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가정론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복지직 등 건강가정론 요약 정리 4. 다양한 가족의 건강성

728x90
반응형

4. 다양한 가족의 건강성

 

학습내용 1 분거가족

1. 분거가족의 현황
비동거 가족이라는 새로운 유형의 생활양식이 대두됨
학업이나 취업 등의 다양한 이유로 인한 비동거 가족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가족을 정의할 때 전통적으
로 중요시 되던 개념 중의 하나인 동거 여부의 중요성은 점차 쇠퇴되어 가고 있음
최근에는 자발적인 분거를 선택하는 별거왕래형의 주말부부
남편의 직업 아닌 아내의 취업으로 인한
맞벌이 분거가족이 증가
부부가 서로 원하는 직장을 위해서 비동거 즉, 부부왕래형 또는 자발적 분거가족으로 변화하고 있음

 

1) 분거가족의 실태 및 분거의 이유
배우자와 미혼자녀 모두 직장 때문
배우자의 경우 2010년까지는 자녀교육지원과 보육이었으나 최근에는 가족 간 불화가 자녀교육지원보다
세 배 이상 더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음
미혼자녀의 분거의 이유는 직장, 학업, 군대의 순

 

2) 배우자 분거 관련 요인
배우자 분거가구의 분거이유는 연령과 소득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배우자와 떨어져 사는 비율이 높은 연령대는 40~60대였는데, 이 중 50대 배우자의 분거 비율이 가장
높음
분거 이유로는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직장으로 인한 분거는 줄었으며, 20~30대에 비해 40~60대가 자녀
교육지원을 위한 분거비율이 높았으며, 40대부터는 가족 간 불화로 인한 분거가 증가, 60대에는 건강으
로 인한 분거가 급속하게 증가하였음.
가족 분거의 사유는 소득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소득이 낮을수록 ‘건강’과 ‘불화’로 인한 배우자 분거
의 비율이 높았음

 

[표1] 배우자 분거가구의 연령, 소득에 따른 분거 이유(단위 : %)

2. 맞벌이 분거가족의 특성과 어려움
1) 맞벌이 분거가족의 정의 및 특성
정의 : 서로 다른 지역에 직업과 거주지를 가지고, 일주일에 3일 이상을 떨어져 살면서 자신들의 직업
적 목표를 추구하는 동시에 결혼생활을 유지하는 사람들로 정의
특성 : 경제적인 목적보다는 부인의 직업적 성취와 자아실현이 중요한 분거의 이유이며, 주말부부의 선
택이 자발적
2) 맞벌이 분거가족의 어려움
부부간에 상대방에 대해 비현실적인 기대를 가지기 쉬움
친구, 동료 및 친지와의 접촉 기회가 줄어듦
자녀가 있는 경우 자녀를 부양해야 하는 배우자와 따로 사는 배우자의 역할에 큰 차이가 있음
맞벌이 분거가족의 경우 가족관계나 역할의 롤 모델이 없어 갈등을 겪게 됨
자녀양육의 문제
부부가 함께 사는 가족에 비해 지출이 많음

 

3. 맞벌이 분거가족의 건강성
1) 맞벌이 분거가족의 장점
① 부부 각자가 자신의 직업과 관련된 경력을 추구하여 자아실현을 할 수 있음
② 주중에 자신의 일에 좀 더 집중할 자유가 있음
③ 주중에 헤어져 있다가 주말에 재회했을 때의 기쁨이 있음
④ 독립의 기회와 자율성을 획득할 수 있음
⑤ 역할의 공평한 분담이 가능
⑥ 주중에 혼자서 자녀를 양육하고 직장생활도 해야 하므로 집안의 대소사에서 면제를 받을 수 있음
⑦ 부부갈등의 정도가 낮고 가족이 화목
⑧ 함께 있는 시간이 적기 때문에 사소한 갈등으로 인한 감정 소모가 적음
⑨ 함께 있지 않은 대신 전화나 이메일 등으로 연락을 취하기 때문에 의사소통의 기회가 많음
⑩ 남편이 주중에 함께 해주지 못해서 주말에 가사와 자녀양육을 적극적으로 도와줌
⑪ 함께 있을 때 서로의 소중함을 느끼게 됨
⑫ 부모-자녀관계가 더욱 가까워짐
⑬ 자녀의 독립성이 발달

 

