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정책학
<목차>
정책이란 무엇인가?
정책의제설정
정책결정
정책집행
정책평가와 환류
■ 정책과학의 의의
- H.D.Lasswell : 정책과학이란 정책결정과 정책집행을 설명하고
정책문제와 관련이 있는 자료를 탐색/수집하여
그 해석을 제공하는 학문 (Political Orientation,1951)
- Y. Dror : 보다 나은(최적 수준의) 정책결정을 위하여 그 방법 /
지식 / 체제(상위정책 : meta policy)를 다루는 학문
■ 정책과학의 학문적 특성
- H.D. Lasswell의 패러다임 : 문제지향성, 맥락성, 연합학문적 연구,
규범지향성과 당위성
- Y. Dror의 패러다임 : 사회지도체제에 대한 관심, 처방적 접근과
범학문적 연구, 연구의 초점, 최적모형,
묵시적 지식 강조, 기타
정책과학의 연구대상(정책의 과정)
■ 정책의 의의
- 정책 : 공익을 추구하거나 공적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장래가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고 판단되는
정부의 행동방안
- D. Easton : 사회전체를 위한 가치의 권위적 배분이자 정치체제가
내리는 가치의 권위적 결정
- H.D. Lasswell : 목적가치와 실행을 투사한 계획
- Y. Dror : 매우 불확실하고 복잡한 동태적 상황 속에서 국가 및
공공단체가 공익의 구현을 위해 만든 미래 지향적인
행동지침
■ 정책의 구성요소
- 정책목표
- 정책수단 : 실질적 수단, 실행적 수단
- 정책대상
■ 정책의 유형
- Almond와 Powell의 분류 : 추출정책(동원정책), 규제정책,
배분정책, 상징정책
- Lowi의 분류 : 구성정책, 배분정책, 규제정책, 재분배정책
- Salisbury의 분류 : 분배정책, 재분배정책, 규제정책,
자율규제정책
- Ripley & Franklin의 분류 : 분배정책, 경쟁적 규제정책,
보호적 규제정책, 재분배정책
정책 | 이념 | 재원 | 갈등 | 추진용이성 | 수헤자 | 사상 |
분배정책 | 능률성 효과성 |
조세(공금) | 없음 | 집행용이 | 모든 국민 | 자유주의 |
재분배정책 | 형평성 | 고소득층 소득 |
많음 | 집행곤란 | 저소득층 | 이전주의 |
2. 정책의제설정
■ 정책의제설정의 의의
- 1960년대 대규모 흑인폭동을 계기로 특정 사회문제가 왜
정책문제화되지 못하는가에 관심을 가지면서 연구의 대상이 됨
-> 정책문제, 정책의제, 정책의제설정
■ 정책의제 설정의 중요성
- 목표설정기능
- 정책수단의 선택행위
- 우선순위 결정
■ 정책의제 설정과정
- Cobb & Elder의 모형
-> 사회문제(Social problem)
-> 사회적 이슈(Social issue)
-> 체제의제(system agenda)
-> 제도의제(institutional agenda)
- R. Eyestone의 모형
- Cobb & Ross의 모형
- C. Jones의 모형
사회문제 -> 사회적 쟁점 -> 공중의제 -> 정부의제
■ 정책의제설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정책문제 관련요인
-> 문제의 중요성과 시간적 적실성
-> 문제의 외형적 특징 : 문제의 복잡성, 문제의 명확성과 구체성
-> 문제의 내용적 특징
-> 선례와 유행성
-> 극적인 사건과 위기
-> 해결책과 유무
- 주도집단과 참여자 관련요인 : 문제인지자 요인, 의제설정자 요인
- 정치적 요인(정치적 상황)
-> 정치체제의 구조와 정치문화
-> 정치이념과 분위기
-> 정치적 사건
3. 정책결정
■ 정책결정의 개념
- 정책결정 : 공익을 추구하거나 공적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미래의 합리적이고 바람직한 정부의 대안을 탐색 /
평가 / 선택하는 일련의 동태적 / 역동적 과정
■ 정책결정의 특징
- 정치성, 공공성, 가치성과 규범성, 동태성/복잡성, 미래지향성,
의사결정의 한 형태
■ 정책결정의 참여자
- 공식적 참여자
-> 입법부(의회)
-> 대통령과 행정수반
-> 행정부처
-> 사법부
-> 사법부
- 비공식적 참여자
