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족생활교육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4. 현대 한국 가족의 특징

728x90
반응형

4. 현대 한국 가족의 특징

 

 

1) 인구구조의 변화


⑴ 인구 피라미드 모형의 변화
1965년의 전형적인 피라미드형에서 2015년에는 가운데가 두터운 항아리형으로 변하였으며, 이후 점차
60세 이상이 두터워지는 역삼각형으로 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⑵ 인구성장률의 변화
2000년 0.84%, 2017년 0.28%까지 둔화되었으며, 2029년부터 마이너스로 전환, 2067년에는 -1.26%
수준에 도달할 전망임.
최근 ('15~'20) 한국의 인구성장률은 비교국 중 일본보다는 높으나, 중국, 인도, 프랑스, 미국, 영국보다는
낮은 수준임.

 

⑶ 연령계층별 인구 구조
저출산의 영향으로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2018년을 정점으로 감소할 전망임.
인구의 고령화가 진전됨에 따라 총인구중 65세 이상 비율은 1970년 3.1%→ 2008년 10.2%→ 2025년
20.3%→ 2036년 30.5%→ 2051년 40.2%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2017년에는 생산연령인구(15~64세) 1백명당 부양할 인구는 2017년 36.7명(노인 18.8명)에서 계속 높아져
2067년 120.2명(노인 102.4명)까지 증가할 전망임.

 

 

2) 혼인율 및 출산율의 변화

 

⑴ 혼인율의 감소
2018년 혼인건수는 25만7천6백건으로 전년보다 2.6%(6천8백건)감소함.
조혼인율(인구 1천명당 혼인건수)은 5.0건으로 전년대비 0.2건 감소함.
남녀 모두 초혼인 부부는 전체 혼인의 77.6%, 남녀 모두 재혼은 11.9%임.
평균 초혼연령은 남자33.2세, 여자 30.4세 남녀모두 전년대비 0.2세 상승함.

⑵ 출산율의 감소
2018년 총 출생아 수는 32만 6천 8백 명으로 전년보다 8.7% 감소함.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0.977명으로 전년(1.052명) 보다
0.075명 감소함.

3) 고령화와 노인단독 가구의 변화


⑴ 고령화의 증가
노년부담비 증가는 노인인구 부양을 위해 생산가능인구의 조세, 사회보장비 부담 증가로 세대간 갈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음.
연금 수급권자 증가에 따른 연금재정 위기, 노인의료비 증가에 따른 건강보험 재정 불안 등 젊은 세대의
경제적 부담 증가가 초래됨.
전통적 가족문화 약화에 따른 노인의 사회적 부양책임 문제가 대두 됨.

⑵ 노인단독가구의 증가
독거노인들은 경제적 또는 건강상 어려움뿐 아니라 정신건강 측면에서도 매우 취약함.
한국은 OECD 국가들 중 노인 자살률이 높은 국가이며, 이 중 독거노인의 자살률은 더 높음.
한국의 독거노인비율은 1990년 8.9%에서 2000년 16.0%, 2018년 19.4%로 점차 증가하고 있음.

4) 자녀양육방식의 변화


⑴ 보육시설 및 보육아동 수(2015~2018년)의 변화
전체 어린이집수는 '18년말 기준 39,171개소로 '17년 대비 2.7% 감소함.
  ('17년 : 40,238개소→  '18년 : 39,171개소)
국공립어린이집이 차지하는 비율은 9.2%(3,602개소)임.

어린이집 이용 아동수는 '18년말 기준 1,415,742명으로 '17년 대비 2.4% 감소함
  ('17년 : 1,450,243명 → '18년 : 1,415,742명)
국공립 어린이집에서는 14.2%(200,783명), 민간과 가정 어린이집에서 71.6%(1,013,883명)를 보육하고
있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