2) 맞벌이 분거가족의 건강성 관련 요인
① 부부 각자의 자신의 직업에 대한 강한 동기
② 아내의 직업추구에 대한 남편의 지지
③ 높은 수입
④ 지리적 근접성
⑤ 자녀양육의 책임이 최소한인 경우
⑥ 부부관계만족도
⑦ 분거의 기간이나 만남의 규칙성
⑧ 아버지의 방문횟수와 방문기간
⑨ 맞벌이 분거부부가 인지하는 사회적 지원

 

4. 맞벌이 분거가족을 위한 지원
자녀양육을 위한 지원
가부장적 성역할 규범을 바꾸기 위한 문화적 노력
가족친화적인 직장문화의 정착 및 확대 필요
맞벌이 분거가족의 의식변화를 위한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
맞벌이 분거가족을 바라보는 사회적 인식의 변화

학습내용 2 한부모가족과 재혼가족

1. 한부모가족
1) 한부모가족의 개념
이혼, 별거, 사망, 유기 등 여러 가지 사유로 양친 중의 한 쪽과 그 자녀로 이루어진 가족
자녀의 보호를 누가 맡느냐에 따라 모가 주 양육자일 때 여성 한부모가족 혹은 모자가족,
부가 주 양육자이면 남성 한부모가족 혹은 부자가족
한부모가족지원법 제1장 제4조의 정의
제4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개정 2008. 2. 29., 2010. 1. 18., 2011. 4. 12., 2012. 2. 1., 2014. 1. 21.>
1. "모" 또는 "부"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로서 아동인 자녀를 양육하는 자를
말한다.
가. 배우자와 사별 또는 이혼하거나 배우자로부터 유기(遺棄)된 자
나. 정신이나 신체의 장애로 장기간 노동능력을 상실한 배우자를 가진 자
다. 교정시설ㆍ치료감호시설에 입소한 배우자 또는 병역복무 중인 배우자를 가진 사람
라. 미혼자{사실혼(事實婚) 관계에 있는 자는 제외한다}
마. 가목부터 라목까지에 규정된 자에 준하는 자로서 여성가족부령으로 정하는 자
1의2. "청소년 한부모"란 24세 이하의 모 또는 부를 말한다.
2. "한부모가족"이란 모자가족 또는 부자가족을 말한다.
3. "모자가족"이란 모가 세대주{세대주가 아니더라도 세대원(世代員)을 사실상 부양하는 자를
포함한다}인 가족을 말한다.
4. "부자가족"이란 부가 세대주{세대주가 아니더라도 세대원을 사실상 부양하는 자를
포함한다}인 가족을 말한다.
5. "아동"이란 18세 미만(취학 중인 경우에는 22세 미만을 말하되, 「병역법」에 따른
병역의무를 이행하고 취학 중인 경우에는 병역의무를 이행한 기간을 가산한 연령 미만을
말한다)의 자를 말한다.

 

2) 한부모가족의 현황
한부모가구 수는 2000년 1,124,000가구로 7.9%이었으나 2015년에는 9.9%(1,886,362가구)를 차지하고
있음
한부모가족 형성 원인으로는 2000년 사별 44.7%, 이혼 21.9%, 미혼 10.9%이었으나, 2015년에는 이혼
37.3%, 사별 27.1%, 사별 27.1%, 미혼 11.4%등으로 나타나 한부모가정의 비율 중 사별가정의 비율은
감소하고 있는 반면 이혼가정의 비율은 증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음

 

[표2] 한부모가족 형성요인별 현황(단위 : 1,000가구, %)

연도 총 가구수 유배우 사별 이혼 미혼 한부모가구 비율
1985 9,571 254
(30.0)
443
(52.2)
50
(5.9)
101
(11.9)
848
(100)
8.9
1990 11,355 227
(25.5)
498
(56.0)
79
(8.9)
85
(9.6)
889
(100)
7.8
1995 12,958 216
(22.5)
526
(54.8)
124
(12.9)
94
(9.8)
960
(100)
7.4
2000 14,312 252
(22.5)
502
(44.7)
245
(21.9)
122
(10.9)
1,124
(100)
7.9
2005 15,887 328
(23.9)
501
(36.6)
399
(29.1)
142
(10.4)
1,370
(100)
8.6
2010 17,339 413
(25.9)
474
(29.7)
523
(32.8)
185
(11.6)
1,594
(100)
9.2
2015 19,013 457
(24.3)
511
(27.1)
702
(37.3)
214
(11.4)
1,889
(100)
9.9

