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17 강 > 사 진 - 사진 촬영의 기초
* 강의 : 김수남 (사진작가)
사진의 기자재와 이를 다루는 법을 알아보자
좋은 사진을 만들기 위해서는 남의 좋은 사진을 많이 보고 느끼는 것도 중요하다.
강의 1 > 사진 촬영을 위한 기자재 1.
* 카메라, 렌즈(광각렌즈, 망원렌즈), 조명(광량이 부족할 때 플래시 필요, 것도 안되면 슬로우 셔터), 삼각대(카메라 고정). 나에게 맞는 필름 등이 필요.
※ 사진 촬영을 위한 기자재
1. 카메라
※ 카메라의 종류 <필름의 크기에 따라>
- 35mm 필름, 120mm 필름, 8x10inch 필름 카메라(대형카메라)
※ 35mm 필름 - 필름 한 컷의 가로 길이가 35mm인 필름
(근래엔 전자동 카메라가 있는데 셔터만 누르면 됨. 그러나 이 카메라는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정보가 입력되어 있어서 내 나름대로의 개성을 살리는 특별한 사진은 만들 수 없다.)
※ 카메라의 선택
① 자동 능력에 수동능력이 더해진 제품을 구입
(때문에 수동카메라 다루는 법을 중심으로 설명하겠다.)
※ 수동카메라 -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방식으로 대상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
② 렌즈 교환이 가능한 제품 구입
※ 자동 및 수동 겸용 + 렌즈 교환 가능 제품 (카메라 마련시 key point.)
2. 렌 즈
※ 표준렌즈 ; 필름 한 컷의 대각선의 길이와 렌즈에서 필름까지의 초점거리가 비슷한 렌즈
(대부분 35mm 카메라에서는 초점 길이가 50mm 내외가 표준렌즈이다)
※ 장초점렌즈(=망원렌즈) - 초점길이가 표준렌즈보다 긴 렌즈
※ 단초점렌즈(=광각렌즈) - 초점길이가 표준렌즈보다 짧은 렌즈
※ 표준렌즈의 특성 - 인간의 시각과 유사, 친근감이 있는 사진
※ 광각렌즈의 특성 - 화각이 넓어서 좁을 공간을 찍는데 유용
(좁은 공간에서 각도가 좁아 여려 사람을 찍기 힘들 때 광각렌즈를 사용)
※ 초광각렌즈(=어안렌즈)
- 화각이 아주 넓어서 사진을 찍었을 때 둥근원으로 나타남
(물고기의 눈처럼 180°가 보여서 魚眼렌즈라고)
※ 광각렌즈의 특성
- 넓은 화각으로 좁은 공간을 찍기 적합. 그러나 원근감이 지나치게 강조됨.
※ 망원렌즈의 특성
- 멀리 있는 물체를 찍는 데 유용. 생태사진(야생동물, 조류), 스포츠 사진 찍을 때 사용.
※ 접사렌즈의 특징
- 야생들풀, 꽃 등 조그만 물체를 접사해서 찍을 때 사용
※ 줌 렌즈
- 여러 렌즈의 기능을 하나의 렌즈에 담아놓은 렌즈 (광각에서 표준 사이. 35mm-105mm 사이 등. 동적인 사진을 찍을 때, 렌즈를 갈아 끼울 시간이 없을 때 다양하게 순간적으로 찍을 수 있다. 전에는 해상력이 떨어진다 해서 기피했는데 요즘은 줌렌즈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전문가들도 사용하기 시작. 줌렌즈 속에는 접사렌즈가 들어가 있어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음)
※ 렌즈 구입시 유의사항
- 기능면에서 자신에게 가장 필요한 렌즈부터 구입 (돈 많음 한번에 사도 좋지만 하나씩 차근차근 구입)
강의 2 > 사진 촬영을 위한 기자재 2.
3. 플래쉬
※ 플래쉬<스트로브>의 기능
(카메라마다 전용도 있고 여러 카메라에 맞추어 쓸 수도 있다. 근래의 카메라는 위아래, 전후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흔히 정면을 찍을 때만 사용하는데 그것은 스트로브의 진면목을 모르는 것이다.)
※ 낮은 천장에서 피사체를 찍을 경우
- 스토로브를 천장으로 향하면 반사광이 피사체에 비춰져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 스토로브를 벽으로 향하여 측면광을 이용한다 (벽을 반사한 빛을 이용해 촬영)
(같은 플래쉬로도 다양하게 이용할 필요가 있다.)
4. 삼각대
삼각대를 이용해 조리개를 모두 열고 셔터 스피드를 몇 시간씩 주고 찍는 수가 있다 - 하늘의 별을 찍을 때. 별의 움직임을 찍어야겠다, 밤부터 새벽까지 찍어야겠다 한다면.
하늘의 별은 선이 되어 나타난다. 몇 시간동안의 움직임이 나타나는 것인데 그곳에 플래쉬를 쏘아봐야 도움이 안된다. 그래서 트라이포드(삼각대)라는 것을 이용. 특히 슬로우 셔터를 사용할 때 쓰기도 하지만 바로 움직임을 나타내는 사진을 필요로 할 때도.
※ 광각렌즈를 이용한 사진
1. 일본 나가노현에서 찍은 귀신. 20mm 광각으로 찍었음. 좁은 장소에서 많은 사람을 피해서.
