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상식 + 자동자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103강. 연료전지 자동차의 구조
103강. 연료전지 자동차의 구조 자동차용으로 사용하는 고체고분자형 연료전지(PEFC)는 사용연료, 연료의 저장수 단, 개질방식으로 분류되는 외에, 동력시스템으로서 보조전원과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형태가 시도되고 있다. 연료전지 자동차의 주요 구성품을 시스템별로 크게 분류하면 연료전지 시스템, 보조 전원시스템, 전기변환 시스템, 수소저장 시스템으로 나눌 수 있다. 가. 연료전지자동차 기본 구성 연료전지자동차는 연료전지 스택, 연료전지 주변장치 (공기압축기, 열교환기 등), 연 료공급 장치, 보조동력원, 그리고 모터 및 모터 제어기로 구성되어 있다. 연료전지 자동차의 구성품을 좀 더 기능별로 세분하여 보면 스택, 운전장치, 모터 및 감속기, 전력변환기, 수소탱크, 배터리 및 제어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
더보기
자동차상식 + 자동자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102강. 연료전지의 종류 및 특징
102강. 연료전지의 종류 및 특징 연료전지자동차는 연료전지 종류, 사용하는 연료, 연료 개질방법, 연료 저장방법, 보 조 동력원의 종류 등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연료전지로는 고분자전 해질 연료전지(PEMFC), 인산 연료전지(PAFC), 알칼리 연료전지(AFC), 직접메탄올 연 료전지(DMFC) 등이 있지만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가 출력밀도, 상온작동성, 내충격 성, 수명 등이 다른 연료전지에 비해 우수하기 때문에 현재 가장 많은 주목을 받고 있 다. 즉,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는 효율이 높고 전류밀도 및 출력밀도가 크며 시동시간 이 짧은 동시에 부하변화에 대한 응답특성이 빠른 특성이 있다. 특히 전해질로 고분자 막을 사용하므로 부식 및 전해질 조절이 필요 없고, 기존의 확립된 기술인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