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건강가정의 이론적 접근 Ⅰ
학습내용 1 | 가족발달이론과 가족생활주기 |
1. 가족발달이론
1) 가족발달이론의 배경
가족발달이론은 1930년대 미국 농업실험부의 연구 보고서에서 ‘가족생활주기(family life cycle)’와 ‘가족
발달(family development)'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된 이래 듀발(Duvall)과 힐(Hill)등의 학자를 중심으로
결혼과 가족에서의 변화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고안
2) 가족발달이론의 주요개념(8가지)
규범(norm) : 사회집단의 성원들이 보편적으로 수용하는 행동에 대한 기대이며, 학습된 반응
지위(status) : 가족 내에서의 위치
역할(role) : 각 지위에 부여되는 규범
단계(stage) : 가족생활을 구분하는 데 있어서 이전과 이후의 기간이 뚜렷이 구분되는 질적 변화를 수반
하는 기간
사건(event) : 특정 시점에서 발생하는 질적 변화를 의미
가족경력(family career) : 일련의 가족 발달 단계에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역할
전이(transitions) : 한 가족이 질적으로 구분되는 한 단계에서 다른 단계로 옮겨 갈 때 일어나는 것으
로, 결혼과 같이 두 단계 사이에서 질적 변화를 구분하는 사건을 전이적 사건이라 함
타이밍(timing) : 개인이나 가족이 특정 시점에서 특정한 사건을 경험하기를 사회로부터 기대를 받고 그
러한 기대에 따르는가의 여부
가족생활주기 개념은 가족발달이론에 가장 대표적인 개념으로 가족원들이 다양한 가족생활주기 단계로
옮겨감에 따라 경험하는 다양한 역할과 발달과업들을 어떻게 대처하는가에 일차적인 관심을 둠
[표1] 듀발의 전통적인 가족생활주기 단계와 발달과업
가족상활주기 단계 | 가족 내 지위 | 가족 발달과업 |
1. 신혼기 | 남편, 아내 | •상호 만족스러운 가족관계 수립 •임신에 대한 적응 •친족관계 적응 |
2. 첫 자녀 출산기 | 남편/부, 아내/모, 자녀 |
•임신과 출산 및 그에 대한 적응 •부모와 어린 자녀에게 만족스러운 가정 형성 |
3. 학령 전 자녀기 | 아내/모, 남편/부 딸/형제, 아들/형제 |
•학령 전 자녀의 욕구에 적응 •에너지 소모와 부모의 사생활 부족에 대처 |
4. 학동기 아동기 | 아내/모, 남편/부 딸/형제, 아들/형제 |
•지역사회에 적응 •자녀의 교육적 성취 격려 |
5. 청소년 자녀기 | 아내/모, 남편/부 딸/형제, 아들/형제 |
•자유와 책임감 사이의 균형 •탈부모기 이후 관심사 개발 |
6. 자녀 독립기 | 아내/모/조모, 남편/부/조부 딸/형제/이모나 고모, 아들/형제/삼촌이나 외삼촌 |
•청년기에서 성인기로 자녀가 독립 •지원적인 가정 기지로서의 유지 |
7. 중년기 부모기 | 아내/모/조모, 남편/부/조부 |
•부부관계에 재초점화 •노년 세대, 젊은 세대와의 친족관계 유지 |
8. 노년기 부모기 | 사별여성/사별남성 아내/모/조모 남편/부/조부 |
•배우자 사별과 독신생활에의 대처 •집을 팖 •퇴직에 적응 |
* 출처 : Olson & DeFrain(2006), p. 76.
2. 가족생활주기의 개념과 발달과업
1) 가족생활주기의 개념
가족생활주기는 자녀의 출생과 성장, 독립, 은퇴 등과 같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정생활이 변화하는 일
련의 과정을 의미
가족생활주기를 분류하면 가정 형성기, 확대기, 확대 완료기, 축소기, 축소 완료기로 [그림 1]과 같음
[그림 1] 가족생활주기
<가족생활주기의 기본가정>
가족은 변화한다.
가족이 변화함에 따라 가족원의 욕구와 발달과업이 달라진다.
대부분의 가족은 유사한 가족발달 단계를 거치며 그에 따른 욕구의 변화를 비슷하게 경험한다.
각 단계는 앞뒤 단계와 연관성을 갖고 있다.
