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기관

자동차공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34. 전자제어 가솔린 분사장치의 구성 2

728x90
반응형

34. 전자제어 가솔린 분사장치의 구성 2

 

(3) 스로틀 보디(throttle body)
스로틀 보디는 공기흐름 센서와 서지탱크 사이에 설치되어 흡입공기 통로의 일부를
형성한다. 구조는 가속페달의 조작에 연동하여 흡기 통로의 단면적을 변화시켜 주는 스
로틀밸브, 스로틀밸브 축 일부에는 스로틀밸브의 열림정도를 검출하여 컴퓨터로 입력
시키는 스로틀 위치 센서가 있다. 스로틀 보디에는 형식에 따라 급 감속을 할 때에 스로
틀밸브가 천천히 닫히도록 하고 연료 공급을 일시 차단하는 대시포트(dash-port) 등이
설치되어 있는 형식이 있으며, 또 공전조절 서보(ISC-servo) 둔 형식도 있다.

(가) 스로틀위치센서(throttle position sensor)
① 접점방식 : 이 방식의 스로틀위치센서는 가속페달의 조작에 따라 스로틀축과 연결
된 가이드 캠에 의하여 작동하며 공전, 중속(가동접점) 및 고속(파워 접점)상태로
나누어지며 스로틀밸브의 열림정도(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은 정도)를 컴퓨터로
입력시킨다. 컴퓨터는 스로틀위치센서의 출력전압과 기관 회전속도 등 다른 신호
를 합하여 기관의 작동상태를 판정하고 연료 분사량을 조절한다.

② 가변저항 방식 : 이 방식의 스로틀위치센서는 스로틀밸브 축과 같이 회전하는 가
변 저항기로 스로틀밸브의 회전에 따라 출력전압이 변화하여 컴퓨터는 스로틀밸
브의 열림정도를 감지하고, 컴퓨터는 이 출력전압과 기관 회전속도 등 다른 입력
신호를 합하여 기관의 작동상태를 판단하여 연료 분사량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나) 공전속도 조절기(idle speed controller)
공전속도 조절기는 기관이 공전 태일 때 부하에 따라 안정된 공전속도를 유지하게
하는 장치이며, 그 종류에는 ISC-서보방식, 스텝모터 방식, 공전 액추에이터(ISA)
방식 등이 있다.
① 스텝모터 방식(step motor type)
- 스텝모터방식의 구조 및 특징 : 이 방식은 컴퓨터로부터의 작동 펄스신호에 의
해 좌우 방향으로 15
°만큼씩 단계적으로 마그네틱 로터가 일정하게 회전하여
마그네틱 축과 스크루로 연결된 밸브의 길이가 변화되어 바이패스 되는 공기량
을 증감시킨다.
스텝모터 방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피드백 제어가 필요 없어 제어계통이 단순하다.
㉡ 컴퓨터로 제어가 매우 쉽다.

㉢ 회전 오차 각도가 누적되지 않는다.
㉣ 정지할 때 큰 정지 회전력을 갖는다.
㉤ 브러시가 없어 신뢰성이 높다.
㉥ 직류 전동기보다 능률이 낮다.
㉦ 출력 당 중량이 크다.
㉧ 특정 주파수에서 공진, 진동현상이 발생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