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가족의 다양한 정의
1) 전통적 시각의 정의
⑴ Murdock(1949)
∙ 가족은 공동의 거주, 경제적 협력, 그리고 재생산에 의해 특정되는 사회집단이다. 이것은 사회적으로 인정
받은 성적 관계를 유지하는 최소한의 두 성인남녀를 포함하며, 한 명 또는 그 이상의 자녀들과 입양된 자녀
를 포함한다.
⑵ Coser(1964)
∙ 가족은 조직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집단이다. 즉 이러한 조직은 결혼에서 발견되며, 남편과 아내, 그리고 그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로 구성된다. 그러나 다른 친척들이 이러한 핵집단에 가까이 있음을 발견할지도 모른다.
그리고 이 집단은 도덕적, 법적, 경제적, 종교적, 그리고 사회적 권리와 의무(사랑, 매력, 충성심, 두려움과 같
은 사회적으로 유형화된 감정은 물론 성적 권리와 금지를 포함)에 의해 통합된다.
⑶ 유영주(1985)
∙ 가족은 부부와 그들의 자녀로 구성되는 기본적인 사회집단으로서, 이들은 이익관계를 떠난 애정적인 혈연집
단이며, 같은 장소에서 기거하고 취사하는 동거동재집단이고, 그 가족만의 고유한 가풍을 갖는 문화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가정생활을 통하여 인간의 기본적 인성이 형성되므로 인간발달의 근원적 집단이기도 하다.
⑷ Lamanna & Riedmann(1991)
∙ 혈연, 결혼, 입양 등에 의해 이루어진 관계로 성원들이 서로 몰입되어 있고, 동거, 경제적 단위의 형성, 자
녀양육 등의 기능을 하며, 집단(가족)의 정체성을 형성한다.
⑸ Schwartz & Scott(1944)
∙ 혈연, 결혼, 입양, 동거 등에 의해 이루어진 관계로 여타 사회집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성원들 간에 경제적 또는 정서적 지원을 제공하는 집단이다.
⑹ 조흥식(2002)
∙ 부부와 그들의 자녀로 구성되는 기본적 사회단위로서 구성원들은 이익관계를 초월한 애정에 기초한 혈연집
단이며, 같은 장소에서 기거하고 취사하는 동거동재집단이고, 그 가족만의 고유한 가풍을 갖는 문화집단이며,
양육과 사회화를 통하여 인격형성이 이루어지는 인간발달의 근원적 집단임과 동시에 사회변동과 함께 의도적
인 정치적 개입에 의해 변화하며, 그러한 변황 대해 역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사회제도의 하나이다.
2) 현대적 정의
⑴ Schulz(1977)
∙ 가족이란 한 복잡한 변수로서, 생물학적 요구에 기인하는 보편적 구조도 아니며, 종교적 또는 문화적 신조
에 기반 한 보편적 규범의 이념일 수도 없다. 가족이 사회적 필요성에 기인하는 정도만큼, 이것은 우리들을
기성문화에 적응시키는 한편, 무엇이 바람직한 가족인가에 대해 우리에게 변화하는 개념을 부여한다.
⑵ Olson & DeFrain(1994)
∙ 가족이란 둘 또는 그 이상의 가족원들이 서로 돕고 몰입되어 있으며, 애정과 친밀감, 가치관과 의사결정 그리고 자원을 서로 나누는 집단.
⑶ 미국 Heritage 사전(1982)
∙ 한 지붕 밑에 가구를 형성하고 있는 집단
'가족생활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6. 가족생활교육의정의 (4) | 2023.09.18 |
---|---|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5. 가족의 변화 요인 (4) | 2023.09.17 |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4. 현대 한국 가족의 특징 (2) | 2023.09.16 |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3. 가족의 기능 (3) | 2023.09.15 |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1. 가족을 보는 관점 (3) | 2023.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