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육종학 요약 정리 2
- 유량에 있어 특정 집단의 선발차가 2000kg 이고 이들 개체들의 세대간격이 수컷이 4년, 암컷이 6년이라 할 때 연간 유전적 개량량
( 유량 유전력 : 0.25 )
→ 100kg
- 종빈돈군의 평균산자수 9두, 종축으로 개체선발된 종빈돈의 평균사육두수 11두, 산자수 유전력 20%.
선발된 종빈돈이 다음 세대에 기여하는 유전적 개량량은?
→ 0.4두
( 유전적 개량량 = 선발차×유전력 = 2 × 0.2 = 0.4 )
- 유전적 개량량(genetic gain)을 크게 하기 위한 설명
∙ 유전력이 커야함
∙ 대상형질의 선발차가 커야함
∙ 육종가와 표현형가 사이에 상관계수가 높아야 함
- 단위기간당 유전적 개량량을 증대시키는 함수의 설명
∙ 세대간격 최소화
∙ 선발강도 최대화
∙ 신뢰도 최대화
∙ 선발차 커야함
∙ 형질의 유전력 높아야 함
( 가축의 단위기간당 유전적 개량량은 개량대상형질에 대하여 그 개량집단이 갖고 있는 유전적 변이와 함께,
선발강도, 선발의 정확성 및 세대간격에 의해 결정 )
- 가축의 유전적 개량에 미치는 요인
∙ 선발강도, 선발의 정확도, 유전적 변이
( 가축형질의 변이는 유전적 원인과 환경적 원인에 의하여 나타나는데, 그 중에서 유전적 원인에 의한 변이만이 선발을 통해
가축개량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고 환경의 차이에 의한 변이는 가축개량에 쓰일 수 없다 )
- 유우의 유전적 개량에서 유전 전달 경로 중 선발 강도가 가장 낮은 경로 : 암소-암소 ( dam to dam )
- 프리마틴
∙ 소의 이란성 쌍생아가 암컷과 수컷인 경우, 수컷은 이상이 없으나 암컷은 난소에 장애가 있어 간성형 또는 정소와 유사한 구조를 보임
∙ 부정소나 수정관이 발달하여 태어난 암컷은 생식기관에 결함이 있어 불임이 됨
∙ 이성쌍태 암컷의 약 90%는 프리마틴이 되지만 10%는 정상적 암컷으로 번식이 가능, 그 짝인 수컷은 모두 정상
- 젖소의 암소개량을 위한 선발의 방향
∙ 유량의 증가, 착유시간 단축, 유방염에 대한 저항성 증가
- 돼지의 유전적 개량과 능력향상에 효과적인 돼지집단의 구조
∙ 피라미드형
( 피라미드형의 돼지집단구조는 돼지의 유전적 개량과 능력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 됨 )
구분 | 기능 | 특징 |
원원종 | 핵돈군 | 순종라인 유지, 개량되어지는 단계, 여러형질에 대한 검정, 유전능력 평가, 선발이 이루어지는 단계 |
원종돈 | 증식돈군 | 핵돈군으로부터 가져온 개량된 돼지 이용하여 비육돈 생산하는데 쓰이는 실용돈군. 즉, F1 늘리는 단계 |
실용돈군 | 실용돈군 | 증식돈군에서 분양받은 종돈과 인공수정 센터에서 보유중인 듀록종과 교배하여 출하돈 생산 |
∙ 중핵돈군에서는 유전적으로 능력이 우수한 돼지보유, 순종교배 통한 계통유지
∙ 중핵돈군에서는 반든시 능력검정과 후대검정 실시
∙ 증식돈군에서는 중핵돈군에서 받은 돼지를 이용하여 잡종강세 효과가 최대로 발현될 수 있도록 잡종교배 시킴
∙ 실용돈군에서는 증식돈군에서 분양받은 종돈을 이용하여 출하돈을 생산하는 단계, 실용모돈 단계에서 생산된 돼지들은 모두 비육출하
- 돼지의 후대검정
∙ 후대검정, 개체선발, 혈통선발을 함께 이용하는 경우 많음
( 후대검정은 종축가치를 생산한 자돈의 능력에 근거하여 평가하는 방법 )
- 선발 지수법
∙ 젖소에서 우수 종축을 뽑을 때 보편적으로 이용
∙ 두 가지 이상의 형질을 선발 시 형질 간 상관관계를 고려한 선발 방법
∙ 여러 형질로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하나의 점수로 산출한 다음 그 점수에 근거하여 선발하는 방법
∙ 여러 형질을 개량하고자 할 때 가장 효과적인 방법
∙ 돼지는 일당 증체량이 높고, 사료 효율이 좋으며, 등지방 두께가 얇도록 개량되어야 함
이 세가지 형질을 동시에,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가장 효율적으로 개량하기 위한 선발 방법
- 선발지수를 산출할 때 이용하는 통계량
∙ 각 형질의 표현형 분산
∙ 각 형질 간의 표현형 공분산
∙ 각 형질 간의 표현형 상관계수
∙ 각 형질의 상대적 경제 가치
∙ 각 형질 간의 유전공분산
∙ 각 형질의 유전 상관관계
∙ 각 형질의 유전력 상관관계
- 검정 종료된 종모돈(♂)은 선발 지수식에 의하여 선발되는데 대상형질
∙ 일당증체량
∙ 사료 요구율
∙ 등지방두께
- 선발 지수식에 근거하여 선발 시 어느 종돈을 선발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
∙ 일당증체량 2kg, 사료효율 3.5, 등지방 3.0cm
- 종모 능력 검정소에서는 검정이 끝나면 다음 선발지수를 이용하여 종모 돈을 선발한다고 한다.
출품된 종모 돈의 성적이 다음 표와 같을 때 선발 지수가 가장 높은 종모돈 (단, 아이오와주의 검정방법을 기준으로 한다.)
→ D
- 한우의 후대검정에 의해 선발되는 씨수소의 선발지수
∙ 각 후보 씨수소는 한우 개량농가의 암소와 계획교배를 실시하여 송아지를 생산하게 되며,
생산된 송아지중 수소를 24개월령까지 검정한 후 도축하여 냉도체중, 도체율, 배최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 등을 측정
∙ 측정된 형질중 도체중, 배최장근단면적 및 근내지방도에 대한 유전능력평가를 실시하고, 이용 되는 3가지 형질 중 육량과 관련된 도체중과
배최장근단면적 그리고 육질의 평가기준의 근내지방도의 비율이 1:1이 되도록 종합지수를 설정하여 지수값의 순위에 따라 씨수소를 선발
'가축육종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산기사, 축산계열, 축산직 공무원 시험 대비 핵심 가축육종학 요약 정리 6 (4) | 2024.04.29 |
---|---|
축산기사, 축산계열, 축산직 공무원 시험 대비 핵심 가축육종학 요약 정리 5 (2) | 2024.04.28 |
축산기사, 축산계열, 축산직 공무원 시험 대비 핵심 가축육종학 요약 정리 4 (1) | 2024.04.27 |
축산기사, 축산계열, 축산직 공무원 시험 대비 핵심 가축육종학 요약 정리 3 (2) | 2024.04.26 |
축산기사, 축산계열, 축산직 공무원 시험 대비 핵심 가축육종학 요약 정리 1 (2) | 2024.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