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하다고 생각하면서도 소홀해지기 쉬운 눈! 눈은 한번 건강을 잃으면 회복하기 어렵죠.
평소에도 좋은 생활 습관을 들이려고 노력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일상에서 눈 건강을 챙기는 생활 수칙을 소개드려요!

1. 지나친 근거리 작업 피하기
책은 약 35~40cm 거리에서 보는 것이 좋죠.
TV 시청은 적어도 2.5m 이상 또는 화면 크기의 5배 이상 거리에서 보는 것이 좋아요.
컴퓨터를 사용하거나 공부할 때 50분마다 10분씩 눈을 감고 휴식을 취하도록 하세요.
5~10분간 먼 곳을 주시하며 눈의 피로를 풀어줘요.

2. 실내 공기 쾌적하게 유지하기
실내의 건조한 공기는 안구건조증을 유발하는 가장 주된 원인이라,
실내 습도 60%를 유지하며 에어컨, 선풍기, 히터 등 냉난방기 바람을 얼굴에 직접 쐬는 행동은 피해야해요.
실내의 오염된 공기는 지속적으로 눈을 자극해 염증을 유발해, 만성적인 안구건조증을 일으킬 수 있죠.
하루 3회 이상 환기해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해야 해요.

3. 담배는 반드시 끊기
흡연자는 나이 관련 황반변성 발병 위험도가 비흡연자에 비해 3배가량 높게 나타나요.
금연 후, 20년은 지나야 황반변성 발병 위험이 감소하니 일찍 담배를 끊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죠.
또 흡연과 알코올 섭취는 백내장의 위험 요소로 알려져 있어요.

4. 콘택트렌즈,
안경 착용 시 의사와 상담하기
눈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렌즈를 착용하면 각막염을 유발해 시력과 눈 건강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어요.
특히 알레르기성 결막염 등 결막질환이 있으면 콘택트렌즈 사용 시 주의해야 해요.
성인은 근시, 원시, 노안 등 굴절이상 이외에 다른 눈질환이 없는지 확인한 후
올바른 안경을 처방받아야 하고, 10세 미만 어린이는 안경 교체 시에도 의사와 상담하는 게 바람직해요.
5. 40세 이상은 정기적으로 검진받으세요
실명을 일으키는 주요 질환은 백내장, 녹내장, 나이 관련 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은 나이가 들수록 유병률이 높아져요.
특히 40세 이상부터 유병률이 높아지니 조기 발견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눈검사가 필요하죠.

6. 야외 활동과 작업∙운동 시 보호 장구 착용하기
자외선은 백내장을 유발해 장기간 노출 시 황반변성 발병률도 높여요.
야외 활동 시 자외선을 차단해주는 모자 또는 선글라스를 착용하세요.
산업재해, 스포츠 활동 등 다양한 원인으로 눈 손상이 발생하며 심각한 시력장애를 초래하죠.
철저한 안전 교육과 보호 장구 착용으로 눈 손상을 예방할 수 있어요.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껍질과 뿌리를 버리지 말고 꼭 챙겨 먹어야 할 대표적이고 의외이기도 한 음식들을 알아보세요! (0) | 2021.05.18 |
---|---|
비싸게 사지말고 만들어 쓰자! 생각보다 간단한 손 소독제 만드는 법을 알려드려요! (0) | 2021.05.16 |
pdf 파일이나 jpg 사진 파일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싶을 때 사용하면 좋은 방법들을 소개합니다. (0) | 2021.05.05 |
가끔씩 대변 후 휴지에 피가 묻어 나올때?! 치질 심하면 대장암의 전조 증상일 수 있다?! (1) | 2021.05.05 |
과식을 자주하는데 내 위는 괜찮을까요? 코로나 시대에 더 주의해야 하는 위암 관련 내용 소개합니다! (0) | 2021.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