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의종교

신학, 종교, 방통대, 교양 등 세계의 종교 요점 요약 정리 11. 일본 종교의 이해

728x90
반응형

제 11장 일본 종교의 이해

1일본 신도: 일본의 종교는 불교(외래)와 신도(전통), 신종교(세계관 결합+성장)로 구분

1. 신도는 일본의 신(가미)에 대한 신앙을 총칭, 신념·실천·공동체·사고방식·문화적 표현 포괄)

기원후 8세기 일본의 신화와 역사가 실린 고사기』『일본서기에 신의 계보+종교적 기원 설명

-가미(조상+자연이 결합한 영)는 구별된 장소에 독특한 모양으로 표현(주술적 물건+상징물)

4세기에 중국에서 유교 유입, 6세기 한반도를 통하여 불교 전파

-8세기 나라시대(불교 중심+중앙집권적 국가)에 토착신과 불교를 구별하기 위해 신도 용어 사용

-불교의 사원과 사제제도 모방, 매장제도를 화장제도로 변경, 불상처럼 가미 형상 제작+숭배

12세기 말 봉건귀족들이 정권 장악, 천황을 신성한 존재로 인식(권한 축소) =>정치적 혼란

-16세기 가톨릭교회 선교사들이 영주의 지지로 일본인들 개종

-16세기 말 히데요시와 도쿠가 세력 집권+천하통일 =>그리스도교 금지+선교사 추방+박해

18세기 외국으로부터의 고립 정책 지향, 불교 위상 실추로 신도로의 회귀운동 발생

-메이지 유신(1867, 봉건영주 권한 축소, 천황 지위 회복), 불교 제압+신도를 유일종교로 선포

1889년 종교의 자유 인정, 신도는 황실의례로 정착했지만 불교와 신도가 대중지지로 공존

2. 일상적 삶의 영역은 신도가, 죽음의 영역은 불교가 지배적 역할 수행

여러 가지 유형으로 발전한 신도, 2차대전시 신사신도 유행(제국주의를 정신적으로 지지)

-다양한 지역을 통합하며 전쟁의 명분 강화, 죽음의 고통 감내, 국교로 지정

-천황은 제국의 중심, 태양신 후손, 절대적 신위와 신성으로 신앙화=천황기념일=국가적 공휴일

교파신도는 국가의 통제에서 탈피, 토착신+불교+유교의 영향을 받아 형성

-특정한 의례가 없고 엘리트(재중) 중심으로 다양한 신도 등장(천리교가 대표적)

-한국의 부산과 서울 중심으로 활동(질병치유+공공사업+자선사업으로 사회복지에 기여)

3. 유교 영향으로 가족·씨족 단위의 조상숭배 유행, 가정 제단(가미다나)을 만들어 경배

-지역과 국가의 신들을 합쳐 800만의 가미 존재

-미국에 패망(1945), 미군정이 신도 분리, 천황은 신성 포기(천황숭배의식과 종교교육 금지)

 

2일본 불교와 창가학회: 일본불교 창시(니치렌, 천태법화의 교리 체험 후), 실천·행동 강조

1. 법화경외 다른 불경은 방편으로 간주 법화불교 완성(일련종·일련정종·창가학회로 발전)

니치렌은 법화경보급+전파 주장, 초월세계를 지향하는 정토종 한계 비판

-사회적 문제와 자연적 재해의 원인을 잘못된 신앙생활에 있다고 진단

-최고 권력자에게 바른 교의 확립할 것을 주장(입정안국론, 가마쿠라 교의 설파)=>유배

나무묘법연화경(남묘호렌게교)은 니치렌 핵심사상, 국가적인 차원에서 사회개혁을 중시

-니치렌 사후 이탈한 제자들이 기성불교와 토속신앙이 혼재+권력에 영합한 일련종 창시

2. 일련종 분파로 활동하던 후계자 닛코가 분리·독립하여 일련정종 창시

-숭배 대상은 삼보(불보·법보·승보), 석가모니불 제작·숭배 금지

-군국주의 시대 승려들이 일본의 종교 규제 수용, 교육자 중심 신도들과 갈등 발생

3. 일련정종에서 파문 받은 후 독립된 단체 창가학회 형성(1930), 교육자들의 꿈은 개혁

일본 교육제도 비판(마키구치 쓰네사부, 1928, 일련정종 입교), 창가교육학체계출판(1930)

-일본 교육철학(칸트 철학에 의존, 진선미의 가치 추구), 마키구치(··선의 가치 실현 중시)

-‘보다 인류 전체의 생명에 관한 사회적 가치를 의미하는 을 추구

참된 행복의 길은 일련정종의 가르침을 믿고 종교적 경험 증명하는 것(교육계 반발로 해직)

-1937년 교육개혁을 목적으로 창가교육학회 설립, 가치창조기관지 창간(1941)

-인간의 본성(부처의 생명),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것이 궁극적 목표(대승적 인간혁명 추구)

인간혁명+생활혁명을 통한 좋은 사회건설, 군국주의 시대에 혁신적 종교운동으로 평가

-국가 신도를 강요하는 군부의 탄압 초래(참배거부 ->간부들 검거·투옥·옥사, 1942)

도다 조세이가 창가교육학회를 창가학회로 변경, 종교법인 창가학회 출범(1951)

-1960년 해외 포교 시작(하와이), 공명당 형성 =>출판·인쇄·건설·제조업 등 대기업으로 성장

-1970년 창가대학 개교, 세계평화 회의에서 국제창가학회 출범(1975)

일련종은 대승경전 법화경신앙을 일본의 상황에 맞게 실천한 불교

-불교계통의 일본 신종교로서 세계화에 성공한 보기 드문 사례로 평가

 

3천리교와 나카야마 미키(천리교 창시): 19381026, 추계대제로 명명+행사

1. 천리교 교의에 따르면 천리왕(어버이신)은 행복한 삶을 살도록 인간을 창조(상부상조)

-차별이 개인·가정·국가·세계의 불행 초래(평등·화합·평화 정신을 기초로 지상낙원 구축이 목표)

2. 한국에 유입(1893), 일본제국주의 종교정책으로 13개 교파신도로 정착(황실 조상신 숭배)

-조선인 포교사 양성, 일본 패망 후 건물과 재산 국고로 귀속(조선신도는 친일파로 박해)

-대한민국정부 수립 후 내적 쇄신 도모, 대한천리교 모태가 되는 천경수양원을 결성(서울)

-1956년 대한천리교총본부로 개칭 =>일본신도 천리교와 분열 =>한국천리교연합회 결성

 

4문화로서의 신도: 종교법인에 등록된 신도를 종교로 믿는 일본은 1%(신사는 14만개)

-신도는 일상적 문화의 일부(출생=신사방문, 결혼식=그리스도교 방식, 장례식=불교식 화장)

-가정의 건강과 행복을 위해 부처나 조상신에게 기도(기복적·세속적 욕망)

-초월적 이유가 아니라 실용적 이유로 종교 활용(관광 시 의례적으로 사찰과 신사 방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