많은 가족 들은 이러한 네 가지 기본적 가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음
따라서 가족생활주기는 많은 가족의 행동을 예측하는 데 중요하게 사용됨
➜ 가족생활주기는 가족원의 변화하는 발달적 욕구에 따른 연속적 단계
➜ 가족의 궁극적 목표와 방향을 보여줌
2)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발달과업
발달과업(Developmental task) : 가족이 다양한 단계 및 사건을 거치는 과정에서 성취해야만 하는 일
① 가정 형성기(신혼기)
가정생활을 시작하는 단계로 이때는 이후의 가족생활에 대한 계획을 수립
결혼을 통해 서로 다른 가정에서 각기 성장한 개인인 하나의 새로운 가족을 이루어 인생의 파트너로서
관계를 맺고 친밀감을 형성
양가와 새로운 친족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
부부로서의 관계를 정립하고 가사와 양육 역할에 대한 분담계획과 자녀 출산 계획을 세움
② 가정 확대기
가. 자녀출산 및 미취학 아동기
자녀 출산과 함께 부모로서의 역할 적응하며 부부 두 사람의 관계에서 자녀를 포함한 가족생활로의 전
환이 필요
증가된 가사노동과 자녀양육에 대해 부부가 분담하고 역할을 조정해야 함
이후에 증가하게 될 가계 지출과 주택 마련에 대한 경제적인 계획을 수립
나. 초등교육기
자녀 성장에 효과적으로 대비하여야 함
자녀가 학교생활에 적응하도록 준비시키고 학습할 분위기 조성
모든 가족구성원이 가사를 분담하고 가족 일에 대한 책임을 공유
부모로서 좋은 역할모델이 될 수 있도록 자녀와 함께하는 시간을 많이 가짐
다. 중ㆍ고등교육기
부모는 자아정체성을 탐색하면서 독립심이 커지는 청소년 자녀와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청소년 자
녀의 심리적 성장과 진로지도에 신경을 써야 함
자녀가 성장함에 따라 주거 공간을 재구성해 주고, 자녀의 적성과 진로에 관심을 갖고 함께 자녀의 장
래에 대한 계획을 세움
지나친 자녀 중심의 가족생활로 부부간의 관계가 주변적이 되거나 소홀해지고 부모로서의 권위가 손상
되는 일이 없도록 부부가 협력할 필요가 있음
③ 가정 축소기
가. 자녀 독립기
자녀의 결혼과 은퇴 이후의 생활에 대한 경제적 준비를 하고 자녀의 배우자와 관계를 정립하며 조부모
로서의 역할을 준비
자녀 독립 후 남게 되는 부부관계를 재조성하며 노화에 따른 신체적ㆍ심리적 변화와 관련하여 건강관리
에 힘씀
나. 은퇴기
이전에 세웠던 은퇴 이후의 경제생활과 주거생활에 대한 계획을 실행하며 늘어난 여가시간에 적응
배우자 사망에 따른 독신생활을 예상하며 자신의 죽음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고 준비
계속해서 자녀 및 손자녀와의 관계가 원만하게 유지되도록 노력하며 노년기의 건강관리에 힘씀
3. 가족생활주기와 건강가정의 관계
1) 의의
건강가정 개념에 발달단계의 개념을 도입하여 각 발달단계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나 스트레스를 예상하
고 단계에 맞는 발달과업을 잘 수행하며 중요한 변화 시점에서 그에 잘 대처하는 잠재력을 가진 가정이
건강가정임을 재확인시켜 줌
2) 한계
가족생활주기는 전형적인 중산층 핵가족의 단계를 모델로 하였기 때문에 오늘날처럼 이혼이나 재혼, 무
자녀 부부, 동거부부, 한부모가족, 다문화가족 등 복잡해지고 다양해진 가족에는 더 이상 적용하지 못함
학습내용 2 | 가족체계이론 |
1. 가족체계이론의 발생
결혼과 가족을 이해하는 가장 보편화된 개념적인 틀
특정 가족원에게 일어나는 모든 일은 모든 가족원에게도 영향을 미침
가족원은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하나의 집단으로 작동하므로 그 집단을 가족체계(family system)라고
함
가족체계이론은 일반체계이론에서 파생됨
체계(system)란 하나의 단일체나 유기체를 형성하기 위해 관련된 것들의 일련의 배열이며 상호작용하는
부분으로 만들어진 전체
2. 가족체계이론의 기본 개념
1) 다중체계의(multiple system) 수준
체계들이 다른 체계들 안에 끼워져 있다는 것
어떤 체계에 초점을 둘 때는 보통 상위체계와 하위체계가 포함됨
인간체계의 중심이 같은 일련의 원들로 특징지을 수 있음
[그림 2]에서 중앙에 있는 가장 작은 원은 개인일 수 있으며, 이를 둘러싼 원들은 부부 또는 가족, 지
역사회의 이웃, 도시, 국가, 대륙, 세계 등일 수 있음
모든 인간체계에 생각하는 것은 생태학적 접근으로 간주될 수 있음
[그림 2] 인간체계의 생태학적 접근
* 출처 : Olson & DeFrain.(2006), p. 66.
