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축육종학

축산기사, 축산계열, 축산직 공무원 시험 대비 핵심 가축육종학 요약 정리 6

728x90
반응형

가축육종학 요약 정리 6

- 한우 발유능력
∙ 이유시 체중
∙ 12개월령 체중
∙ 일당증체량

 

- 한우의 이유 후 증체율
∙ 이유 후 증체율이 높으면 사료이용성이 좋음
∙ 이유 후 증체율이 높으면 생산비가 저하
∙ 이유 후 증체율은 이유 후 일당 증체량으로 표시
∙ 이유 후 증체율의 유전력은 0.4~0.6으로 높은 편


- 돼지에서 3품종간 교배시 잡종강세의 강도가 가장 큰 것
∙ 이유시 한배새끼의 전체 체중


- 돼지 경제 형질의 유전력이 가장 낮은 것
∙ 복당 산자수


- 육우의 모색 유전자 적색과 백색 유전자가 대립관계에 있을 때
2천두에 대한 모색을 조사한 결과 적색(red) 720두, 조모색(roan) 960두 및 백색(white) 320두가 조사되었다. 이때 적색 유전자의 빈도

- 고온에 견디는 힘이 강하여 열대나 아열대 지방에서 가장 많이 사육되는 소의 품종 : Brahman 종


- 가축 후대검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 후대검정에 배정되는 암가축의 능력을 고르게 함
∙ 1마리의 수가축에 많은 암가축 교배하여 고르게 섞이게 함
∙ 후대검정되는 자손들을 환경요인의 영향을 균등하기 위해 가능한 여러 곳에서 검정
∙ 후대검정되는 후대 자손수를 많게


- 후대검정을 통해 인공 수정용 종모우를 선발하는 경우, 젖소 개량에 있어 가장 크게 기여하는 것
∙ 종모우의 아비소 선발


- 한우의 후대검정
∙ 검정소 후대검정의 선정기준은 후보씨수소 1두당 교배암소 40두 이상을 교배시켜 생산되고 유전자검사 결과
친자가 확인된 수송아지 10두 이상이여야 함
∙ 후대검정우에 대한 검정기간은 예비검정과 본검정으로 구분, 예비검정은 축군평균 150~180일령 사이에 최소 20일 내외로 실시하고,
이 기간중 기생구충제, 예방접종, 질병검사와 사육환경 적응여부를 검정하며, 본검정은 예비검정이 끝난 후
검정축군 평균일령 180일령에 개시하여 530일동안 실시. 단, 축군의 일령범위는 평균값 30일 이내로 함
∙ 후대검정을 개시한 후보씨수소에 대하여는 보증씨 수소로 선발되기 전까지는 냉동정액을 생산, 보관하여야 함
∙ 후대검정우의 체중 측정시기는 개시 시, 축군 평균일령 360일령, 540일령 및 종료 시로 4회 측정


- 한우 후대검정의 단점
∙ 자손의 능력에 근거하므로 세대간격이 길어 개량량이 작아짐
∙ 검정기간이 오래 걸려 종축의 이용연한이 짧음 ( 노령으로 폐사 또는 활용 불가 )


- 후대검정은 어떠한 경우에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
∙ 한쪽 성에만 발현되는 형질의 개량
∙ 유전력 낮은 형질의 개량
∙ 도살해야 측정할 수 있는 형질의 개량


- 후대검정 시 수종축의 딸의 평균유량이 6,400kg이고, 이들 어미의 평균 유량은 6,100kg이라 할 때 본 수컷의 종웅지수
∙ 6700kg
( Z= 2D-M = D+(D+M) (Z :종웅지수, D : 딸의 평균유량, M : 어미의 평균유량)
=2 x 6400-6100 = 6700kg )


- 한우의 당대검정우 조건
∙ 등록기관에 부모가 혈통등록 이상 등록되고 유전자 검사결과 친자 확인
∙ 씨암소에서 태어나고 생후 160일령 이전에 이유한 수송아지
∙ 당대검정우나 당대검정우의 부모 또는 형제, 자매중 선천성 기형이나 유전적 불량형질이 나타나지 않은 것

- 젖소 종모우 평가방법인 BLUP(최량선형불편추정법)를 고안한 사람
∙ 헨더슨
( BLUP지수는 가축의 생산을 평가하기 위하여 1948년 DR.C.R.Henderson에 의해 미국에서 개발된 통계적인 분석을 이용하는 방법 )

 

- 염색체수


∙ 사람 24
∙ 소 30
∙ 돼지 19
∙ 닭 39
- 2배체(Diploid) 상태에서의 염색체 수
∙ 사람 48
∙ 소 60
∙ 돼지 38
∙ 닭 78


- 닭의 산란강도와 같은 의미
∙ 산란지수
∙ 일계산란율
∙ 연속 산란일수


- 산란지수
∙ 산란계에서 일정기간 내의 총 산란수를 그 기간의 최초의 수로 나눈 값

 

- Hen-Day Rate of Egg Production
∙ 일정기간의 총 산란수를 기간 내 매일 생존 암탉수로 나눈 것
- 산란계 두수가 6/1일 100수였는데 6/5일 2수, 6/15일 3수가 죽음, 7월중 총산란수가 2,280개면 이 양계장의 6월 산란지수
→ 22.8개/수

- 유전상관
∙ 두 개의 형질을 지배하는 유전자가 동일 염색체 상에 존재하거나,
동일유전자라는 것 등의 원인에 의하여 이들 형질이 잡종집단 속에서 양 또는 음의 방향으로 동시에 변동하는 현상

 

- 유전상관이 부(負)의 관계인 형질들에 해당하는 것
∙ 닭의 산란수와 초산일령 ( 초산일령이 늘어날수록 산란수는 줄어들기 때문 )
∙ 초산일령과 산란수 간의 상관계수 : -0.4~-0.6


- 변경유전자
∙ 자기 자신으로는 단독으로 형질발현작용을 하지 못하지만 특정 표현형을 담당하고 있는 주 유전자와 공존할 때
그 작용을 변경시켜 표현형을 양적 또는 질적으로 변화시키는 1군의 유전자

 

- 질적형질
∙ 하나 또는 극소수의 유전자에 의해 지배되는 형질
∙ 유전적으로 지배되는 정도가 강해 상대적으로 환경의 영향을 덜 받음


- 유전자들이 누적된 작용역가의 크기에 따라 형질의 표현정도가 달라지는 경우의 유전자
∙ 복다유전자


- 유성인자의 다면작용 (다면발현)
1개의 유전자가 2개 이상의 유전현상에 관여하여 형질에 영향을 미치는 일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