-> 정당
-> 이익집단
-> NGO
-> 시민
-> 전문가집단
■ 정책결정 이론모형 – 01(개인차원의 의사결정모형)
- 합리포괄모형(Rational-comprehensive Model)
- 만족모형(Satisficing Model)
- 점증모형(Incrementalism Model)
- 혼합주사모형(Mixed Scanning Model) = 합리모형 + 점증모형
- 최적모형(Optimal Model)
■ 정책결정 이론모형 – 02(집단차원의 의사결정모형)
- 조직모형(Organizational Model)
- 회사모형(Firm Model)
- Allison 모형
- 쓰레기통모형(Garbage Can Model)
- 싸이버네틱 모형(Cybernetic Model)
- 자동화결정모형
4. 정책집행
■ 정책집행의 의의
- 정책집행 : 권위있는 정책지시를 실천에 옮기는 과정으로서
일반적으로 정책의 내용을 실현시키는 과정으로 정의
■ 정책집행의 중요성
- 정책의도의 실현
- 정책의 실질적인 내용
- 국민생활과 직결되는 정부의 활동
■ 정책집행의 단계
- 정책지침의 작성
- 자원의 확보와 배분
- 실현활동
- 감시와 환류
■ 정책집행이론
- 하향적 접근(Top-Down Approach)
- 상향적 접근(Bottom-Up approach)
-> 일선관료제론(Lipsky의 연구, Street-level bureaucracy)
-> 적응적 집행(Berman의 연구)
-> 후방향적 집행(Elmore의 연구)
- 통합모형
■ 정책집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성공적 정책집행의 판단기준
-> 실질적/내용적 기준 : 효과성, 능률성, 형평성,적합성과 적절성
-> 주체적/절차적 기준 : 정책의도의 실현, 관료적 합리성,
정책관련집단의 요구 충족
- 정책에 대한 순응과 불응
- 정책실패의 원인
5. 정책평가와 환류
■ 정책평가의 의의
- 정책평가 : 일반적으로는 정책대안이 소기의 효과를 가져왔는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정책이나 공공사업기획이
그 대상에 미친 효과를 정책모표와 관련지어
객관적이고 체계적/실증적으로 검토하는 것
■ 정책평가의 필요성과 목적
- 정책결정과 집행에 필요한 정보 제공
- 정책과정상의 책임 확보
- 이론구축에 의한 학문적 기여
■ 정책평가의 단계
- 목표의 확인 -> 기준의 설정 -> 인과모형의 설종 ->
연구설계(평가설계) -> 자료의 수집 -> 자료의 분석/해석 및
결과의 제시
■ 정책평가의 기준
- 효과성
- 눙률성
- 주민만족도
- 수익자 대응성
- 체제유지도
■ 정책평가의 한계와 평가결과의 활용
- 방법론상의 장애
- 인과관계의 입증곤란
- 정책영향의 확산으로 통제집단의 선정 곤란
- 관료들의 저항과 비협조
- 평가의 객관성 및 적실성 문제
- 평가결과의 활용 미흡
■ 정책의 변동과 환류
- 정책혁신
- 정책유지
- 정책승계
- 정책종결
■ 정책종결의 의의 : 정책을 없애는 것으로 정책종결의 원인
- 문제의 고갈 및 정통성의 상실
- 환경의 엔트로피
- 조직의 위축이나 취약성
- 정책종결에 대한 저항의 약화
■ 정책종결에 대한 저항원인
- 매몰비용
- 정치적 연합
- 법적 제약
- 동태적 보수주의
'행정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정직 공무원 대비 행정학개론 필기 시험 이론 핵심 요점 요약 정리 7. 인사행정론 (0) | 2021.11.29 |
---|---|
행정직 공무원 대비 행정학개론 필기 시험 이론 핵심 요점 요약 정리 6. 행정조직론 (0) | 2021.11.25 |
행정직 공무원 대비 행정학개론 필기 시험 이론 핵심 요점 요약 정리 4. 미국의 현대행정학 (0) | 2021.11.23 |
행정직 공무원 대비 행정학개론 필기 시험 이론 핵심 요점 요약 정리 3.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0) | 2021.11.12 |
행정직 공무원 대비 행정학개론 필기 시험 이론 핵심 요점 요약 정리 2. 현대행정의 특징 (0) | 2021.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