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행정조직론
<주요 내용>
조직이란 무엇인가?
조직이론
동기부여이론
관료제론
1. 조직이란 무엇인가?
■ 조직의 의의와 특성
- 조직의 개념 : 조직이란 일정한 환경하에서 공동의 달성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정립한 체계화된 구조에 따라
구성원들이 상호작용하며 경계를 가지고
외부환경에 적응하는 인간들의 사회적 집단이나
협동체제이다.
- 조직의 개념적 특성 : 공동의 목표 / 체계화된 구조와 구성원들의
상호작용 / 조직의 경계 / 외부환경에의
적응 / 인간의 사회적 집단
■ 조직의 유형
- Blau & Scott의 조직유형(조직의 수혜자 중심) : 효혜적 조직 /
기업조직 / 봉사조직 / 공익조직
- Etzioni의 조직유형(권력과 복종의 유형 기준) : 강제적 조직 /
공리적 조직 / 규범적 조직
- Parsons, Katz & Kahn의 조직유형(조직의 기능중심)
체제의 기능 | 적응기능 | 목표달성기능 | 통합기능 | 현상유지조직 |
T.Parsons의 조직의 유형 |
경제적 조직 (회사 등 사기업체) |
정치조직 (행정기관) |
통합조직 (정당,사법기관) |
현상유지조직 (교회,학교) |
D.Katz & R.Kahn의 조직유형 |
적응조직 (연구소) |
경제적/생산적 조직 (산업조직) |
정치적/관리적 조직 (정당) |
현상유지조직 |
- 다섯 가지 조직유형의 설계(Mintzberg의 조직유형)
- 단순구조(simple structure)
- 기계적 관료제 구조(machine bureaucracy)
- 전문적 관료제 구조(professional bureaucracy)
- 사업부제 구조(divisionalised form)
- 애드호크라시(임시특별조직, adhocracy)
■ 조직의 유형
- Daft의 조직유형 : 기계적 구조 <-> 유기적 구조
- 기계적 구조(machine structure)
- 기능구조(functional structure)
- 사업구조(divisional structure)
- 매트릭스구조(matrix structure)
- 수평구조(horizontal structure)
- 네트워크조직(network structure)
- 유기적 조직(organic structure)
2. 조직이론
■ 조직이론의 의의와 분류
- 조직이론의 개념 : 조직이론이란 조직의 편제/관리에 적용되는
일반원칙을 말한다.
- 조직이론의 분류기준
- 연구목적에 따른 분류 : 서술적 이론 / 규범적 이론
- 환경과의 관계에 따른 분류 : 폐쇄체제론 / 개방체제론
- 분석단위에 따른 분류 : 미시조직이론 / 거시조직이론
■ 조직이론의 변천과 발달
- D. Waldo의 견해 ; 고전적 조직이론 -> 신고적 조직이론
-> 현대적 조직이론
- 고전적 조직이론 : 과학적 관리법, POSDCoRB
- 정태적,폐쇄적 조직 /공시적 구조중심의 접근 /능률지상주의
원리학파 /정치행정이원론
- 신조전적 조직이론 : 인간관계론, 환경유관론
- 비공식구조 및 사회적 능률 중시 /동태적,민주적,사회적
인간관(인간중심주의) /대체로 폐쇄적 환경관
- 현대적 조직이론 : 자아실현인, 복잡인관
- 의사결정모형 /개방체제모형 / 후기관료제모형
3. 동기부여이론
■ 조직과 개인의 관계
- 현대인은 조직이라 할 만큼 조직과 개인은 밀접한 불가분 관계
- 조직과 개인간의 갈등 :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욕구가
일치, 조화, 융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개인욕구의 변이성과
다양성으로 인하여 용이하지 않음
■ 인간관 및 동기이론의 체계
- 내용(욕구)이론 : 욕구의 충족과 동기부여간의 직접적인 인과관계
- 교환모형(exchange model) :
- 합리적 경제인 모형
- 사회인 모형
- 통합모형(integration model)
- 교화모형
- 수용모형
- 복잡인 모형 : 이분법적인 인식에서 벗어나 복잡, 다양성과
