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가와삶

방통대 교양학과, 생활 교양 등 여가와삶 요점 요약 정리 10. 한국 공연예술의 세계 2

728x90
반응형

<제 10강> 한국 공연예술의 세계 2

 

* 연행예술의 한가지인 민속놀이를 다루고 짚풀문화의 한가지인 줄다리기에 대해 / 탈춤에 관해 / 8090년대 마당극에 대해 알아보자

 

강의 1 영산 줄 당기기

 

줄다리기는 모호한 면이 있어 줄 당기기라는 말을 쓰겠다. 줄 당기기는 농경사회의 보편적인 민속놀이. 우리나라 곳곳에서 있었지만 영산지역은 대구와 마산사이를 잇는 작은 마을. 예전엔 큰 규모의 마을이었다. 짚풀문화의 하나인 줄당기기의 모습은 줄을 만들 때부터 마을사람들의 단합된 힘이 필요하고 행사장까지 두 줄을 가지고 가는 모습도 장관이다.

 

영산 줄당기기의 의의

- 마을 주민의 단합된 힘과 흥겨운 축제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민속놀이

(큰 줄이 행사장에 도착하면 암수 두줄을 한몸 되게 비녀목을 가로질러 양성을 교합시키듯이 암수줄의 교합으로 새로운 생명력 산출 이미지)

 

비녀목 넣기

1) 생명력 산출 2) 풍농을 기원

(정신적인 지주이자 줄당기기의 보유자인 조성국 선생

애살로 줄을 만들고

신명으로 줄을 나가고

몰음으로 줄을 땡긴다

 

애살 ; 애성, 열성 (온몸으로 줄을 당긴다)

몰음 ; 단결, 협화심

 

줄당기기의 아름다움

1) 팽팽하게 대치한 힘겨루기가 절정에 이르는 순간 줄의 수직운동을 통해 현실을 초월하는 황홀의 체험

(줄이 팽팽할 때 줄이 위로 올라가고 우리 몸도 위로 올라가 좌우가 아닌 수직으로 사람들이 한순간이나마 현실을 초월. 양쪽이 고루 이기는 훌륭한 모습이다.)

2) 최고의 아름다움을 이끌어 내기 위해 양쪽 줄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노력, 생극(生克) 사상 경험

(나뉘어진 두패의 모이적인 쟁투. 줄의 승화된 모습을 보여주는 적과의 동침을 보여주는 아름다운 모습. 싸움을 통한 공통의 협화심)

3) 뒷걸음쳐야 이긴다 (곤도 坤道)

(뒤로 물러서서 상대방을 나의 품속에 안아야 진정한 승리. 물러서고 져야만, 상대를 포용해야만 이긴다는 여성적인 곤도의 모습이 줄당기기의 진정한 아름다움이다.)

 

탈춤에서 본 곤도’(坤道)의 세계

- 소매의 입장에서 재해석, 역사의 뒷전에 있는 소매의 입장을 역설적으로 조망하여 탈춤속의 민중적 미의식을 일깨움

(이전에는 여름(취발이)과 겨울(노장)의 싸움이라 했는데, 노장과 취발이가 주적이 된다. 없는 사람의 새로운 시각으로 송우가 있지 않으면 안됨? 역사의 겉면에는 노장과 취발이가 존재하나 그것을 가능케 하는 역사의 밑바닥에는 송우의 삶이 응어리져 있다. 송우를 중심으로 줄당기기를 새롭게 해석)

 

강의 2 탈 춤

 

오늘날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탈춤은 지역마다 독특한 이름을 갖고 있다.

탈춤은 원래 황해도 북한에서 씌어지던 말.

경기지역 = 상대놀이 / 낙동강 동쪽 = 들놀음 / 낙동강 서쪽 = 오광대

경북산악지역 = 별신굿 /

(굿에서도 간혹 탈춤이. 숙종, 영조시대에 새로운 모습으로 바뀌어진 탈춤의 모습. 그 시기는 신흥민중예술 발흥기. 판소리가 대두되기 시작하고 국문학에서도 평민소설과 평민가사 등 신흥미술기의 발흥기. 그 시기와 더불어 탈춤이 새롭게 부흥 1930년대에 탈춤부흥운동 1970년대 대학가를 중심으로 탈춤 부흥운동 일었음.)

