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자동차기관

자동차상식 + 자동자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104강. 연료전지 자동차의 구조 2 104강. 연료전지 자동차의 구조 2 (2) 연료전지의 분리판(separator) 분리판이란 연료전지의 전극 셀을 구획 짓기 위한 부재로서 연료가스와 공기를 차단하 는 역할을 하며 분리판의 양쪽에는 연료극(Anode)과 공기극(Cathode)이 배치된다. 분리판은 연료가스와 공기를 차단하는 역할 이외에 연료가스와 공기의 유로확보, 전 기 전도성, 내식성, 열전도성 둥이 요구되는 부재이다. 분리판은 연료가스와 공기를 전극에 균일하게 공급하기 위한 유로인 홈(채널)이 파여있고, 보통 분리판 양쪽은 Anode측과 Cathode측이 되어있다. 또한 분리판은 전극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과 반응열에 의하여 화학적으로나 물리적 으로 변화하지 않아야 하며, 더욱이 외부회로에 전류를 흘리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흑 연이나,.. 더보기
자동차상식 + 자동자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103강. 연료전지 자동차의 구조 103강. 연료전지 자동차의 구조 자동차용으로 사용하는 고체고분자형 연료전지(PEFC)는 사용연료, 연료의 저장수 단, 개질방식으로 분류되는 외에, 동력시스템으로서 보조전원과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형태가 시도되고 있다. 연료전지 자동차의 주요 구성품을 시스템별로 크게 분류하면 연료전지 시스템, 보조 전원시스템, 전기변환 시스템, 수소저장 시스템으로 나눌 수 있다. 가. 연료전지자동차 기본 구성 연료전지자동차는 연료전지 스택, 연료전지 주변장치 (공기압축기, 열교환기 등), 연 료공급 장치, 보조동력원, 그리고 모터 및 모터 제어기로 구성되어 있다. 연료전지 자동차의 구성품을 좀 더 기능별로 세분하여 보면 스택, 운전장치, 모터 및 감속기, 전력변환기, 수소탱크, 배터리 및 제어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 더보기
자동차상식 + 자동자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102강. 연료전지의 종류 및 특징 102강. 연료전지의 종류 및 특징 연료전지자동차는 연료전지 종류, 사용하는 연료, 연료 개질방법, 연료 저장방법, 보 조 동력원의 종류 등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연료전지로는 고분자전 해질 연료전지(PEMFC), 인산 연료전지(PAFC), 알칼리 연료전지(AFC), 직접메탄올 연 료전지(DMFC) 등이 있지만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가 출력밀도, 상온작동성, 내충격 성, 수명 등이 다른 연료전지에 비해 우수하기 때문에 현재 가장 많은 주목을 받고 있 다. 즉,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는 효율이 높고 전류밀도 및 출력밀도가 크며 시동시간 이 짧은 동시에 부하변화에 대한 응답특성이 빠른 특성이 있다. 특히 전해질로 고분자 막을 사용하므로 부식 및 전해질 조절이 필요 없고, 기존의 확립된 기술인 .. 더보기
자동차상식 + 자동자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101강. 연료전지의 기본 구성 101강. 연료전지의 기본 구성 연료전지의 구성단위를 셀(Cell, 단전지라고도 한다)이라 하며, 셀은 그림과 같이 플 러스의 전극판(공기극)과 마이너스의 전극판(연료극)이 전해질을 포함한 층을 겹친 샌 드위치와 같은 구조를 하고 있다. 공기극과 연료극에는 수많은 세밀한 구멍이 나 있고, 여기를 외부에서 공급된 공기 중 약 20 %의 산소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공기가 통과함에 의해 반응이 일어난다. 수소는 전해질을 접촉하는 면까지 들어가 있어서 전자를 유리하여 수소 이온이 되고 전자는 밖으로 나가버린다. 전해질을 통과한 수소 이온은 반대측의 전극에서 보내진 산 소와 외부에서 전선을 통해 돌아온 전자와 반응해서 물이 된다. 이러한 전자와 이온으 로 분리되는 시점이 연료 전지의 원리 중 가장 중요한 점이다... 더보기