가족체계와 가족공동체, 사회구조와 문화적 구성의 네 가지 수준에서의 모든 요소는 상호작용하면서 가
족체계를 통하여 개인이 타인에 대해 갖는 의미를 형성하는데 작용
가족체계론적 관점에서 다중체계는 개인이나 가족은 상위의 다중체계들로 둘러싸여 있으며, 각 체계들
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영향을 주고받음
2) 경계(boundary)
경계는 상호 연관된 체계들의 위계를 의미하며, 각 체계는 크고 작은 체계와 눈에 보이지 않는 경계들
로 나뉨
투과성의 정도에 따라 개방체계와 폐쇄체계로 구분
가족은 경계를 성공적으로 다루기 위해 규칙이나 의례를 만듦
3) 전체성(wholeness)
전체성이란 전체는 부분의 합 그 이상이라는 의미
가족체계론적 접근에서 가족은 개개 가족원의 총합 그 이상
4) 상호의존성(interdependency)
각 가족 구성원의 행동은 다른 모든 가족 구성원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
5) 등결과성(equifinality)
다양한 시작이 하나의 동일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
6) 피드백(feedback)
가족체계의 변형과정을 감시하고, 수용된 표준 내에 있는지를 알기 위해 끊임없이 산출을 평가하는 과
정
7) 가족 항상성(family homeostasis)
가족체계의 형태나 구조를 바꾸려고 노력하면 할수록 가족체계는 그에 저항하여 변화하지 않고 남아있
으려는 경향
3. 가족체계이론과 건강가정과의 관계
가정의 건강성을 위해서는 가족원 개개인이 자신에게 필요한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능력을 개발하고,
개인 자신이 속한 하위체계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
하위체계 간의 상호 독립과 상호의존의 균형을 맞추면서, 동시에 가족 전체의 안녕과 건강성을 유지해
야 한다는 것을 강조
가족체계이론의 관점은 개인, 가족 사회가 모두 서로 상호작용을 하며 상호의존적이며 상호영향을 주는
공동체적 운명을 가진 유기체와 같다는 점을 재확인시킴
개인과 가정의 문제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변화된 사회가 개인과 가족에게 요구되는 것과 미치
는 영향에 대해 다각적으로 인식하게 해줌
학습내용 3 | 가족역동성 모델 및 가족응집성과 가족융통성 |
1. 가족역동성 모델의 내용
가족체계이론에서의 주요개념을 근거하여 올슨(Olson)과 그의 동료들은 순환모델을 개발하였는데 이를
흔히 가족체계 모델 혹은 가족역동성 모델이라고 함
이후에 ‘부부와 가족의지도(Couple and Family Map)’라고 명명 = 가족역동성 모델
가족역동성 모델은 건강가족적 관점에서도 중요시되는 가족체계의 세 가지 차원으로 가족응집성과 가족
융통성의 두 차원을 축으로 하는 네 가지 수준을 조합하여 총 열여섯 가지의 부부 및 가족관계 유형을
제시([그림 3] 참고)
*출처 : Olson & DeFrain.(2006), p. 88.