개인차, 변이성을 인정하고 상황적응족적인
관리전략을 중시(Z이론)
■ 인간관 및 동기이론의 체계
- 내용(욕구)이론 : 욕구의 충족과 동기부여간의 직접적인 인과관계
- A. Maslow의 욕구계층이론
- 욕구의 5단계 : 생리적 욕구, 안전욕구, 사회적 요구,
존경의 욕구, 자아실현욕구
- D. McGregor의 X이론, Y이론
- Herzberg의 욕구충족 2개 요인이론 : 위생요인 / 동기요인
- Argyris의 성숙 / 미성숙이론
- 과정이론 : 동기부여가 어떤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지는가에 초점
- J.S. Adams의 공정성(형평성)이론 : 투입,산출, 준거인물, 공정성
- 기타 다양한 과정이론이 있음
4. 관료제론
■ 관료제의 개념
- 관료제는 매우 다의적, 불확실
- 조직구조로서의 관료제
- 조직병폐로서의 관료제
- 현대의 거대정부로서의 관료제
- 고발대상으로서의 관료제
- 구조적 개념 : 계층제 형태를 지닌 대규모 조직
- 기능적 개념 : 정치권력을 장악한 특권집단
■ 근대관료제의 특징
- 근대관료제의 성립요인
- 화폐경제의 발달
- 행정업무의 양적 증대
- 행정업무의 질적 변화
- 관료제적 조직의 기술적 우위성
- 물적 관리수단의 집중화
- 사회적 차별의 평준화
- 2차 집단 보호효과
- 사회의 세속화 : 이성적 합리적 지배(종교나 감정으로부터 분리)
- 근대관료제의 특징
- 고도의 계층제
- 법규에 의한 지배 및 관청적 권한
- 문서주의와 공사분리
- 전문지식
- 직업의 전문화
- 고용관계의 자유계약성
- 비개인화/몰인간성/비정의성(impersonalism) 및 공평성
■ 관료제의 병리
- 동조과잉과 수단의 목표화
- 번문욕례
- 인간적 발전의 저해
- 전문화로 인한 무능
- 무사안일주의와 상급자의 권위에 의존
- 할거주의
- 변동에 대한 저항
- 관료독선주의 및 권위주의
- 권력구조의 이원화와 갈등
- 무리한 세력 팽창
- 관료를 무능화하는 승진제도
- 민주성/대표성의 제약
■ 관료제의 순기능
- 상승욕구 충족 수단
- 법 앞의 평등
- 신속하고 효율적인 행동
- 갈등 조정
- 고도의 합리주의
■ 관료제와 민주주의
* 관료제가 민주주의에 공헌하는 측면
- 공직임용의 기회균등
- 법 앞의 평등
- 민주적 목표의 능률적 수행
- 국회의 약화된 입법기능 보완
- 경제발전 및 국민생화수준 향상에 기여
* 관료제가 민주주의를 저해하는 측면
- 대외적 민주주의에 대한 저해 : 관료의 특권집단화,
민중의 요구에 부적응, 무책임성
- 대내적 민주주의에 대한 저해 : 권한의 독점과 과두제의 철칙
임의단체 또는 비공식적
조직의 비민주적 보소화 경향
- 관료제와 민주주의의 조화
■ 후기관료제 : 애드호크라시(Adhocracy)
- 의의 : 1970년대 전통적인 관료제조직의 한계로 부터 제기
- 특징 : 임무와 문제해결능력의 중시
비계서적 구조
잠정성의 강조
경제관념의 혁신
상황적응성의 강조
문제의 집단적 해결
의사전달의 공개주의
임무와 기구의 유동성
- 기타 조직모형 : 팀제, 매트릭스조직, 네트워크 조직, 가상조직
'행정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정직 공무원 대비 행정학개론 필기 시험 이론 핵심 요점 요약 정리 8. 인사행정론2 (0) | 2021.11.30 |
---|---|
행정직 공무원 대비 행정학개론 필기 시험 이론 핵심 요점 요약 정리 7. 인사행정론 (0) | 2021.11.29 |
행정직 공무원 대비 행정학개론 필기 시험 이론 핵심 요점 요약 정리 5. 정책학 (0) | 2021.11.24 |
행정직 공무원 대비 행정학개론 필기 시험 이론 핵심 요점 요약 정리 4. 미국의 현대행정학 (0) | 2021.11.23 |
행정직 공무원 대비 행정학개론 필기 시험 이론 핵심 요점 요약 정리 3.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0) | 2021.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