주 : 1) 한부모가구의 혼인상태가 유배우인 경우는 배우자가 가출, 유기, 장기복역 등의 상태임을 의미

2) 총 가구 수 대비 한부모가구 수의 비율임
* 출처 : 통계청. 인구주택 총조사 각 연도
[표3]과 같이 한부모가구 구성 현황은 2015년 모자가정은 약 77%, 부자가정은 약 23%의 분포를 보임
모자가정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부자가정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더 높은 증가추세로 나타
나 부자가정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기울여야함을 보여줌
[표3] 한부모가구 구성 현황(단위 : 1000가구, %)

유 형 2000년 2005년 2010년 2015년
가구 수(%) 가구 수(%) 가구 수(%) 가구 수(%)
모자가정 904(80) 1,083(79) 1,247(78) 1,374(77)
부자가정 220(20) 287(21) 347(22) 409(23)
총 계 1,124(7.9) 1,370(8.6) 1,594(9.2) 1,886(9.5)

* 출처 : 통계청. 인구총조사 각 연도 혼인상태별 한부모 가구주 분포

 

3) 한부모가족의 문제
① 경제적 문제
한부모가족의 가장 심각한 문제
다수의 한부모가족이 근로빈곤층에 해당됨
자녀양육 곤란, 빈곤 세습 야기함
② 자녀양육 문제
자녀양육과 교육문제 가장 큰 어려운 문제
생계유지로 인해 자녀와의 대화와 돌봄시간 부족으로 자녀가 혼자 있는 시간이 많음
양육비, 교육비 부담이 크게 나타남
③ 심리ㆍ정서적 문제
배우자와 이별 후 부정적 정서반응 지배적으로 나타남
한부모가족이 겪는 상실감, 배신감, 분노감, 우울감, 좌절감, 실패감과 같은 심리ㆍ정서적 혼란은 적응에
어려움을 야기
④ 사회적 문제
한부모 가족에 대한 사회 전반에 퍼져 있는 사회적 통념이 가족구성원들을 위축하게 함
한부모가족 자녀를 요보호 대상, 결손가족으로 보는 시각과 편견
사회지지망이 협소하고 취약하여 한부모가족 기능에 악영향을 미침
한부모가족의 정서적 지지는 공적지지망보다 부모 형제와 같은 사회적 지지망이 큰 역할을 하고 있어
사회적지지망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남성 한부모가족의 경우 심리적ㆍ정서적 어려움을 혼자 떠안고 있
는 실정임

 

4) 한부모가족의 건강성
① 한부모가족의 강점
가족유대, 응집성을 더 긍정적으로 지각 - 자녀와의 친밀성, 자녀에 대한 이해 긍정적 질적 변화 경험
자율성, 독립성, 융통적인 성역할 의식을 가짐 - 집안일에 책임의식과 융통성 있는 성역할 태도와 동등
한 실천
개방적인 의사소통 - 대화를 통한 이해, 대화로 서로의 의견 수렴, 솔직한 대화
< 건강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특성(공선영, 2000) >
- 사별이나 이혼으로 모는 경제적 자립을 통해 생활의 자신을 얻는 중요한 경험을 하게 됨
- 자유로운 시간을 통해 새로운 자아를 발견하고 발전시킴
- 자녀와의 유대감으로 모자가족의 어려움 극복에 도움이 됨
- 역할수행 측면에서 스스로 가장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자신의 능력에 신념을 갖게 됨
- 대인관계 측면에서 주위 사람들과 더 가까워지는 좋은 계기가 됨
- 어려움이나 문제 상황에서 주로 개인적, 적극적 대처전략을 활용함
② 한부모가족의 건강성 관련 요인
가. 개인적 자원 : 자아존중감, 내적통제성, 경제적 자립
나. 가족적 자원 : 가족탄력성, 개방적 의사소통, 가족응집력, 사회경제적 자원
다. 사회적 자원 : 사회적지지

 