 

탈춤의 특징

1) 민중의식 부각

2) 관중과 함께 하는 연행 방식

(1980년대 이후 새로운 연행을 꿈꾸는 사람들에 의해 탈춤이 마당극의 형식으로 이루지기도)

 

강의 3 마 당 극

 

애초에 마당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출발.

마당극의 발생

- 무대극에 대한 대응의 방식으로 산출

- (기성) 제도권 연극계에 대한 대응으로 발생

 

마당극의 개념

- 생활극 / 상황극 / 광장극 / 민중극

(대화의 광장, 대다수 억압받는 일반 삶의 모습을 그려내기도)

 

마당극의 특징

1) 상황적 진실성

(당대의 시대상황을 무엇보다도 진실되게 폭로하며 알리는 언로의 역할을 해 왔음)

2) 현장적 운동성 (새로운 에너지를 담당)

3) 민중적 전형성

(개인 삶의 문제보다는 삶을 통한 전체적인 문제에 대한 전형성)

4) 집단체제의 신명성 (집단 전체의 신명)

 

마당극의 주제

- 사회의 모순구조를 깨뜨리는 내용

- 민족의 문제 / 사회의 문제 / 농어촌의 문제 / 노동자의 문제 / 여성문제 / 공해문제 / 역사재해석의 문제 (로 주제 내용이 진전되어 옴)

 

마당극의 사례

돼지꿈, 1977

(서울여자대 연극반의 마당극. 황석영씨의 소설 돼지꿈을 각색해서 마당극으로 꾸밈. 도시빈민층의 한 가정사를 얘기하면서 그들이 용기를 잃지 않도록 하기 위한 마을 전체 사람들의 축전판 에너지 보급용)

 

 

 

함평고구마, 1980

(함평지역의 실제 농협을 상대로 고구마 피해보상운동을 한 마당극.

거의 즉석에서 만들어져 농성장의 분위기를 돋구는데 큰 몫을 했음. 이것을 후에 서울대 총연극회에서 무대공연으로 올림)

 

돼지풀이, 1980

(농산물 가격이 크게 떨어지는 상황에 대해 돼지값 폭락을 소재로 만든 마당극. 1970년대 이후 농산물 가격 정책의 오락가락의 원인을 찾고 그에 대한 대응을 마당극의 형식으로 공연)

 

장산곶 매

(장산곶 지역의 장수설화를 소재로 만든 작품. 장길산 첫머리에 나옴.)

 

청산리 벽폐수야, 1983

(여천 공업단지에 소재하고 있는 진해화학를 상대로 한 손해보상 소송 사건을 다루는 작품. 1983년 공해문제를 다룬 최초의 작품)

 



(제주의 땅과 삶의 터전을 잃어가는 각박한 현실을 다루는 작품. 그러나 이 공연을 빌미로 이 공연단체는 해체를 당하는 비운을 겪음.)

 

밤하늘의 별처럼, 1981 (해고노동자 투쟁을 소제로 공연)

 

강쟁이 다리쟁이, 1984

(전국을 휩쓴 물난리를 주제로 공연. 창녕의 어느 성당에서 물난리 피해 보상운동을 공연물로 부추기는 작품)

 

부산시립예술단 거리시위

거리시위 장면을 마당극의 한 형태로. 이러한 거리시위를 단순한 시위형태로만 하지 않고 노래와 춤과 연행물로서 전문적인 시립 예술단이 했다.

 

칼노래 칼춤

동학 운동에 대한 마당극. 사회개혁의 모습을 칼의 기운을 담았다. 1974년 이후 마당극 20년을 총 결산하는 마당극. 탈과 음악이 중심을 이루고 거기에 갖은 재담을 이루고 새로운 양태의 마당극을 만들었음.

북춤을 통해 동학군의 진격과 작은 승리, 폐퇴의 길을 겪는 (동학) 전쟁을 겪으면서 마을 아낙네의 비참함과 후방에서 진지를 지키던 사람들이 농민군의 폐퇴후에 고향을 찾았으나 고향은 이미 불타 더 이상 머무를 곳이 없어진 서글픈 사연.

 

칼노래 칼춤의 구조

- 서사구조 + 영상구조를 4마당으로 구성

(각각의 마당이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 역사의 진혼과 더불어 현재적 삶을 사는 우리에게 남은 과제가 무엇인가를 물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