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문학

유아교육과, 보육사 방통대 등 필수과목 유아문학 요점 요약 정리 9. 환상동화에 대하여

728x90
반응형

9장. 환상동화에 대하여

1. 환상동화란 무엇인가?

환상동화(Fantasy)는 실제로 현실세계에서 일어날 수 없는 일이나 사건, 존재하지 않는 사람이나 초자연적인 소재나 대상에 관한 일로 꾸며진 이야기이다. 환상동화는 자연 세계에서 발견되지 않는 요소들을 담고 있으며, 그러한 요소는 마술, 말하는 동물이나 무생물, 공간이나 시간의 제약으로부터의 자유로움 등이다. 이러한 환상 동화는 환상이라는 기법을 통해 유아가 자연스럽게 인간의 동경, 꿈 등을 접할 수 있게 하며, 환상 세계 속에 있는 기쁨, 희망, 용기, 두려움 등을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하는 문학이다.

 

2. 환상동화는 어떤 과정을 거쳐 발전되어 왔는가?

환상동화의 뿌리는 전래동화에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옛날이야기에 포함된 환상적 요소들이 15세기와 18세기까지는 헛된또는 쓸데없는것으로 생각되어 비난을 받거나 인정받지 못했다. 그러다가 19세기에 와서 실제에서 일어날 수 없는 이야기가 유아에게 유해하지 않다는 것을 인정하게 되었고 이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갖게 되었다.

초기의 환상동화: 동화는 교훈적, 종교적, 도덕적, 사실적인 것에서 상상적인 것으로의 진보과정을 통해 발전되어 왔다. 뻬로나 그림 형제, 안데르센 등은 옛날이야기나 요정 이야기를 재화 또는 재창조함으로써 현대 환상동화로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특히 안데르센은 민담을 재화하면서 자신의 풍부한 상상력을 동원하여 인어공주미운 오리 새끼등의 작품을 만들었는데 이는 본격적인 환상동화를 쓰는 작가에게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빅토리아 시대의 환상 동화: 이전의 극단적인 도덕관에서 벗어나 어린이들을 좀 더 자유로운 시각에서 보고자 했던 시대로 종종 아동문학의 황금기또는 첫 번째 황금기로 불린다. 루이스 캐롤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는 유아문학의 기본적인 성격과 창작 방향에 있어서 후세 작품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즉 유아들이 단순한 즐거움을 가지고 이야기를 즐길 수 있도록 넌센스와 유머로 가득 찬 이야기를 만들어 내었다.

1950년대까지의 환상동화: 20세기 초에는 포터(Beatrix Potter)피터 토끼 이야기(1903)이후 바움(L.F.Baum)오즈의 마법사, 베리(James Berrie)피터팬과 웬디, 밀른(A.S.Milne)아기 곰 푸우(Winnie-the-Pooh)등과 같은 도덕과 교훈적인 요소가 배제된 다양한 환상적 이야기가 나오게 되었다. 그리고 유아의 친숙한 일상생활을 소재와 배경으로 하고 거기에 환상을 가미한 그림책들이 나오게 되었다.

 

3. 환상 그림책은 어떤 과정을 거쳐 발전되어 왔는가?

초기 환상 그림책: ‘그림책의 황금기라고 할 수 있는 1930년부터 1960년대 이전까지의 환상 그림책은 유아의 실생활과 밀접한 소재나 배경을 토대로 유아의 상상의 세계가 삽입되는 형식을 띄고 있으며, 글과 그림의 이상적인 균형에 기초하는 특징을 갖고 있었다. 초기의 주요 환상 그림책으로는 완다 가그의백만 마리 고양이, 제임스 도허티의 앤디와 사자, 닥터 수스의 멀버리 거리에서 보았던 것을 생각한다등을 들 수 있다.

현대 환상 그림책: 모리스 센닥(Murice Sendak)괴물들이 사는 나라가 출판된 이후 환상 그림책의 방향은 등장인물의 다양성과 보다 적극적인 상상력의 세계를 표현하게 되었다. 따라서 유아의 내면적 심리 표출에 초점을 둔 환상 그림책, 실생활과 동떨어진 상상에 기초한 환상 그림책, 이야기의 흐름보다 그림이 압도적인 환상 그림책, 다양한 결론의 가능성을 열어놓은 환상 그림책 등 좀 더 다양하고 파격적인 소재와 형태로 이루어진 환상 그림책으로 발전되어가고 있으며, 일러스트레이션의 발전과 함께 다양하고 독특한 기법 등의 변화를 보이게 되었다.

 

4. 환상동화에는 어떤 유형이 있는가?