5) 한부모가족을 위한 지원
한부모가족의 건강성을 강화하기 위한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실시
국가, 지역사회, 학교 등의 사회적 관계망 형성
저소득 한부모가족에 대한 국민기초생활보장 수혜 보호수준 확대
한부모와 자녀 간의 관계를 증진할 수 있는 다양한 여가 프로그램, 상담 프로그램을 발굴ㆍ보급
문화 바우처 등을 청소년기 자녀를 둔 한부모가족에게도 확대 지원하는 등 관련 지원 서비스 확충
빈곤의 대물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아동과 청소년에 대한 복지정책 강화
정보화 사회에서의 한부모가족 지원을 위한 전달체계의 효율성 제고

 

2. 재혼가족
1) 재혼가족의 실태
[표4] 부부의 혼인형태별 구성비와 재혼 연령(단위 : 천 건, %, 세)

구분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총 혼인건수 327.7 309.8 326.1 329.1 327.1 322.8 305.5 302.8 281.6 264.5 257.6
남(초)+여(초) 76.2 76.5 78.1 78.6 78.6 79.2 78.4 78.7 78.7 77.9 77.6
남(재)+여(초) 4.6 4.5 4.3 4.2 4.1 4.0 4.0 3.9 4.0 4.0 4.0
남(초)+여(재) 6.3 6.1 5.6 5.7 5.8 5.6 6 5.9 5.9 6.1 6.2
남(재)+여(재) 12.9 12.9 12 11.5 11.5 11.2 11.6 11.5 11.4 11.7 11.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재혼
연령
남자 45.0 45.7 46.1 46.3 46.6 46.8 47.1 47.6 48.2 48.7 48.9
여자 40.3 41.1 41.6 41.9 42.3 42.5 43.0 43.5 44.0 44.4 44.6

* 출처 : 통계청(2019). 2018 혼인ㆍ이혼 통계

 

2) 재혼가족의 특성과 적응문제
① 재혼 이유
2017년 한 재혼정보회사가 전국 ‘돌싱(돌아온 싱글)’ 남녀 512명(남녀 각 256명)을 대상으로 재혼을 하
고 싶은 이유
[표5] 전국 ‘돌싱(돌아온 싱글)’ 남녀

구분 남성 여성
1순위 탈혼성(26.2%) 탈고독(31.3%)
2순위 탈혼밥(22.7%) 탈곤궁(25%)
3순위 탈살림(16.7%) 탈혼밥(18%)
4순위 탈고독(12.1%) 탈혼성(13.7%)

* 출처 : 윤경자ㆍ김정옥ㆍ현은민ㆍ전영자ㆍ유계숙ㆍ김은경(2019). 건강가정론. pp133 구성

② 재혼가족의 특성
가. 가족구조의 복잡성
나. 가족 경계의 모호성
다. 가족생활주기와 개인생활주기의 불일치
라. 법적인 보호 장치의 부재
마. 새 형제자매 관계의 형성 및 문제
바. 재혼가족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
③ 재혼가족의 적응
가. 재혼가족의 적응
재혼가족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소득수준, 계부모의 성, 자녀의 나이와 재혼기간, 정서적 지지,
역할의 명료성 등
나. 재혼한 배우자의 적응
계부모의 성별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계모인 경우 계부인 경우보다 적응이 더 어려워 일반적인 가족의
어머니에 비해 스트레스, 불안, 우울증 또는 분노를 더 많이 경험
자녀와의 갈등이 줄어들수록 남편과의 갈등해결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짐
다. 재혼가족 자녀의 적응
선행연구에 의하면 재혼가정의 자녀들이 일반가정의 자녀들에 비해 학업수행에 어려움을 보이고 중도에
학업을 포기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사회적으로도 계자녀의 딸이 우울과 분노가 교차
하는 증세, 심각한 우울증, 스트레스와 분노의 감정 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밝혀짐
친족과의 갈등도 재혼한 배우자의 적응에 방해요인이 되었는데 친족은 재혼가족의 갈등을 유발하기도
하지만 중요한 지지집단이기도 한 것으로 나타남
부모의 재혼 시 재혼에 대한 자녀의 의사반영 여부와 자녀가 부모의 재혼과정에 참여하였는지 여부, 의
사소통 정도, 자녀의 성과 재혼부모의 성, 가족의 경제수준과 친부모와의 관계에 따라 재혼가족 자녀의
적응은 달라지는 것으로 밝혀짐
3) 재혼가족의 건강성
재혼 전보다 재혼생활에 더 만족함
결혼이 해체되는 이혼과는 달리 가족의 재구성을 통해 손상된 가족의 기능을 회복하고 가족의 건강과
행복을 도모할 수 있음
4) 재혼가족을 위한 제안과 지원
① 재혼을 준비하는 가족들을 위한 제안
첫째, 경제계획과 주거에 대해 준비
둘째, 이전의 결혼에서의 감정과 문제를 해결하고 출발
셋째, 부모역할의 변화를 예측하고, 새 가족의 규칙을 정하고 전통을 세움
② 재혼가족을 위한 지원
가. 재혼준비교육과 재혼가족을 위한 가족관계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 필요
나. 재혼가족의 친족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요구됨
다. 재혼부부와 가족을 대상으로 다양한 형태의 가족상담 실시
라. 자조그룹 형성
마. 재혼가족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사회적 배려 필요

