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소년복지론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등 청소년복지론 요약 정리 3. 청소년복지의 이해 Ⅲ

728x90
반응형

3. 청소년복지의 이해 Ⅲ

1. 청소년복지 서비스 전달체계

 

나. 전달체계를 통해 프로그램화된 서비스의 고려사항
3) 지역사회의 유해환경 정화사
- 청소년을 제반 환경을 정화
4) 청소년의 보호와 육성
- 청소년 국가관 및
리관 립, 청소년 건전육성 시과 체육시
충, 근로청소년의 직업 훈련과 교육기회 대 등
5) 건전한 여가문화의 조성과
사활동의 기회 제공
- 각
사회적 활동에의 청소년 참가

 

2. 청소년복지실천의 이론
가. 청소년복지실천
- 정의 : 일반적으로 청소년복지 전문 인력이 서비스 대상자인 청소년
라이언트(client)를 직접 만나 실제로 하는 활동
- 청소년복지 실천활동을 실시할
에는 생각, 단, 행동에 대한 과학적
이고
관적인 거의 용을 바으로 실시함

 

나. 청소년복지의 실천이론
1) 정신분석학 이론(정신역동이론)
- 프로이(S. Freud)가
-
의식의 정신역동성’에 기반을 인간심리 설명
- 심리 및 대인관계의 등을 치하는 방법
- 문화적 현상에 대한
구방법으로서의 정신분구방법

 

2) 행동주의 이론
- 인간의 관적인 행동을 중요시 함
- 인간행동을
구하는 것이 심리학이고 과학이라고 정함
- ‘학
’을 강조함
- 개인이나 가족, 집단이
행동을 학하고 이를 통해 문제행
동을 감소시키며, 사회적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에 중

- 실증적으로 립된 학의 원리를 의도적·체계적으로 라이언트에게
적용하여 행동수정을 도모하는 이론적 접근방법

 

3) 인간중심적 이론
- 1940년대 로스(C. Rogers)에 의해 주
- 정신분
학의 관과 다게 인간은 의식의 지재가
아니라고
설명
- 인간은 자기를 실현할 수 있는 기본적 동기와 능력을 이미 가지고
있다고

- 인간의 과거에 얽매재가 아니라 현재를 고 미래를 구하는
재’ 인간에 대해 관과 정의 해를 가짐
- ‘인간의 잠재능력’과 ‘가능성에 대한
믿음’이 이론의 핵심

 

4) 위기개입의 실천이론
-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이 활용되는 이론
- 1950년대 이
미국의 지역정신보건 영역에서 주로 발달 사회복지
실천 영역으로의

- 최근에 이
러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문제 해에 있어 가시적 성
과를 거두는 구체적 실천방법으로 발전

 

5) 과제중심의 실천이론
- 과제 해에 있어 라이언트의 적적 개을 강조하고, 그의 문
제해
능력과 사회적 기능의 향상에 초을 두는 이론
-
라이언트의 활동과 과제의 해을 강조
- 좋지
한 조건에서도 라이언트가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해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유용

 

6) 임파워먼트 이론
- 1980년대 반부주목 기 시작한 이론
-
라이언트의 잠재적 역을 관심을 갖고 그것을 대화시켜 클
언트 자신의 문제 해과 삶의 질적 향상을 구하는데 강조
- 라이언트를 단히 서비스의 수자가 아니라 자신의 문제해
과정에 있어동반자이자 전문가로 인정함
-
라이언트와 서비스 제공자가 함께 다각적인 노력을 기이는 자기
주도적이고 역동적인 접근방법

 

3. 청소년복지의 과제
. 청소년의 인권을 제대로 보장
- 지식에 대한 권리, 동등하게
을 권리, 이러한 권리들을 권리 등
청소년복지의 다양한 영역에서 국가와 사회의 전반적인 인식 전환과
제도 정
이 필요
. 입시 위주의 교육환경을 개
- 청소년상의 강화, 학교사회사의 제도화 등의 지원책 마련
. 가정의 건강한 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한 사회복지사더욱 확
. 청소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전환
- 문제행동을 하는 청소년을 조기에 예방하고 문제가 재발되지 않도록
전문적 개
을 제도화
. 지방자치단체 단위의 청소년 전부서를 치하고 청소년 전문인력을
- 청소년
당공원에게 청소년지도자 교육을 직교육에 포함시
문적인 서비스를 제공 가능하게 함

학 습 정 리
1. 청소년복지의 실천이론
- 정신분석학 이론(정신역동이론)
- 행동주의 이론
- 인간중심적 이론
- 위기개입의 실천이론
- 과제중심의 실천이론
- 임파워먼트 이론
2. 청소년복지의 과제
- 청소년의 인권을 제대로 보장
- 입시 위주의 교육환경을 개선
- 가정의 건강한 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한 사회복지사업을 더욱 확대
- 청소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전환
- 지방자치단체 단위의 청소년 전담부서를 설치하고 청소년 전문인력을
배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