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산업심리학에서의 실증적 연구과정
♠ “지식을 창출하고 이해하는 공식적인 과정
1) 연구 문제 선정
♠ 자신, 타인의 경험, 개인의 직관이나 통찰, 기존 지식, 이론을 통해서 연구 문제가 나옴
♠ 연구 문제를 통해 연구 가설을 새우고, 가설이 검증되면 이론이 됨
♠ 가설이란? : 두 변인 간의 관계에 대한 잠정적 진술
ex) 임금 만족 수준이 높으면 직무 만족 수준이 높을 것이다.
♠ 이론이란?
: 관심 대상이 되는 현상/개념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제안된 진술
♠ 이론 수립 방법
♠ 좋은 이론의 특성
특성 | 의미 | 이유 |
간결성 | 좋은 이론은 가능한 한 간단하면서 많은 것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너무 복잡한 이론은 다루기가 어려워 별 로 유용하지 않음 |
정밀성 | 이론은 가능한 한 구체적이고 정확한 언 어로 진술되어야 함 |
장황하고 명확하지 않으면 과학자들은 이를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을 알지 못하 게 됨 |
검증 가능성 | 이론의 명제는 실험을 통해 입증 가능한 것이어야 함 |
검증할 수 없는 이론은 지지되거나 철회 될 수 없기 때문에 과학에 거의 사용되 지 않음 |
유용성 | 이론은 실용적이어야 하며 중요한 현상 을 기술하거나 예측할 수 있어야 함 |
중요하지 않은 것을 예측하거나 설명하 는 이론은 가치가 없음 |
생산성 | 이론은 그 이론을 지지, 반박하려는 후 속 연구들을 유발할 수 있어야 함 |
어떤 이론을 검증하려는 후속 연구가 없 다면 그 이론은 아무 의미를 갖지 못함 |
♠ Kurt Lewin : “좋은 이론보다 더 실용적인 것은 없다.”
♠ 이론은 처음부터 완벽한 상태로 탄생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과학적 검증과 평가를 받음
♠ I&O에서 이론의 가치
: 연구 아이디어의 출처로의 역할뿐만 아니라 일과 관련된 유용한 설명을 제공하는 것
2) 연구 설계
♠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계획으로 여러 가지 연구 방법들이 있음
ex) 관찰, 실험, 설문 조사 등
♠ 연구 문제의 성질을 고려하여 적합한 연구 방법을 선택함
♠ 주요 고려 대상
1. 연구 장면의 자연스러운 정도
: 자연스러운 환경에서의 문제 연구, 현장 관찰, 설문 연구
2. 연구자의 통제 정도
: 연구에서의 통제력 행사 여부, 개입의 가능여부에 관한 문제
내적 타당도: 연구 결과를 다른 변인이 아닌 연구에서 처치한 변인의 탓으로 돌릴 수 있는 정도
, 인과관계를 확신할 수 있는 정도
외적 타당도: 연구 결과를 다른 사람들이나 다른 장면에 적용할 수 있는 정도, 일반화 가능성
정도
3) 변인 측정
♠ 변인(Variable) 이란? 다양한 수량적 값을 가질 수 있는 일종의 속성/특성
ex) 나이, 직무만족, 경력 등
♠ 변인의 구분
1. 양적 변인(연속 변인)
: 본질적으로 수량적 값을 지니고 있는 연구 변인
ex) 나이, 시간, 급여, 거주기간, 키, 무게 등
2. 질적 변인(범주 변인, 불연속 변인): 본질적으로 수량적 값을 지니지 않은 연구 변인
ex) 성, 인종, 지역, 졸업학교
♠ 어떤 변인이 독립, 종속변인이 되느냐는 연구 주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리더십 유형 -> 종업원 수행 -> 임금 수준
4) 자료 분석
♠ 기술 통계(Descriptive statistics): 연구 변인을 기술하는데 사용되는 통계치
♠ 집중 경향치(집단의 대표점수)
♠ 각 연구 방법과 자료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통계 기법이 사용됨
- 2집단 간 평균 차이검증 : 남/여간 평균 임금 차이 -> 독립 t 검증
- 3집단 간 평균 차이검증 : 대리/과장/차장 간 직무만족 차이 ->변량분석(ANOVA), 사후
검증(Post-hoc Analysis)
- 두 변인간의 관계성 검증 : 회사 인지도와 애사심간의 관계-> 상관관계 분석
- 통계 분석 프로그램: SPSS, SAS, Minitab, R, AMOS 등
5) 결론
♠ 참가자
: 연구의 피험자로 참여한 사람들의 대표성을 고려해야 함
: 피험자들과 연구 과제 간의 부합도 (연구 대상에 맞는 참가자)
♠ 연구 방법
: 다양한 연구 방법이 협동적으로 사용되어야 함
: 일반화를 위해서는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함
♠ 연구 자세
: 연구는 누적되어가는 과정이며, 연구결과·이론·모델은 변경될 수 있음(Paradigm shift)
: 끝까지 탐구하는 자세를 가져야 함
ex) 플레밍(페니실린), 호손 연구
♠ 실행 지식
: 특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이나 조치를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는 연구로부터 산출된 지식
: 다양한 상황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방법을 잘 알고 있어야 함
'산업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10. 관찰 연구 방법의 종류와 장단점 (3) | 2024.01.07 |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9. 연구 관련 기본 개념과 용어 (2) | 2023.12.28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7. 과학의 목표와 가정 (2) | 2023.12.21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6. 산업심리학의 미래 및 당면 과제 (1) | 2023.12.20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5. 제1, 2차 세계대전과 산업심리학의 주요 역사적 이슈 (4) | 2023.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