학습내용 3 조손가족

1. 조손가족의 실태
자녀양육 능력을 상실한 2세대인 성인 자녀를 대신하여 1세대 조부모가 18세 이하인 3세대 손자녀 양
육의 1차적인 책임을 전담하면서 대리부모 혹은 대리양육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가족
1) 조손가족의 현황
조부모의 평균 연령 : 만 72.6세
손자녀의 평균 연령 : 만 13.3세
조손가족 손자녀의 양육을 주로 책임지는 사람 : 조모 82.7%, 조부 17.3%, 조손가족 조부모의 17.1%
만이 배우자와 동거하면서 손자녀를 돌보고 있었고, 82.9%는 조부모 중 한 사람만 손자녀와 생활하고
있었음
생활양육하고 있는 손자녀와의 혈연관계 : 친손자녀 80.8%, 외손자녀 17.7%
조손가족에서 양육되고 있는 손자녀의 수 : 평균 1.4명
(1) 조손가족 형성의 주요 이유
1위 : 친부모의 이혼이나 재혼(53.2%)
2위 : 친부모의 가출이나 실종(14.7%)
3위 : 친부모의 질병이나 사망(11.4%)
4위 : 친부모의 실직이나 파산(7.6%)
5위 : 친부모의 취업(6.7%)

 

2) 손자녀의 친부모와의 관계
친부모의 현황
친부 : 생사를 알지 못하는 경우 14.5%, 사망 11.5%
친모 : 생사를 알지 못하는 경우 31.8%
친부모 모두 생사를 알지 못하는 경우도 8.8%
친부모로부터의 양육비 지원 여부 : 25.9%가 친부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음
손자녀와 친부모와의 연락의 정도 : 친부 50.8%, 친모 34.5%
친부모와의 관계를 종합해 보면 친부가 친모에 비해 연락이나 만남도 잦고, 양육비도 더 많이 지원
하는 것을 알 수 있음

 

3) 조손가족의 경제적 상황
조손가족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경제적 문제
2011년 노인실태조사 밝혀진 노인가구의 월소득 180만 1,500원의 33.1%, 그리고 2010년도 2인 가구
최저생계비 85만 8천 원의 69.6%에 불과해 대부분의 조손가족이 최저생계비 이하의 빈곤층
조손가족의 대부분은 손자녀의 친부모가 부양자로 등록되어 있어서 기초생활수급대상자에서 제외되지만
손자녀의 친부모로부터 정기적으로 양육비를 지원받는 경우는 30%에도 미치지 못하고 실질적으로는 양
육비를 보내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다수의 조손가정이 빈곤상태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고 있는 조부모의 직업은 단순노무직이 20.2%로 가장 많았고 정규직이나 비정규
직에 근무하는 경우는 11.2%에 불과

 

4) 조손가족 조부모의 건강문제
6개월 이상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 40.8%로 가장 많음
크고 작은 잔병에 시달리는 경우 : 33.1%,
질병으로 인해 건강하지 못한 경우 : 73.9%
나이에 비해 건강한 편이라는 응답은 16.9%로 상대적으로 매우 적었음
5) 손자녀 양육 실태
조부모들이 손자녀를 양육하면서 부딪히게 되는 가장 어려운 문제는 양육(교육)에 따른 경제적 문제
(66.2%)였고, 아이의 생활 및 학습지도 문제(11.5%)가 다음으로 나타났음
손자녀 양육 향후 계획에 대한 질문에 손자녀가 성년이 될 때까지 자신들이 양육하겠다고 응답한 조부
모가 63.5%였으며, 29.5%는 친부모가 찾으러 올 때까지 키우겠다고 응답하여 대부분의 조부모가 손자
녀의 양육에 대한 의지를 포기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음
정부와 사회는 조손가족을 일시적 일탈적 가족유형으로 보기보다는 새로운 가족유형의 하나로 인정
하고 이들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보다 적극적이고 세심한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

