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소년복지론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등 청소년복지론 요약 정리 2. 청소년복지의 이해 Ⅱ

728x90
반응형

2. 청소년복지의 이해 Ⅱ

 

1. 청소년복지의 목표
가. 청소년복지의 공통 목표
- 전제 : 특정 또는 일부 청소년이 아모든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다.
1) 청소년과 관계된 ‘부정적인 환경을 정적인 환경으로 개
2) 청소년 문제의 사전 예방을 위해 ‘청소년의
왜곡된 사회화를 정상적
사회화’로 전환함을 목
로 하는 공적·사적 서비스 체계를 강화
3) 청소년 문제에 노출된 문제청소년과 요보호청소년의 적
적인 교정과
를 통해 ‘사회적 통합’을 이루고자 함

2. 청소년복지의 대상과 수단


가. 청소년복지의 주요대상
- 과거 : 요보호청소년, 문제청소년 현재 : 모든 청소년

 

3. 청소년복지 실현방법

 

가. 청소년복지 실현방법의 구분

 

1) 실천적 접근방법
- 개별사회사, 집단사회사, 지역사회조직, 사관리 등

 

2) 제도적·정책적 접근방법
- 사회복지정책, 사회복지행정, 사회복지법제 등
- 청소년복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접근방법을 통합적으로 사용
하는 것이 바람직
통합적 접근의 의미
: 청소년복지의 이론과 접근방법을 조직화하여 보다 포
적인 거의
구성하고 각 분야의 전문 사회복지사들이
을 이루어 서비스 제공방
법의 합리화·통합화를

 

4. 청소년복지 서비스 전달체계


가. 청소년복지 서비스 전달체계
- 청소년복지를 포함한 사회복지 서비스는 과적이고 율적인 전달을
목적으로 하기
문에 전달체계는 체계적이고 조직적이어야 하며 또한
기능적이어야 함
-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의 8원

1) 전문성의 원
2) 적절성의 원
3) 포성의 원
4) 통합성의 원
5) 등성의 원
6) 책임성의 원
7) 지성의 원
8) 접근 용이성의 원

 

- 영주체에 따른 구분
1) 공적 전달체계 : 정부(중
과 지방)나 공공기관이 직접 서비스를 제공
2) 사적 전달체계 : 민간이 직접 서비스를 제공

나. 전달체계를 통해 프로그램화된 서비스의 고려사항
1) 건강한 가정을 위한 노력
- 부모교육 프로그램, 최
생활보장, 공적 부조제도, 고용기회 대,
장학기
금 확충 등 경제적인 혜택과 가정 안정이 보장되는 서비스
2)
의적인 교육풍조성과 공한 교육기회 제공
- 교육시
충, 교육기회의 대, 교육 용의 충실화
3) 지역사회의 유해환경 정화사

- 청소년을 제반 환경을 정화

 

4) 청소년의 보호와 육성
- 청소년 국가관 및
리관 립, 청소년 건전육성 시과 체육시
충, 근로청소년의 직업 훈련과 교육기회 대 등
5) 건전한 여가문화의 조성과
사활동의 기회 제공
- 각
사회적 활동에의 청소년 참가

학 습 정 리
1. 공적 전달체계
- 중앙행정부서 : 보건복지부, 교육인적자원부, 노동부, 법무부, 행정
자치부, 환경부, 경찰청, 대검찰청 등
- 각 지방자치단체 관련부서
- 청소년위원회 : 국무총리실 국가청소년위원회
- 청소년상담실 : 국무총리실 산하 한국청소년상담원
- 청소년관련 연구개발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등
2. 사적 전달체계
- 청소년보호자와 가족 및 지역사회
- 청소년복지 관련 사회복지법인
- 청소년복지 관련 단체 및 협의회
- 청소년복지시설과 청소년 수련시설
- 민간 청소년상담기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