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축육종학

축산기사, 축산계열, 축산직 공무원 시험 대비 핵심 가축육종학 요약 정리 7

728x90
반응형

핵심 가축육종학 요약 정리 7

- 재래 가축을 개량하기 위하여 개량종으로 4세대까지 주진교배 시 개량종의 혈통은
→ 93.75%
- 돼지의 능력 검정시, 검정개시체중이 32kg이었고 검정종료체중이 107kg이었다.
검정기간 동안의 사료 섭취량은 210kg이었으며 검정에 소요된 기간은 100일 이었다면 이 돼지의 1일 평균 증체량
→ 0.75kg


- 육종가
∙ 가축의 육종가는 상가적 유전형가의 총합
∙ 가축의 육종가는 전달능력의 2배
∙ 가축의 육종가는 그 가축의 종축으로서의 가치를 나타냄
- 부모의 추정 육종가가 각각 100과 80일 때, 태어날 자손의 예상 육종가
→ 90
( 자손의 예상 육종가 = (100+80) / 2 =90 )


- 수소 검정하였더니 일당 증체량 1300g, 한우 일당 증체량평균이 900g, 일당 증체량 유전력이 0.4이라면 이 소의 육종가는?
→ 1,060g
( 900+0.4(1300-900) = 1060g )
- 환경 변이가 없는 조건에서 사육한 돼지의 165일령 체중이 다음과 같다고 할 때 이형 접합체의유전자형가
(단, AA : 120kg, Aa : 110kg, aa : 90kg)
→ 5kg
( (120+90)/2 = 105 → 110-105 =5 )


- 어느 젖소군의 평균 유량이 평균 유량이 7500kg이며, 이 우군에 속하는 A라는 젖소가 한 비유기 동안에 8500kg의 우유를 생산하였다면
A라는 젖소의 유량에 대한 육종가 (단, 유량에 대한 유전력(h₂)은 0.3이라고 가정함)
→ 7800kg


- 어느 유우의 1산차 유지방 생산량 230kg이고, 그 우군의 평균 유지방 생산량 180kg , 유지방 생산량의 유전력 0.35일 때 이 개체의 육종가
→ 197.5kg


- 영구환경분산이 10, 일시적환경분산이 20, 표현형분산이 50이면
→ 반복력은 0.6


- 특정 집단의 유전적 변이가 0이고, 표현형 분산이 100일 때, 이 집단에서 선발의 효율성
→ 0%


- 한우의 개량에 고려해야 할 경제형질
∙ 번식능력
∙ 증체량
∙ 도체품질
- 육우 경제형질의 유전력이 가장 높은 것
∙ 배장근 단면적

- 한우의 체중형질 중에서 유전력이 가장 높은 것
∙ 6개월 체중

 

- 젖소에서 경제형질 유전력
∙ 번식능력 (0.00~0.10%)
∙ 비유량 (0.20~0.30%)
∙ 사료효율 (0.30~0.40%)
∙ 단백질률 (0.45~0.55%)


- 젖소의 형질 중 유전력이 가장 낮은 것
∙ 번식능률 (번식능률이 가장 낮고 그 위가 비유량)


- 유우의 형질중 근친교배에 크게 영향을 안받는 형질
∙ 유지방률
( 젖소는 근친교배로 인한 유지방률(생산형질)에 나쁜 영향 미치지 않음 )


- 가축의 누진교배를 계속할 때 3세대 자손의 유전적 변화
∙ 개량종 87.5%
∙ 재래종 12.5%


- 재래 소를 5세대 동안 개량종과 누진 교배를 하였다면 5세대의 개량종 혈액비율
→ 96.88%


- 누진교배
∙ 잡종교배방법으로 불량한 재래종 가축의 능력을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개량하는 방법
∙ 개량되지 않은 재래종을 개량종과 연속적으로 교배하여 개량종의 혈액비를 높이는 교배방법

- 분산
∙ 분산이 클수록 평균과의 차이가 많아짐
∙ 변이의 척도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것


- 유전력
∙ 전체분산 중에서 유전분산이 차지하는 비율
- 좁은 의미의 유전력에 비하여 넓은 의미의 유전력이 더 높게 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것
∙ 상위성분산과 우성분산

- 좁은 의미의 유전력이 크기를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
∙ 상가적 유전분산
- 한우의 어느 형질에 있어서 상가적 유전분산 0.6, 우성분산 0.2, 상위성분산 0.1, 환경분산 1.1. 이 형질에 대한 좁은 의미 유전력
→ 0.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