 

2. 조손가족의 적응과 어려움
1) 조부모의 적응과 어려움
높은 우울증상과 시간에 어긋나는 아동양육역할로 인한 스트레스
손자녀 양육으로 인한 사회적 고립감과 손자녀의 문제행동으로 인한 심리적 부담감

 

2) 조손가족 손자녀의 적응문제
낮은 일상생활 만족도와 환경의 변화에 취약
개인적인 역량과 능력의 감소
발달지체나 정서적 문제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음
대인관계의 문제 경험 가능성

 

3. 조손가족의 건강성
1) 조부모 측면에서의 건강성
∙ 손자녀 양육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손자녀를 소중한 존재로 인식함
∙ 손자녀로 인해 열심히 살아갈 목표가 생기며 손자녀가 자랑스럽고 즐거움을 주는 대상
∙ 손자녀를 돌보는 것을 통해 신체적 보상감과 보람, 대견함을 느낌
∙ 외롭고 울적한 느낌이 감소되는 심리적 보상감
∙ 가까운 친지나 주변으로 부터 인정을 받는 사회적 보상감

 

2) 손자녀 측면에서의 건강성
∙ 조부모를 잘 따르고, 전보다 명랑하고 밝아짐
∙ 손자녀의 심리적 안정과 사회적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

 

4. 조손가족을 위한 지원
조손가족에 대한 정부차원의 경제적 지원과 정책 필요
조손가족에 대한 친족과 지역사회의 지원
전국의 건강가정지원센터 등을 통해 조손가족과 조손가족을 지원하기 위한 자원 연계
조손가족의 가족기능 강화를 위한 가족중심의 포괄적 서비스 제공
조손가족의 조부모들을 위한 자조집단 형성
조손가족에 대한 편견을 없애기 위한 다양한 시도 필요

학습정리

1. 분거가족
1) 분거가족의 현황
∙ 비동거 가족이라는 새로운 유형의 생활양식이 대두됨
∙ 부부가 서로 원하는 직장을 위해서 비동거 즉, 부부왕래형 또는 자발적 분거가족으로 변화하고 있음
(1) 분거가족의 실태 및 분거의 이유
(2) 배우자 분거 관련 요인

 

2) 맞벌이 분거가족의 특성과 어려움
(1) 맞벌이 분거가족의 정의 및 특성
① 정의 : 서로 다른 지역에 직업과 거주지를 가지고, 일주일에 3일 이상을 떨어져 살면서 자신들의 직
업적 목표를 추구하는 동시에 결혼생활을 유지하는 사람들로 정의
② 특성 : 경제적인 목적보다는 부인의 직업적 성취와 자아실현이 중요한 분거의 이유이며, 주말부부의
선택이 자발적
(2) 맞벌이 분거가족의 어려움

 

3) 맞벌이 분거가족의 건강성
(1) 맞벌이 분거가족의 장점
(2) 맞벌이 분거가족의 건강성 관련 요인과 지원

 

2. 한부모가족가족과 재혼가족
1) 한부모가족
(1) 한부모가족의 개념
∙ 이혼, 별거, 사망, 유기 등 여러 가지 사유로 양친 중의 한 쪽과 그 자녀로 이루어진 가족
(2) 한부모가족의 현황
∙ 모자가정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부자가정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더 높은 증가추세로 나
타나 부자가정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기울여야함을 보여줌

(3) 한부모가족의 문제
∙ 경제적 문제, 자녀양육 문제, 심리ㆍ정서적 문제, 사회적 문제
(4) 한부모가족의 건강성
(5) 한부모가족을 위한 지원
2) 재혼가족
(1) 재혼가족의 실태
(2) 재혼가족의 특성과 적응문제
(3) 재혼가족의 건강성
(4) 재혼가족을 위한 제안과 지원
3. 조손가족
1) 조손가족의 실태
∙ 자녀양육 능력을 상실한 2세대인 성인 자녀를 대신하여 1세대 조부모가 18세 이하인 3세대 손자녀 양
육의 1차적인 책임을 전담하면서 대리부모 혹은 대리양육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가족
2) 조손가족의 적응과 어려움
3) 조손가족의 건강성과 지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