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직무수행평가의 정의와 평가원, 평가 양식
1) 직무수행평가의 중요성
○ 조직의 인적자원, 물리적 자원, 경영계획이 적절히 조화를 이루었을 때 조직은 성공할 수 있음
○ 직무수행관리(performance management): 조직이 높은 성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자원
들을 관리하고 정렬하는 절차
2) 직무수행평가의 정의
○ 종업원 수행이 나쁨에도 성공할 수 있는 조직은 거의 없음
○ 종업원의 개별 수행은 조직성과의 원동력
○ 조직은 종업원들이 얼마나 잘하고 있는지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함
○ 직무수행 평가(performance appraisal): 종업원들이 자신의 직무를 얼마나 잘하고 있는 지
를 알아내는 절차
3) 평가원
○ 전통적으로 상사가 직원들을 평가해 왔음. 하지만 최근 사기업과 공공기관에서 다면 평가
(360도 피드백)를 진행하면서 평가원이 다양해지고 있음
○ 한명이 평가하는 것 보다 여러 명이 평가하는 것이 평가에서 발생하는 오류나 편향을 감소시킬 수 있음
(1) 상사
○ 수행평가의 95% 이상에 상사가 포함
○ 부하의 수행을 잘 알고 있고, 업무를 지시, 관찰할 기회가 많음
○ 조직의 목표에 부합하는지 평가할 수 있음
○ 보통 상사에게는 좋은 모습을 보이려고 하기 때문에 직원의 태도나 관계에 대한 진실된 정
보를 획득하기 어려울 수 있음
(2) 동료
○ 동일 수준의 종업원끼리 일반적인 업무 능력, 전문 기술, 성격, 대인관계를 서로 평가
○ 군에서 장교 평가 시 가장 많이 사용
○ 승진 시 동료 평가를 반영하는 경우가 많아짐
○ 라이벌일 경우에는 의도적으로 점수를 왜곡해서 평가할 수 있음
○ 동료가 업무 지시를 하지 않기 때문에 수행 수준을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려울 수 있음
(3) 부하
○ 부하가 상사를 평가
○ 주로 리더십이나 직무수행관리 능력 등을 평가
○ 부하평가는 자기평가보다 상사평가와 높은 상관. 즉 상사평가 점수와 부하평가가 유사한 경향을 보임
○ 인사관리 목적보다는 상사의 개발 목적으로 자주 사용됨
(4) 자기
○ 스스로에 대한 평가로 점수의 관대화 경향이 높음
○ 타인 평가 점수와 자기 평가 점수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가 많음
○ 후광효과는 덜 할 수 있음.
○ 개인은 개인의 노력과 능력, 기술을 강조, 상사는 결과와 산출물을 더 중시하는 경향이 있음
○ 인사 결정과 같은 행정적인 목적보다는 개발 목적으로 사용
(5) 고객
○ 서비스업에서 고객 평가를 많이 사용
○ 금융기관 창구직원, A/S 직원, 컨설턴트 등
○ 고객이 기업의 목표를 알기는 어렵지만 고객과의 접점에서 어떤 수행을 보이는 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음
○ 인사연구, 자기 개발 활동의 기초자료로 활용
4) 평가 양식
(1) 도식적 평가 척도
○ 가장 널리 사용
○ 직무 이해도, 직무의 양, 직무의 질, 직무숙달능력, 창의성, 협동성, 판단력 등에 대해 5-7점으로 평가
○ 평가 목적에 따라 평가 항목 개발이 용이-타당도 측면에서는 효과적
○ 신뢰도에서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음
예) 작업의 질: 우수-평균이상-평균-평균이하-열등
(2) 행동 기준 평정 척도
○ Behavior Anchored Rating Scale(BARS)
○ 직무의 성공을 좌우하는 결정적인 일련의 행동들을 결정
○ 특수한 행동적 사건들의 수준에 대해 관찰을 통해 평정하는 방법
○ 전문가들에 의해 개발되며, 내용 타당도가 높다는 장점
○ 평정자의 기억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 평가자 간 신뢰도의 문제
○ 구체적인 지적, 개선이 가능, 수행 평가 면담과 피드백에 효과적
(3) 행동 관찰척도
○ Behavior Observation Scale(BOS)
○ 중요 사건법+평정법에 근거하고 있음
○ 특수한 행동적 사건들의 발생빈도를 관찰을 통해 평정하는 방법
○ 충분한 관찰 시간이 필요
'산업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43. 직무수행평가 오류 및 평가자 고려사항 (1) | 2024.03.05 |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42. 직무수행평가의 활용 방안 (1) | 2024.03.03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40. 교육/훈련 방법과 장단점 (2) | 2024.02.29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39. 평가 준거 : 반응, 학습, 행동, 결과 (2) | 2024.02.28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38. 학습맥락 : 훈련자와 피훈련자의 특성, 교육/훈련의 전이 (1) | 2024.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