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소년복지론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등 청소년복지론 요약 정리 38. 청소년복지 정책 및 행정 Ⅱ

728x90
반응형

38. 청소년복지 정책 및 행정 Ⅱ

1. 아동·청소년 관련업무 진기관
- 여성가족부 청소년정책실 외 중정부 부는 고유 기능에 따라 아동·청소년
관련
업무
-

24개 부132개 사(방송통신위원회, 국가보훈처, 국민권위원회, 교
육과학기술부, 외교통상부, 통일부, 법
부, 국방부, 행정안전부, 문화체
육관광부,
심수부, 환경부, 노동부, 여성가족부, 국해양부, 각
검찰청 및 범예방위원회, 경청, 소방방재청, 문화재청, 농촌청,
산림청, 중소기청, 특청, 국가인권위원회 등)
- 부
별 아동·청소년 업무의 특성
부단위 기관 : 고유의 정책기능과 관련된 사중 아동 청소년이 대상
인 사에 일정 부분을 자하고 있는 경향
청단위 기관 : 정책예보다는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이
을 지출하는 경향

 

2. 시·도 아동·청소년 관련 행정조
- 전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국가청소년위원회로 나진되아동,
보육, 청소년 정책은 보건복지가족부로 통합되어
진중

- 16개 시·도의 아동 청소년 관련 행정은 다양한 부서에서 진되고 있음
- 지방청소년육성위원회
치·영 및 시·도 아동 청소년 업무 총괄기능을 수
행함으로
정부와의 아동 청소년 업무 연계 및 진 체계를 구
- 16개 시·도 중 7개 시·도는 아동 청소년 업무를 통합 수행. 지 9개 시·
도는 각각 다른 부서에
재됨

 

3. 지방청소년육성위원회
- 청소년기본법 제11조
: 청소년육성에 관한 지방자치단체의 주요 시책 심의를 위해 특별시장, 광역
시장, 도지사 및 시장·군수·구청장(자치구의 구청장에 한함)
하에 지방
청소년육성위원회를 두도록 함
- 구성, 조직 및 그
영에 관하여 필요한 사은 조로 정함
- 위원회의 성격은 시도별로 상이함
, 대전, 충: 심의기구
그 외 시·도 : 자문기구

 

4. 정부 산하기관
가. 국
청소년수련원
- 여성가족부산하기관
- 기 능
1) 청소년활동진법 제41조에 의거 국가가 치하는 수련시의 유지·
관리·

2)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개발한 주요 수련거리의 시범

3) 청소년활동시
이 행하는 국제교및 협력사에 대한 지원
4) 청소년지도자 양성을 위한

5)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이 지정하는 정부위
업무 수행 등
- 현재 2개소 보유
국립중청소년수련원(충천안 소재)
국립평창청소년수련원(강원 평창 소재)

 

- 주요 사업
일반청소년 대상
: 특성화된 시범수련활동 제공, 민간수련시
에 대한 도 및 지원
기능
소외청소년 대상
: 장애청소년, 학교부적응 청소년, 북한이탈 청소년, 다문화가정 청
소년,
가정 청소년 등을 대상으로 수련활동 참여기회를 제공
2007년 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소외청소년 영어프’는
원어민이 지도하는 영어체험 활동을
행하는 특성화 프로그램으로서
참가청소년들에게 높은 호응을

청소년수련 프로그램 개발, 시범영을 통해 현장 적용성이 높은 양
질의 활동 프로그램 보급
2010년 3정부조직법의 개정으로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로 이관
청소년지도사 수기관 : 청소년지도사 자격정에 합격한 자를 대
상으로
년 자격수를 시행하여 청소년지도사(1·2·3급)를 .
소년지도사의 전문성 함양을 지원
청소년지도자 및 관련 전문가 양성기관으로서의 기능 수행
‘청소년지도사 전문수’ 과정의 중 개·
지방자치단체의 청소년 및 유해환경 당공원을 대상으로 ‘당공
수’ 시행
‘해외청소년지도자 대상 수과정’을 통해 청소년지도자의 국외 교
활성화와 사을 지적으로 강화시켜 옴
정부의 청소년수련시지원정책
지역 간 형 있는 청소년활동 공간 충을 통해 청소년 건전육성을 도모
2005년부는 국가형발전 특별회계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립
도에 따라 70
~88%(서30%)를 지원
공공시이 대부분을 차지(공공시: 432개소, 민간시: 258개소)
수련원과 유스호스은 민간시은 부분을 차지

