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족을 보는 관점
1) Giele(2003)의 세 가지 관점
⑴ 전통적 관점
∙ 이상적 가족모델: 두부모 가족
① 사회변화의 원인: 문화적 도덕성 약화와 종교심 약화
② 해결책
- 결혼을 제도화
: 가족의 가치회복
- 문화적 접근
: 일, 물질소비, 혹은 여가생활보다 상대적으로 가족활동에 우선권 부여
- 정부 정책
: 십대 임신 예방운동, 전업주부를 위한 지지집단, 무책임한 출산을 하는 젊은이 제재정책
- 두부모 가족 회복
: 혼외출산을 줄이고 아버지의 존재감 강조, 자녀를 위해 결혼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부부 지원
⑵ 자유주의적 관점
∙ 이상적 가족모델
: 경제적으로 안정된 가족
① 사회변화의 원인
: 시장경제체제의 변화
② 해결책
- 정부 주도의 안전망 확충: 여성고용촉진, 빈곤의 효과 완화, 여성과 아동의 경제적 안전성 확충
- 기회제공: 평등한 기회제공, 다음 세대의 건강한 출산을 위한 기회 제공
- 물질적 빈곤가족 정책: 건강보험, 직업훈련, 빈곤 직장여성 세금혜택 지원 등
- 시간빈곤의 대체수단 지원: 부모휴가 등
⑶ 여성학적 관점
∙ 이상적 가족모델: 여성의 자율성에 기초해 돌봄과 노동의 가치가 강조되는 대안적 가족
① 사회변화의 원인: 지역사회의 상실
② 해결책
- 사회적 지원망 유지·구축: 자원봉사집단, 이웃, 지역사회 등
- 전생애주기를 통해 남녀 모두가 양육 역할에 대해 유연성을 가지고 여성과 남성의 교육과 고용을 증진
- 여성을 위한 최소 임금 수준을 높이고, 높은 임금의 남성 위주의 직업에 쉽게 접근하도록 돕고, 직업훈련 지원
2) 긍정적 견해와 부정적 견해
⑴ 긍정적(낙관적) 견해
∙ 가족의 중요성과 현실성을 강조
① 가족
: 사회체제 유지를 위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제도
② 결혼
: 사회를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이고 긍정적 요소
- 배우자나 자녀로부터의 감정적 지원과 경제적, 정서적 보살핌은 건강과 행복을 유지하는 비결
③ 출산
- 부부가 부모가 되면 자녀들에게 사회질서를 도모하여 체제의 안정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가치관
을 내면화시킴
- 사회체제가 개인들에게 요구하는 인성 형성
- 그들이 수행해야 할 역할 교육
⑵ 부정적(비판적) 견해
∙ 가족을 더 이상 특별한 기능이 없는 제도로 변화되었다고 봄
① 가족
: 자본주의를 위한 노동력과 자본주의적 가치와 관계를 재생산하는 단위
② 가족이 자본주의 사회구조와 남성지배사회를 유지시키는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있다고 바라봄
3) 가족의 특성
(1) 가족은 일차적 집단이다 vs 이차적 집단 : 사회, 조합, 국가
(2) 가족은 공동사회집단(게마인샤프트: gemeinscaft)이다 Vs 게젤샤프트(gesellschaft) : 정당, 사회, 집단
(3) 가족은 폐쇄적 집단이다 vs 개방적 집단
(4) 가족은 형식적 집단이나, 가족관계는 비형식적 · 비제도적이다
'가족생활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6. 가족생활교육의정의 (4) | 2023.09.18 |
---|---|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5. 가족의 변화 요인 (4) | 2023.09.17 |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4. 현대 한국 가족의 특징 (2) | 2023.09.16 |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3. 가족의 기능 (3) | 2023.09.15 |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2. 가족의 다양한 정의 (3) | 2023.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