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목에 위치한 수근관이라는 작은 공간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그 공간을 지나는 여러 가지 구조물들 중 정중신경이 압박을 받아 나타나는 현상을 수근관 증후군 또는 손목 터널 증후군이라고 한다.
수근관 증후군의 발생 원인은?
수근관 증후군은 중년 이후의 여성에게서 자주 발생하고, 남성에 비해 여성에서 2.5배 흔하게 진단되며, 수술은 6배 더 흔히 시행되고 있을 정도로 여성에서 유병률이 높다. 한국에서는 이질환으로 1년에 1만 명 이상이 수술적 치료를 받는다는 통계가 있다.
수근관 증후군은 수근관의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모든 상황이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현대 사회로 접어들면서 컴퓨터 자판을 이용하여 문서 작성을 하거나 휴대폰으로 문자를 보내고 자료를 검색하는 등의 활동이 늘어나고 있는데, 이러한 활동에서 손목을 과도하게 구부리거나 펴는 자세를 오래 취할 경우 수근관이 좁아지게 되어 수근관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
최근 정형외과 외래에 손 저림을 호소하는 젊은 여성의 빈도가 늘어나는 추세인데, 컴퓨터나 휴대폰이 그 원인일 가능성이 적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 외에도 반복적으로 손을 사용하는 직업이나 스포츠 선수, 주부들에서도 흔히 발생한다.
수근관 증후군의 증상은?
수근관 증후군의 진단은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을 기초로 이루 어진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손의 저림, 통증이 있는데 환자 마다 증상에 대한 표현이 다양하다. 손끝이 찌릿찌릿하거나 따끔거린다고 하기도 하며 욱씬욱씬 쑤시거나 얼얼하고 남의 살같다고 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손목을 많이 쓰는 작업 후나 손을 오래 들고 있을 때, 손목을 구부리거나 펴는 자세를 오래 취할 경우 증상이 더 심해질 수 있다. 수근관 증후군을 가지고 있는 환자가 수면 도중에 손이 타는 듯한 양상의 통증을 느껴 잠에서 깬 이후에, 손목을 털면 통증이 가라 앉아 다시 잠을 청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은 상황을 야간 통곡이라고 하며 수근관 증후군 환자에게서 드물지 않게 나타나는 증상이다.
수근관 증후군이 진행되어 병의 정도가 심해지면 손의 근력이 약화되기 시작하고, 이 경우 치료를 시작하더라도 근력이 완전히 회복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수근관 증후군 증상이 의심될 경우에는 되도록 빨리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수근관 증후군의 치료법은?
다른 정형외과 질환과 마찬가지로 수근관 증후군의 치료는 비수술적 치료부터 시작한다. 처음에는 손과 손목의 사용을 줄이고 필요할 경우 손목을 부목으로 고정하는 방법을 시도해볼 수 있다. 또한 통증이 심할 경우 소염진통제의 투약이 증상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수근관 내에 스테로이드 주사를 놓아 염증을 가라앉히는 방법을 쓸 수도 있다. 수근관 증후군 발생 초기에 충분한 휴식과 함께 생활습관을 적절히 개선하면, 대부분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다. 일부 비만이나 당뇨 같은 대사질환이 있는 경우 보존적 치료의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다.
충분한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저림 및 통증이 나아지지 않거나 근력 약화가 진행된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수근관 증후군의 수술적 치료 원리는 수근관 위를 덮고 있는 횡수근 인대라는 구조물을 잘라주어 내부의 증가된 압력을 낮추는 것이다. 횡수근 인대를 자르는 방법에 따라 피부를 절개 하여 들어가는 개방성 수근관 유리술과 피부에 작은 구멍을 뚫어 이를 통해 내시경을 집어넣어 인대를 자르는 내시경적 수근관 유리술이 있다. 최근 개방성 수근관 유리술이 발전하 면서 내시경적 유리술은 점차 그 빈도가 줄고 있다. 수술 후에는 절개 부위 통증 및 수술 후 부종 등에 의하여 약 1~2개월 정도 주먹을 쥐는 힘이 감소하지만, 곧 회복되어 3개월 정도 후에는 뚜렷한 증상 호전을 경험하게 된다. 생활습관 및 잘못된 자세 등에 의해 수근관 증후군의 증상이 재발할 수 있으므로, 수술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항상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손목을 보호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여성건강 노영학. 이대목동병원 정형외과 교수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오는 날에 유독 파전이 더욱 생각나는 이유가 뭘까요? 선입견 때문 그 이유를 소개드려요! (0) | 2021.06.07 |
---|---|
아는 사람들은 공감하는 수족냉증! 수족냉증에 도움을 주는 음식 4가지와 특징들을 소개드립니다! (0) | 2021.06.06 |
자꾸 한 가지에 집착하는 나! 나도 강박증? 강박증의 종류 및 증상과 치료법을 알려드립니다~ (0) | 2021.05.31 |
현대인들은 왜 위염이 많은가? 위염에 관련된 건강정보와 지켜야 할 생활 습관을 소개합니다! (0) | 2021.05.28 |
손 발이 반복적으로 저린다면 신경계 질환?! 신경계 질환 관련된 대표적인 질병들과 특징을 소개합니다! (0) | 2021.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