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하고 있는 자율주행차 관련 섹터 자율주행 관련 주목해야 할 핵심 이슈와 관련 수혜주와 이슈를 함께 모아서 정리해드립니다~
* 자율주행차 관련 핵심 이슈 & 주목할 점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한 각 기업의 투자 및 개발이 점점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운전자 없이 주행할 수 있는 5~6단계까지 개발되는데에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하지만, 개발만 성공한다면 미래 산업을 선점하고 이끌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일반도로에서 자율주행차 운행 모습을 볼 수 있게 될 것이란 소식 속에 기대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자율주행은 상업주행 차량에서 먼저 실현될 것으로 예측된다. 컨테이너를 싣고 미국을 횡단하는 대형 트럭은 운전자라는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 이런 상황에서 선두 차량에만 사람이 타고 뒤따르는 차량에서는 운전자를 없애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바로 군집주행이다. 자율주행은 택시 서비스의 혁명을 부를 수도 있다. 택시 운전사 없이 돌아다니는 택시를 현재 이용하는 시스템처럼 원격으로 불러 타고 해당 위치로 이동하는 방식이다. 택시 관련 범죄도 현저히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전방을 보지 않아도 되는 '레벨 3'에만 도달해도 자율주행의 문을 연 것으로 평가한다.
차라면 빠지지 않는 나라인 독일에서 내년부터 완전자율주행차를 일반도로에서 운행할 전망이다. 독일 연방하원은 지난달 20일(현지시간) 일반도로의 특정 고정구간에서 레벨4 단계의 자율주행을 허용하는 도로교통 관련법 개정안을 의결했다. 레벨3부터는 사람없이 자동차 스스로 주행할 수 있다. 레벨4는 제한상황을 제외한 대부분 도로에서 완전한 자율주행이 가능하다. 앞서 중국 바이두는 5월 2일부터 베이징 제한된 도로에서 완전 자율 로보택시인 '아폴로(Apollo)' 운행을 시작했다. '아폴로 고 앱'에서 주변의 로보택시 위치를 확인하고 운전자없는 로보택시를 직접 호출할 수 있다.

우리나라 또한 운전석없는 자율주행셔틀을 조만간 볼 수 있게 된다. 롯데정보통신은 지난 15일 세종시에서 자율주행셔틀 임시운행허가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이 셔틀은 앞으로 5년간 실증사업을 벌일 계획이다. 2024년까지 기술개발을 완료해 레벨4 수준의 로보택시를 일반인도 이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나아가 2027년까지 도로에 자율주행 센서가 깔리고, 신호체계가 연동되는 등 인프라가 구축된 스마트시티에서 완전한 레벨4 자율주행을 경험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기업인 현대자동차는 '아이오닉'에 레벨4 수준을 넘어선 차세대 자율주행 플랫폼을 적용해 로보택시 상용화 서비스에 투입한다고 밝혔고,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T'앱을 연동시켜 자율주행차량을 상용화할 계획이다.
컨설팅업체 KPMG에 따르면 글로벌 자율주행차시장은 2010년 71억달러에서 2035년 1조1204억달러(약 1253조원)로 연평균 41% 성장이 예상된다. 시장조사기관 프로스트 앤 설리반(Frost & Sullivan)은 자율주행 완성차시장이 2030년 1800만대 규모에 이르고, 이중 87%가 레벨 3~4 차량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 자율주행차 관련주

* 기아 : 현대자동차 그룹의 자동차 제조 및 판매 업체. 자율주행 브랜드 '드라이브 와이즈'를 런칭했으며, 전기차 '쏘울 EV' '니로EV' 등에 자율주행 기술 적용. 19년 6월 사업 파트너사인 미국 자율주행업체 '오로라'에 전략투자를 하고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협력을 강화.
* 현대차 : 현대자동차 그룹의 국내 대표 자동차 제조 및 판매 업체. 차로 추종 보조, 원격 스마트 주차보조 등 자율주행과 관련된 선행특허 확보 및 일부 모델에 적용.
