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전자제어 가솔린 분사장치의 분류
전자제어 연료분사방식이란 각종 센서(sensor)를 부착하고 이 센서에 보내준 정보를
받아서 기관의 작동상태에 따라 연료 공급량을 컴퓨터(ECU)로 제어하여 인젝터(injector)를 통하여 흡기다기관에 분사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의 기관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① 공기 흐름에 따른 관성 질량이 작아 응답성이 향상된다.
② 기관의 출력이 증대되고, 연료 소비율이 감소한다.
③ 배출 가스 감소로 인한 유해 물질 배출 감소효과가 크다.
④ 연료의 베이퍼로크, 퍼컬레이션, 빙결 등의 고장이 적으므로 운전성능이 향상된다.
⑤ 이상적인 흡기다기관을 설계할 수 있어 기관의 효율이 향상된다.
⑥ 각 실린더에 동일한 양의 연료 공급이 가능하다.
⑦ 전자부품의 사용으로 구조가 복잡하고 값이 비싸다.
⑧ 흡입계통의 공기 누설이 기관에 큰 영향을 준다.
가. 전자제어 연료분사방식의 분류
(1) 인젝터 설치 수에 따른 분류
(가) MPI(multi point injection)
이 방식은 인젝터를 각 실린더마다 1개씩 설치하고, 흡입밸브 바로 앞에서 연료를
분사시킨다. 분사시기는 흡입행정 전 75° 부근이며 분사된 연료는 흡입구멍 근처에
서 흡입밸브가 열릴 때를 기다리는 동안 기화하며 흡입밸브가 열리면 흡입력에 의해
실린더 내로 들어간다.
(나) 실린더 내 가솔린 직접 분사방식
이 방식은 디젤기관과 같이 실린더 내에 가솔린을 직접분사하는 것으로 약 35~40
: 1의 초희박 공연비로도 연소가 가능하다. 연료 공급압력은 일반 전자제어 연료 분
사방식의 경우 약 3~6kgf/cm2인데 비해, 약 50~100kgf/cm2으로 매우 높으며, 실
린더 내의 유동을 제어하는 직립형 흡입포트, 연소를 제어하는 바울형 피스톤(bowl
type piston), 고압 연료 펌프, 스월 인젝터(swirl injector) 등이 사용된다.
'자동차기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공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34. 전자제어 가솔린 분사장치의 구성 2 (35) | 2023.06.17 |
---|---|
자동차공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33. 전자제어 가솔린 분사장치의 구성 1 (27) | 2023.06.16 |
자동차공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31. 가솔린의 노크 방지성 (9) | 2023.06.15 |
자동차공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30. 가솔린기관의 연소 (38) | 2023.06.14 |
자동차공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29. 가솔린 기관의 연료 (30) | 2023.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