 

나.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구. 한국청소년상담원)
- 기 능
1) 청소년상관련정책 구개발
2) 청소년상
기법의 구 및 상의 제작·보급
3) 청소년상
의 시범
4) 청소년상
전문인력의 양성 및
5) 청소년상
기관 상호 간의 계 및 지원
6) 국
외 상기관 간의 교및 정보자수집·공급
7) 지방 청소년(상
)지원터 운영의 지도 및 지원
8) 청소년의 고충과 문제 해
을 위한 상서비스 제공
9)
과적인 상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구사
10) 부모교육 및 또래상자 사
11) 학중단 청소년 관련 사에 대한 지도 및 지원
12) 위기청소년 위기개
및 자활지원
- 2008년도 실시 사업
1) 상지원 프로그램 개발사
: 정책 구, 인중독 유형별 개프로그램 개발, 학교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 개발, 청소년 자
위기 프로그램 개발, 회복적 보호
지원 프로그램
증 및 개정, 다문화가정 상프로그램
개발, 군상
에의 또래상적용
2) 청소년상
교육수사
3) 전문상
4) 청소년상지원체계 활성화
5)
CYS-Net 지원사
- 대외력 상담기관 트워
지역별 청소년상: 전국에 163개소
: 서
·경기권(57개소), 경상권(44개소), 전라권(28개소), 충청권(24개
소), 강원권(8개소), 제주권(2개소)

- ‘청소년전화 1388’ : 여성가족부는 유해환경에 노출가능성이
높은 청소년의 보호 및 24시간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한국청소년상원과 전국청소년상지원가 지원하는 청소년 지
원 서비스로 청소년은
론 부모나 교사, 이등 누구나 이용 가능

청소년 고민상, 폭력·가출·학대 등 위험 시 급구조, 청소년 유해
환경 신고접수 등의 서비스를 제공

 

다. 한국청소년진흥센터
- 2005년 311일. 청소년관련 3법(청소년기본법, 청소년활동진,
청소년복지지원법)을 기반로 설
- 담업무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 시행, 청소년 활동 및 복지, 보호에 관한
적인 정보안
및 서비스 제공, 청소년복지 지원을 위한 사및 서
비스 영역개발과 보급, 청소년 방과
데미의 현장 영을 지
원하기 위한
영지원단사수행 등
- 청소년수련활동인제 관련 업무
1) 청소년수련활동인증 위원회 및 자문단
2)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 인증기
에 대한 보
3) 청소년수련활동인증심사원 모집 및 교육
4)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 대국민
보 등
- 주요 기능(청소년기본법의 명시)
1) 청소년활동, 청소년복지, 청소년보호에 관한 합적 안및 서비스
제공
2) 청소년 정보의
합적 관리 및 제공
3)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4)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 시행
5) 청소년수련활동인증위원회의
치 및
6) 청소년 관련 제 기관과의
계협력 지원
7) 청소년 육성사
에 대한 대국민
8) 청소년 육성기
·관리·용과 기업 추
9) 청소년 국제교
활동 및 북청소년 교활동 지원
10) 청소년자원
사활동 활성화 지원
11) 기
청소년 권증진 및 활동진에 필요한 각과 여성가족
부장관이 인정하는 사

12) 청소년 합정보서비스시스의 구및 유지·보수
13)
컨텐츠 개발
14) 청소년
합정보안정화 및 활성화 지원

15) 기관 및 청소년합정보시스템 홍보사
16) 청소년특별회의 주관 등

학 습 정 리
1. 아동·청소년 관련업무 추진기관
- 여성가족부 청소년정책실 외 중앙정부 부처
- 24개 부처에서 132개의 사업을 시행
- 시·도 아동·청소년 관련 행정조직
- 지방 청소년육성위원회
- 정부 산하기관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구. 한국청소년상담원)
한국청소년진흥센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