠재력 개발 조력
가족생활교육은 개인과 가족이 그 잠재력을 통해 스스로 가족문제의 해결방법을 찾아 잘 해결하고 가족문
제의 예방에 대한 대처 능력을 길러주고자 한다.

 

2) 교육을 위한 가정과 효율적인 방안(ACME)
⑴ 한 사람의 인간으로서 배우자 자신과 다른 배우자를 위해 부부들은 그들의 관계에 대해서 긍정적인 성장
을 지향한다.
⑵ 배우자들은 서로 간에 기꺼이 변화하려는 체계적이고 역동적인 개방적 구조를 가진다.
⑶ 교육은 배우자가 의도적으로 동료관계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다.
⑷ 구조적이고 일정한 순서에 입각한 특별한 기술과 태도를 가르치는 교육적이고, 경험적인 접근법을 지향한다.
⑸ 교육은 역기능적 인간관계를 줄일 수 있게 부부를 지원하는 예방적 접근이다.
⑹ 부부는 개인으로서의 발전과 부부가 관계에서 상호협력하는 체계로 기능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개인
의 성장과 관계의 성장 간의 균형을 이루게 한다.
⑺ 친밀감과 양육의 발달은 의사소통, 갈등해결, 원가족의 영향 등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⑻ 평생 과정으로서의 결혼향상(marriage enrichment)과 성장이 중요하다.
⑼ 집단 경험을 통한 부부간의 상호지지가 중요하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