2. 스리랑카에서 폭풍우가 불 때 해변에서. 해변가의 나무와 폭풍우. 흐린 날씨에는 모든게 파랗게 변한다. 그래서 나무와 바다가 굉장히 떨어져 보이지만 사실은 가까이 있다.
※ 조명(역광)을 이용한 사진
(detail은 많이 줄었지만 신비감을 주는 분위기를 연출)
* 무대 위에 승무하는 사람을 전구알의 역광을 이용해 찍음 (플래시를 이용)
※ 플래쉬를 이용한 사진
(살풀이 춤을 추는 여인을 찍은 사진 ; 플래쉬 2개를 양쪽에서 이용해 찍은 사진)
※ 삼각대를 이용해 느린 셔터로 찍은 사진
(전라남도 대포리 갯제. 농악대들이 마당에서 지신밟기를 하는 모습. 횃불들을 켜놓고 지신밟기를 하고 있음. 1/4초로 느리게 찍었음. 움직이는 것은 흐름으로, 정지한 것은 정상으로 찍힘)
5. 필 름
※ ASA : 필름의 감도 <필름이나 인화지의 광선에 대한 상대적인 반응도>를 표시
※ 감도 표시
- ASA100 내외 : 중감도 / ASA200 이상 : 고감도 / ASA64 이하 : 저감도
※ 고감도 필름 - 어둡거나 조리개를 조일 때 사용
※ 저감도 필름 - 꽃이나 요리 등을 찍을 때 사용(색을 더 아름답게 하려고. 입자가 고와서)
※ 필름의 선택
1) 네거티브 필름 ; 사진으로 인화할 때 사용
2) 슬라이드(리버설) 필름 ; 인쇄용 또는 환등기를 이용하여 스크린에 비추어 사용할 경우
※ 필름 구입시 유의할 점
- 필름의 유효기간이 오래 남은 것으로 구입 (사용하고 남은 것은 냉장고나 서늘하고 어둡고 건조한 곳에 보관)
6. 셔 터
※ 셔터에 표시된 숫자의 의미
- 셔터가 열린 시간을 의미 (1=1초, 2=1/2초, 10=1/10초, 100=1/100초)
(얼마만큼 셔터를 열어주느냐, 광양이 얼마나 긴 시간 들어오느냐)
※ 셔터의 기능
1) 빛의 양을 조절 <셔터가 열린 시간 = 빛이 들어온 시간>
2) 움직임을 표현
※ 셔터를 통한 움직임 표현
1) 움직이는 물체의 정지화면 표시할 때 <셔터스피드=1/500, 1/1000>
2) 움직이는 물체의 속도감을 표시할 때 <셔터스피드 =1/4, 1/8>
7. 조 리 개
(렌즈밖에 눈금 표시 ; 조리개의 구경의 크기)
※ 조리개의 수치와 광량
- 수치가 클수록(구경이 작아져서) 광량이 적어지고,
수치가 작을수록(구경이 켜져서) 광량이 많아진다.
(작은 숫자일수록 빛이 많이 들어온다)
※ 노출의 결정
- 조리개의 눈금과 셔터스피드를 설정하는 것. 예) 조리개 f 5.6 / 셔터스피드 1/125
(항상 적정노출을 정하고 나면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다)
※ 조리개의 눈금과 셔터의 눈금의 상관관계
예) 조리개 f5.6 / 셔터 스피드 1/125
= 조리개 f4 / 셔터 스피드 1/250
(광량을 뜻함. 노출을 조절해 줘야 하는데 움직임이 중요하냐, 심도를 사용할꺼냐 등의 기능에 따라)
※ 심도의 사용
(영화 등에서 많은 사람중의 한 사람만(촛점) 나오고 앞 뒤 사람들은 어둡게 나오는 경우)
※ 심도를 낮게 해서 찍은 경우 (앞에 사람만 나옴)
※ 심도를 깊게 해서 찍은 경우 (전체가 나옴)
빛의 양으로 노출을 정하고 빛의 방향을 생각해야 함. (뒤에서 오는 것은 역광, 좋은 광선은 직광. 측광이나 역광을 찍을 때는 그림자를 이용할 수 있고 신비감도 줄 수 있다)
※ 역광촬영의 특성 - 신비감을 줄 수 있으나 디테일을 살리기 어렵다.
'여가와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통대 교양학과, 생활 교양 등 여가와삶 요점 요약 정리 18. 사 진 - 사진 감상과 이해 (1) | 2023.01.15 |
---|---|
방통대 교양학과, 생활 교양 등 여가와삶 요점 요약 정리 16. 여가와 글쓰기 - 여가활동으로 좋은 글쓰기 (0) | 2023.01.14 |
방통대 교양학과, 생활 교양 등 여가와삶 요점 요약 정리 15. 여가와 글쓰기 - 글쓰기란 무엇인가? (1) | 2023.01.14 |
방통대 교양학과, 생활 교양 등 여가와삶 요점 요약 정리 14. 스포츠 Ⅱ (0) | 2023.01.13 |
방통대 교양학과, 생활 교양 등 여가와삶 요점 요약 정리 13. 스포츠 Ⅰ (2) | 2023.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