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기관

자동차상식 + 자동자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48강. 독립형 분사펌프

728x90
반응형

48강. 독립형 분사펌프

 

가. 펌프 하우징(pump housing)
펌프 하우징은 분사펌프의 주 몸체부분이며, 위쪽에는 딜리버리밸브와 그 홀더가 설
치되어 있으며 중앙부분에는 플런저 배럴, 플런저, 제어래크, 제어 피니언, 제어 슬리
브, 스프링, 태핏 등이, 아래쪽에는 캠 축이 설치되어 있다.

 

나. 캠축과 태핏
(1) 캠축(cam shaft)
분사펌프 캠축은 크랭크축 기어로 구동되며, 4행정 사이클 기관은 크랭크축의 1/2로
회전하고, 2행정 사이클 기관은 크랭크축 회전속도와 같다. 캠축에는 태핏을 통해 플런 저를 작용시키는 캠과 공급펌프 구동용 편심륜이 있고, 양쪽에는 펌프 하우징에 지지하
기 위한 베어링이 끼워져 있다. 캠의 수는 실린더 수와 같고 구동부분에는 타이머가, 다
른 한쪽에는 조속기가 설치되어 있다.

(2) 분사펌프 태핏(tappet)
분사펌프의 태핏은 펌프 하우징 태핏구멍에 설치되어 캠에 의해 상하운동을 하여 플
런저를 작동시킨다. 구조는 캠과 접촉하는 부분은 롤러로 되어 있고, 롤러는 태핏에 부
싱과 핀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헤드부분에는 태핏간극 조정용 스크루가 있다.

태핏 간극
플런저가 캠에 의해 최고 위치까지(상사점) 밀어 올려졌을 때 플런저 헤드부분과 배럴 윗면과
의 간극이며 약 0.5mm 정도이다.

다. 플런저 배럴과 플런저
펌프 하우징에 고정된 플런저 배럴 속을 플런저가 상하 미끄럼 운동하여 높은 압력의
연료를 형성하는 부분이다.3


라. 플런저 회전기구(연료 분사량 조절기구)
플런저 회전기구는 연료 분사량을 조절하는 가속페달이나 조속기의 움직임을 플런저
로 전달하는 기구이며, 제어래크, 피니언, 슬리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의 전달과정은 가속페달을 밟으면 제어래크 → 제어 피니언 → 제어 슬리브 →
플런저 회전(연료 분사량 변화)순서로 작동한다.


마. 딜리버리밸브(delivery valve : 송출밸브)
딜리버리밸브는 플런저의 상승행정으로 배럴 내의 압력이 규정 값(약 10kg/cm2)에
도달하면 이 밸브가 열려 연료를 분사파이프로 압송한다. 그리고 플런저의 유효행정이
완료되어 플런저 배럴 내의 연료압력이 급격히 낮아지면 스프링 장력에 의해 신속히 닫
혀 연료의 역류(분사노즐에서 펌프로의 흐름)를 방지한다. 또 밸브 면이 시트에 밀착될
때까지 내려가므로 그 체적만큼 분사 파이프 내의 연료압력을 낮춰 분사노즐의 후적을
방지하며, 분사파이프 내에 연료의 잔압을 유지시킨다.


바. 조속기(governor)
자동차용 디젤기관은 그 사용조건의 변화가 커 부하 및 회전속도 등이 광범위하게 변 동하므로 오버 런(over run)이나 기관의 작동정지를 일으키기 쉽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
여 분사펌프에 조속기를 두고 자동적으로 연료 분사량을 가감하여 운전을 안정시킨다.
즉, 최고 회전속도를 조절하고 동시에 저속운전을 안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사. 연료 분사량 불균율
실린더 수가 많은 기관에서 각 실린더마다 연료 분사량의 차이가 생기면 폭발압력의
차이가 발생하여 진동을 일으킨다.
불균율 허용범위는 전부하 운전에서는 ±3%, 무부하 운전에서는 10~15%이다. 연료
분사량 불균율은 다음의 공식으로 산출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