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소년복지론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등 청소년복지론 요약 정리 35. 탈북청소년 Ⅱ

728x90
반응형

35. 탈북청소년  Ⅱ

1. 탈북청소년의 문제점
- 사회적 지원의 부족
청소년기의 발달과을 이루기 위해 아동기보다 더욱 확대된 사회적 지
이 필요하지만 가족마도 해체되거나 상실한 경가 대다수
- 심각한 수
의 학력
- 탈북자들에 대한 한 사람들의 부정적 시각

 

가. 남한사회의 대과 정체성의 혼란 : 보호 및 지원체계의 문제점
- 탈북 이주민들을 당하는 정부 기관, 접원마다 각각 다른 인
식과 태도를 가짐
국방부 : 간, 용사, 동포, 북한이탈주민, 식량난
동사소 : 생활보호 대상자, 영세민
노동부 : 실자, 실직자, 자격자, 능력자
: 감시 대상자, 보호관대상자, 불평불만이 가사고
학교 : 지진아, 문제아

 

나. 적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 : 보호 및 지원, 교육지원의 문제점
- 양, 외모, 문화적 세련됨의 등함
- 비하와
절을 경험하며 점점 차별에 대해 예민해짐
-
한 사회 에서의 ‘주들기’ 경험들은 탈북청소년 집단 부의 소
원한 문화로 이어지기도 함
- 미래의 성공을
구하는 탈북청소년들에게 대부분의 적응교육 현장은
단지 현실에서 필요한 자격과 자원을 마련하기 위해
불편함을 참으며
‘잠시
머무’이 되기 쉬움

- 탈북청소년들은 자본주의적 을 포기하지도, 또 제대로 구하지도
하며 방하고 절함

 

다. 환상과 대전략 및 부적응 : 지원, 교육지원의 문제점
- 화함을 만게 여러 차절을 경험한 에도 당시 자리
은 환상을 리기 어려움
- 거주지 대부분의 탈북청소년들은 외로과 소외감을 경험
탈북이주민의 절대수가 적고, 정부의 지방치 정책으로
지방도시에
치된 사람들은 더 큰 고통을 경험
- 이
과의 소통이 원적으로 가능함
생소한 아문화로 한 사람과의 교당형사나 교회 또는
복지기관의 자원
사자들로 국한됨
- 영구임대주
에 거주하는 생활보호 대상자인 자신이 한에서는
이 되다는 것을 게 되초조감과 절감을 느낌
- 자신만의 특별한 경험을 상자본으로 활용해보하지만 한 사회의
각 집단은 자신의 비참한 과거 경험과 여전히 어
려움고 있는 자
신에 대한 것뿐이라는 것을
게 되고 모문에 등함
- 대안학교보다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교육 수
이 높은 대학에 특
학제도를 통해 진학하기를 원함. 이러한 해방식에 반복 의하게
일반적이고 보적 상에 대한 적응능력이 개발되기 어려움

 

라. 교육지원체제의 비와 간단체의 반응 : 교육지원의 문제점
- 탈북청소년의 교육의 권리와 기회를 위한 최소한의 합리적인 제도적
장치는 아직 마련되지 않고 있음
- 근본적인 구조적 문제는
북 간 학제의 차이
한의 학제 6-3-3-4제
북한의 학제는 4-6-4-3제
- 지
10여 년간 북한 교육제도의 기능이 현히 교된 상에서 탈북
아동·청소년들의 학력은 대단히
차가 크고 심각한 부실 양상을 보임
- 개인의 수학 이력을 인정하는 여러 관
중 탈북청소년에게 적용되는
‘사회적 요구에
각한 관’은 한두 차이 또는 탈북시의 학력
에 따라 중학교와 대학교로 인생이 리는 모순점을 가지고 있음.
이러한 모된 제도교육 진체제를 아직도 정비하지 하고 있는 실정

 

- 북한에서의 학력을 인정아 학교에 편입하여도 대부분은 나이와
학년 간의 현격한 차이가 있고,
정고시 등을 통해 그 차이를
보아도 심각한 학력 차이와 문화 차이를 다시 복하여야 함.
과정에서 대부분 상
절과 실패, 탈경험을 경험
- 현재 다양한 민간단체가 탈북청소년들의 적응교육을

교육 목적
: 학력 증진, 상
, 한문화 체험, 정고시 대비, 탈북 과정의 상
에 대한 심리치, 사회 적응력 제고 등의 복합적인 목적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재하지만 탈북청소년들의 시각과 가치에
각해 한의 문화를 상대화하고 가하는 프로그램은 아보기가
려움
의 공간으로 선택하는 정고시 학원의 경에도 경제적인
이 되고, 일정 수이상을 어가가지로 지 않은
과정이 됨
- 학교에 다니는
새터민 청소년의 경에도 과 함께 학생의 신분을
게 되장학의 지원이 전
-
정고시 학원은 학교에 비해 구력이 적기에 학중 이탈이 쉬우며,
이탈
자포자기의 상태로 올이나 게임 등에 중독되거나 충동적
과소비로 정
착금진하고, 우울증을 거나 범또는 폭력의 유
지기도 쉬움

학 습 정 리
1. 탈북청소년의 문제점
- 보호 및 지원체계의 문제점
남한사회의 대응과 정체성의 혼란
적응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
- 교육지원의 문제점
환상과 대응전략 및 부적응(주택지원, 교육지원의 문제점)
교육지원체제의 미비와 민간단체의 반응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