* 현대모비스 : 현대자동차 그룹의 국내 최대 자동차부품 제조 및 판매업체. 현대차그룹에서 스마트카 솔루션을 총괄하고 있으며, 차선이탈경보시스템, 차선 변경 안전시스템, 차간거리유지시스템, 자동주차시스템, 주행간타이어상태확인시스템 등의 부품을 생산.
* 만도 : 차선변경 안전시스템, 자동주차시스템, 자동브레이크시스템, 차간거리유지시스템, 즉후방사각지대 감시/경고시스템 등 전장부품을 개발/생산.
* 삼성전자 : 신사업으로 자율주행차 관련 사업 추진. 자율주행차량용 반도체 개발 진행 중. 이탈리아 피아트크라이슬러 오토모티브의 부품 계열사 마그네티 마렐리 인수 추진. 삼성벤처투자를 통해 미 델파이와 자율주행차 핵심부품 개발업체 쿼너지에 공동투자.
* SK하이닉스 : 자율주행차량용 반도체 개발 진행 중.
* 팅크웨어 : 네비게이션 및 Map S/W. 차량용 블랙박스, 차량용 액세사리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주요 상표로 아이나비 시리즈 등을 보유.
* KT : 차량 안전주행 보조시스템 개발업체 카비에 20억원 투자 결정. 현대차, BMW, 벤츠 등 구내외 자동차 업체와 자율주행 관련 협력 체결.
* 파인디지털 : 차량용 네비게이션 및 블랙박스, 이동통신장비 등을 개발, 판매하는 업체. "파인드라이브" 브랜드로 네비게이션을 생산하고 있으며, 음석 인식 등 차별화된 서비스를 선보임.
* 인포뱅크 : Smart Car 서비스 사업을 영위. 현대차그룹에 스마트카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공급.
* 엠씨넥스 : 카메라 모듈 전문업체. 차선이탈경보카메라, 통신핸들조향연계 후방카메라, 졸음방지, 나이트비젼 등을 개발 중.
* 칩스앤미디어 : 비디오 분야에 특화된 반도체 IP 전문업체. 자율주행차 반도체 업체인 NXP에 부품 공급.
* THE MIDONG : 자체 보유한 영상인식 및 처리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카 산업인 ADAS 제품인 유라이브 알바트로스3 골드, 유라이브 알바트로스3 등을 출시.
* NAVER : 자회사 네이버랩스가 자율주행차 기반 카셰어링 사업 진출을 추진 중이며, IT업계 최초로 국토부로부터 자율주행차 임시운행 허가 받음.
* 옵트론텍 : 전장 기반의 ODM 사업을 위하여 광학설계, 기구설계, 회로설계 기술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전장용 자율주행시스템에 적용되는 카메라 렌즈의 개발에 성공하여 공급을 진행 중임. 자율주행 카메라 렌즈 광학계 특허 취득.
* LG이노텍 : LG그룹 계열의 첨단 소재/전자부품 전문업체로 차량용 카메라 등과 차량 전장용 부품 등 전기 전자 제품 제조, 판매. 18년 자율주행차용 통신모듈 C-V2X 개발했으며, 19년 10월 세계 최초 5G 퀄컴칩 기반 차량용 통신모듈 개발.
* 아이쓰리시스템 : 자율주행의 기술로 알려진 적외선 영상센서 제조기술 보유. 정부 연구개발 과제참여를 통해 자동차 긴급제동장치 용도의 적외선 영상센서 모듈 개발 과제도 성공적으로 수행 완료.
+ 삼성전기, 유진로봇, 라닉스, 아이에이, 드림텍, 디에이테크놀로지, 한국테크놀로지, 켐트로닉스, 모트렉스, 유니트론텍, 한라홀딩스, 유니퀘스트, 대성엘텍, 삼보모터스, 텔레칩스, 캠시스, 모바일어플라이언스, 코리아에프티, SK텔레콤, 하이비젼시스템, LG전자, 트루윈, 앤씨앤, 에이테크솔루션, 세코닉스, 한국단자, 에이스테크 등이 있다.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