(균형) 연결된 관계, 응집력 있는 관계 /(불균형) 속박된 관계, 분리된 관계
가족응집성은 가족관계에서 독립성과 친밀감을 유지하면서 분리와 연결의 극단 사이의 역동적인 균형을
의미
가족융통성은 안정과 변화 사이의 역동적인 균형을 의미
➜ 의사소통의 변화가 필요할 때 가족응집성과 가족융통성 수준에서 변화를 만들어 내는데,
의사소통은 응집성과 융통성에서 극단에 있는 가족들이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함
2. 가족 응집성, 가족 융통성 및 의사소통
1) 가족 응집성
가족이 얼마나 서로 간에 정서적 유대감이 강한지에 대한 것으로, 가족원 간의 정서적 친밀감을 말함
가족응집성의 본질은 분리와 연결 간의 균형이라 할 수 있음
가족 응집성은 낮은 정도에서 높은 정도까지 네 가지 차원이 있음
균형 잡힌 수준 : 연결된 관계(connected relationships)와 응집력 있는 관계(cohesive relationships)
연결된 관계 : 가족관계보다 개인에 더 중점을 두는 반면, 응집력 있는 관계는 개인보다 가족에게 더 중
점을 둠
분리된 관계(disengaged relationships) : 가족 간의 친밀감이 없고 개인적인 독립성과 분리성을 강조
속박된 관계(enmeshed relationships) : 가족 간의 친밀성과 충성심, 의존성 같은 유대를 강조
지나치게 속박된 관계 : 상대방에게 불가능하거나 이상적인 기대를 요구하거나 혹은 개인적 발달을
질식시키는 등 문제를 초래
지나치게 분리된 관계 : 가족원들이 자신에게만 몰두함으로써 다른 가족원과의 친밀한 관계를 발달시키
거나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가져올 수 있음
[표2] 가족응집성의 수준
특징 | 분리된(불균형) | 연결된(균형) | 응집력 있는(균형) | 속발된(불균형) |
분리성과 연결성 | 높은 분리성 | 연결성보다 분리성이 높음 |
분리성보다 연결성이 높음 |
매우 연결됨 |
나-우리 균형 | 우선적으로 ‘나’ | ‘우리’ 보다는 ‘나’ | ‘나’보다는 ‘우리’ | 우선적으로 ‘우리’ |
친밀성 | 낮은 친밀성 | 낮거나 중간 정도의 친밀성 |
중간이나 높은 정도의 친밀성 |
매우 높은 친밀성 |
충성심 | 충성심으로 부족 | 다소 충성심 가짐 | 상당히 충성심 가짐 |
높은 충성심 |
활동 | 주로 가족과 분리된 활동 |
공유하기보다는 분리된 활동 |
분리되기보다는 공유된 활동 |
주로 가족과 공유된 활동 |
의존성-독립성 | 독립성이 높음 | 의존성보다는 독립성이 많음 |
독립성보다는 공유된 활동 |
의존성이 높음 |
* 출처 : Olson & DeFrain.(2006), p. 82.
➜ 건강한 가족은 개개 가족원이 개인으로서의 ‘나’와 가족으로서의 ‘우리’ 사이의 균형을 맞추며
자신의 개성과 가족 간의 친밀성을 유지하는 가족이라 할 수 있음
2) 가족 융통성
가족이 외부의 변화에 얼마나 잘 적응할 수 있는가를 보여 주는 것
가족체계가 안정성과 변화 간에 균형을 이루는 능력
네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짐([표3] 참고)
[표3] 가족 융통성의 수준
특징 | 경직된(불균형) | 구조화된(균형) | 융통성 있는(균형) | 혼란스러운(불균형 ) |
지도력 | 권위주의적인 | 때로 공유된 | 자주 공유된 | 지도력의 부족 |
훈육 | 엄격한 훈육 | 다소 민주적인 | 민주적인 | 관대한 훈육 |
타협 | 제한된 논의 | 조직화된 논의 | 개방적인 논의 | 끝없는 논의 |
역할 | 매우 안정적인 역할 |
안정적인 역할 | 역할 공유 | 획기적인 전환 역할 |
규칙 | 규칙 변경이 없음 | 규칙 변경이 거의 없음 |
다소 규칙 변경이 있음 |
빈번한 규칙 변화 |
변화 | 거의 변화가 없음 | 적당한 변화 | 적당한 변화 | 상당한 변화 |
* 출처 : Olson & DeFrain.(2006), p. 85.
3) 가족 의사소통
일반체계이론의 기본적인 원리 중 하나는 체계에서는 피드백, 즉 의사소통이 필수적이라는 것임
가족체계에서 피드백의 개념은 곧 의사소통으로 의사소통은 부부나 가족 간의 마찰을 완화시켜주는 윤
활유 역할을 함
가족 의사소통 기술을 측정할 때는 경청 기술, 말하는 기술, 자기 개방, 명료성, 주제에 초점 맞추기, 존
경, 존중심의 여섯 가지 차원이 고려됨([표4] 참고)
[표4] 가족 의사소통의 수준
특징 | 낮다 | 높다 | 매우 높다 |
경청기술 | 경청 기술의 부족 | 경청은 하지만 피드백이 제한적임 |
좋은 경청 기술로 피드백을 줌 |
말하는 기술 | 가끔 다른 사람을 위해 말함 |
다른 사람보다 자신을 위해 말함 |
다른 사람보다 주로 자신을 위해 말함 |
자기 개방 | 낮은 감정 공유 | 중간 수준의 감정 공유 |
높은 감정 공유 |
명료성 | 불일치한 메세지 | 분명한 메세지 | 매우 분명한 메세지 |
주제에 초점 맞추기 | 부제에 대해 거의 이야기 하지 않음 |
가끔 주제에 맞춰 이야기 함 |
거의 주제에 맞춰 이야기 함 |
존경과 존중심 | 낮거나 보통 | 보통이거나 높음 | 높음 |
* 출처 : Olson & DeFrain.(2006), p. 86.