자동차상식 + 자동자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100강. 연료전지의 개요 및 원리 100강. 연료전지의 개요 및 원리 가. 개요 연료전지의 개발 역사는 지금으로부터 150년전 1839년 영국의 과학자 William Groves 가 연료전지에 의한 발전실험에 성공한 것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실험실에서 간단하 게 할 수 있는 수준에서 실용 레벨이 될 때까지 상당히 오랜 시간이 필요하였다. 연료전지가 실용 수준이 된 것은 1960년대에 미국의 제미니 아폴로 우주선의 전원용 으로 개발되면서 부터이다. 아폴로 11호가 인류 최초로 달에 착륙하던 때, 그 우주선의 전원은 연료전지뿐 이었다. 순수소와 순산소를 원료로 하는 연료전지는 현재 스페이스 셔틀에도 탑재되어 가동 중에 있다. 연료전지가 유인 우주선의 전원으로 사용된 이유는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다른 것에 비하여 가볍고, 회전부분이 없어서 .. 더보기
자동차상식 + 자동자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99강. CNG엔진의 구성 5 99강. CNG엔진의 구성 5 카. 맵센서(MAP) (1) 장착위치 : 흡기다기관 (2) 흡기압 센서는 압전소자 식, 흡기온도센서는 가변저항기 식으로 되어 있다. (3) 엔진으로 공급되는 최종적인 공기량이므로 엔진 ECU는 맵센서(MAP)의 신호를 기준으로 연료량을 결정한다. (4) MAP센서값은 악셀페달 개도량과 비슷한 출력특성을 보인다. TPS센서(악셀페달) 는 전압 값으로 나타나고, MAP 센서는 압력값으로 나타나지만 그 2개의 출력특성은 비 슷한 모양을 가지게 된다. 하이스캔 그래프 기능으로 확인하면 매우 쉽다. 타. 산소센서(UEGO Sensor) (1) 장착위치 : 배기다기관 (2) 기능 : 배출가스의 산소농도를 측정한다. ECU는 산소센서로부터 공연비를 얻어 요구하는 공연비가 되도록 연료량을.. 더보기
자동차상식 + 자동자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98강. CNG엔진의 구성 4 98강. CNG엔진의 구성 4 사. 터보차저 (1) 배기외장형 액추에이터 ① 터보차저 외부에 설치 ② 과열로 인한 작동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엔진 냉각수가 공급됨 ③ 고장시 터보차저 어셈블리를 교환하지 않아 정비 및 유지비용 감소 ④ 웨스트게이트 컨트롤 밸브에서 공급하는 에어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방식 ⑤ 약1.8bar의 에어를 공급하여 실제 작동유무를 확인가능 ⑥ 열림 고착은 지나친 바이패스로 출력부족 현상이 발생되며, 닫힘고착은 바이패스 를 하지못해 지나친 고출력과 터보차저 수명이 급격히 단축된다 (2) 안티써지 밸브 ① 터보차저 외부에 설치 ② 작동방식 : 흡기 메니폴드와 에어호스로 연결되어 흡기압력을 이용한 작동 ③ 급격한 감속시 터보차저 내부의 압력을 대기중으로 방출시켜 소음 및 터보차저 내 구성을.. 더보기
자동차상식 + 자동자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97강. CNG엔진의 구성 3 97강. CNG엔진의 구성 3 (2) 연료장치 시스템의 안전장치 (가) 가스실린더 1) 가스실린더는 인증 완료된 부품을 적용해야 하며, 3단계에 걸친 GAS 누출검 사를 실시한다. 2) 충돌사고에 대비하여 사이드 임팩트바 추가 및 차량 최 외벽에서 안전밸브를 210mm 격리시키므로서 안정성을 확보한다. (나) 기타 안전장치 1) 시동 스위치 : key 2단 ON시 LOCK OFF하여 밸브(고압, 저압) 작동으로 가 스공급 2) 충전 체크밸브 : 충전 시 가스역류 방지 3) 수동차단 밸브 : 엔진 정비 시 중간 차단 밸브 4) 가스실린더 하부 보호 장치 설치 5) 가스누출 시 배출용 구멍과 압력누출 측정기(PRD : Pressure Relief Device) : 화재 시 외부로 가스배출, 벤트 라인(ven..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