1) 등장인물에 따른 환상동화의 유형

초현실적 인물의 환상동화: 주변인물이 아닌 중심인물이 초현실적 성격을 갖는 환상동화를 말한다. 주인공은 외모는 평범하지만 정상적인 인간의 행동을 벗어나거나 상식을 초월하여 행동할 수 있는 마법의 능력을 갖고 있기도 한다. 이 외에도 마법을 사용할 수는 없지만 자신의 모습을 변형시킬 수 있기도 하다. 예를 들면, 바바빠바, 달사람등이 있다.

의인화된 동물의 환상동화: 인간의 사고·감정·언어를 동물에게도 부여하는 물활론적 특징이 있기 때문에 유아들이 무척 좋아하고 재미있어 하며, 유아들의 정서적 발달에 크게 기여한다. 예를 들면, 피터 토끼 이야기, 치과의사 드소토 선생님, 샬롯의 거미줄등이다.

의인화된 무생물의 환상동화: 사람과 동물 이외에 장난감이나 동물인형 등의 무생물이 의인화되어 등장인물로 나오는 이야기이다. 이와 같이 사람처럼 사고하고 말하며 느낄 수 있고 살아 숨 쉬는 물체와 환상적 창조물이 등장하는 환상의 세계는 유아들의 정상적 발달을 돕고 사고력을 확장시켜 준다. 예를 들면, 피노키오, 새앙쥐와 태엽쥐등이다.

현실적 인물의 환상동화: 현실에서 일어나기 힘든 사건을 현실적 인물들이 만나면서 전개되는 이야기로, 환상동화가 반드시 환상세계에서만 가능한 것이 아님을 보여 준다. 등장인물들이 사건을 해결해 가는 데 있어 풍자·과장·유머와 언어적 유희 등이 곳곳에 숨겨져 있어 유아에게 재미를 더해 주고 카타르시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삐삐 롱스타킹이다.

 

2) 배경에 따른 환상동화의 유형

신비한 배경의 환상동화

실제의 시간적·공간적 배경을 초월하여 초현실적 세계를 창출한다. 이러한 환상동화는 미래와 과거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시간을 상징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시간에 대한 의미를 새롭게 진술하고 있다. 여기에는 굴·옷장·문과 같은 사물이나, 폭풍과 같은 자연 현상이 이용되기도 하고, ·상상력과 같은 인간의 내적 현상, 또는 여행, 절벽에서 떨어지는 사건과 같은 인간의 외적 현상이 있다. 예를 들면,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서는 앨리스가 토끼 구멍 속에 빠져 신비의 나라를 찾게 되고, 존 버닝햄의 구름나라에서는 절벽으로 떨어지는 사건으로 환상의 세계로 들어갔다가 주문에 의해 환상으로부터 빠져 나온다. 모리스 센닥의 깊은 밤 부엌에서에서 미키는 밀가루 반죽으로 만든 비행기를 타고 은하수까지 갔다가 다시 침대로 돌아오고, 괴물들이 사는 나라에서는 맥스의 방에 나무가 생기기 시작하여 점점 숲으로 변하며 바다와 연결된다. 이러한 발전으로 서서히 상상의 세계로 빠져들도록 유도하고, 다시 맥스의 방으로 돌아오게 한다.

과학 환상동화

마술이나 초현실적인 것과 과학적 이론 및 원리가 결합된 이야기이다. 현실세계에서의 복잡한 사건을 다루기는 하지만 존재하지 않는 인물이 등장하며, 다른 시·공간을 사용하여 현실세계와는 일치하지 않는 세계를 보여 줌으로써 공상 과학동화를 환상동화에 포함시킨다. 주로 다루어지는 갈등은 인간 대 과학기술사회로서 개성과 인간성을 찾으려는 싸움이다. 그리고 외계 세계와 외계인 사이에서 이야기가 전개되어 나가면서 사회 제도를 신랄하게 비판하는 작품들도 있다. 예를 들면, 조병철의 고래 목장, 줄 베르느(Jules Verne)땅 속 여행등이 있다.

 

3) 사건에 따른 환상동화의 유형

비현실적 사건이 있는 환상동화

현실적 주인공이 현실적으로 일어날 수 없는 사건을 만나게 되는 이야기 구조를 갖고 있다. 자칫 이야기의 구성이 잘못될 경우 아주 터무니없는 이야기가 될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크릭터, 목욕은 즐거워, 악어야, 악어야등이 있다.

초현실적 사건이 있는 환상동화

초현실적 사건이 있는 환상동화에는 마법과 변형이 나타난다. 평범한 인물이 어떤 기이한 물체를 얻은 후 곤란한 사건을 만나게 되었을 때 신귀물을 이용하여 문제를 마법적으로 해결하는 사건 중심의 이야기이다. 멋진 뼈다귀에서 마귀 할멈이 잃어버린 뼈다귀가 주문을 외워 주인공 펄을 강도로부터 구출하고, 펄을 잡아먹으려는 여우를 생쥐만큼 작게 만들어 버린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