3. 가족역동성 모델과 건강가정의 관계
건강가정은 가족 응집력과 융통성에서 균형 잡히고 좋은 의사소통 기술을 고르게 가진 가정을 의미
건강가정의 개념은 건강한 가정과 건강하지 않은 가정의 이분법으로 구분될 수 없음
건강가정은 한 시점에서 계속 유지되는 것이 아님
모든 형태의 가족은 건강성이 매우 높은 차원에서 낮은 차원까지 변화를 경험
학습정리 |
1. 가족발달이론과 가족생활주기
1) 가족발달이론의 배경
(1) 가족발달이론의 주요개념
∙ 주요개념(8가지) : 규범, 지위, 역할, 단계, 사건, 가족경력, 전이, 타이밍
(2) 듀발(Duval)은 전통적인 8단계의 가족생활주기와 발달과업
∙ 신혼기, 첫 자녀 출산기, 학령 전 자녀기, 학동기 아동기, 청소년 자녀기, 자녀 독립기, 중년기 부모
기, 노년기 부모기
2) 가족생활주기의 개념과 발달과업
(1) 가족생활주기의 개념
∙ 가족생활주기는 자녀의 출생과 성장, 독립, 은퇴 등과 같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정생활이 변화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
(2) 가족생활주기별 발달과업
∙ 발달과업(Development task) : 가족이 다양한 단계와 사건을 거치는 과정에서 성취해야만 하는 일
2. 가족체계이론
1) 가족체계이론의 발생
∙ 가족원은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하나의 집단으로 작동하므로 그 집단을 가족체계라고 함
2) 가족체계이론의 기본 개념
(1) 다중체계의 수준(2) 경계(3) 전체성(4) 상호의존성(5) 등결과성(6) 피드백(7) 가족 항상성
3) 가족체계이론과 건강가정과의 관계
∙ 가정의 건강성을 위해서는 가족원 개개인이 자신에게 필요한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능력을 개발하
고, 개인 자신이 속한 하위체계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
3. 가족역동성 모델 및 가족응집성과 가족융통성
1) 가족역동성 모델의 내용
∙ 가족체계이론에서의 주요개념을 근거하여 올슨(Olson)과 그의 동료들은 순환모델을 개발하였는데 이
를 흔히 가족체계 모델 혹은 가족역동성 모델이라고 함
2) 가족 응집성, 가족 융통성 및 의사소통
(1) 가족 응집성 : 가족이 얼마나 서로 간에 정서적 유대감이 강한지에 대한 것으로, 가족원 간의 정서
적 친밀감을 말함
(2) 가족 융통성 : 가족이 외부의 변화에 얼마나 잘 적응할 수 있는가를 보여 주는 것
(3) 가족 의사소통 : 일반체계이론의 기본적인 원리 중 하나는 체계에서는 피드백, 즉 의사소통이 필수
적이라는 것임
3) 가족역동성 모델과 건강가정의 관계
∙ 건강가정은 가족 응집력과 융통성에서 균형 잡히고 좋은 의사소통 기술을 고르게 가진 가정을 의미
'건강가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복지직 등 건강가정론 요약 정리 7. 건강가정을 위한 정책Ⅰ (0) | 2022.06.29 |
---|---|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복지직 등 건강가정론 요약 정리 6. 건강가정의 이론적 접근Ⅱ (0) | 2022.06.28 |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복지직 등 건강가정론 요약 정리 4. 다양한 가족의 건강성 (0) | 2022.06.25 |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복지직 등 건강가정론 요약 정리 3. 생애주기별 가족의 건강성 (1) | 2022.06.24 |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복지직 등 건강가정론 요약 정리 2. 건강가족의 개념Ⅱ (0) | 2022.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