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관찰 연구 방법의 종류와 장단점
1) 산업심리학 연구 방법의 종류
■ 1차적 연구 방법
: 연구자가 가설 검증을 위해 직접 관련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
: 관찰, 실험, 설문조사, 사례연구, 기록 조사 등
■ 2차적 연구 방법
: 기존의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여 재분석 하는 방법
: 통합분석, 메타 분석, 리뷰 연구
예) 시급보다 성과급이 생산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2) 관찰 연구 방법
(1) 관찰 연구
■ 밖으로 드러나는 행동을 연구할 때 사용하는 방법.
■ 자연스러운 실생활에서 행동을 오랜 시간 동안 관찰, 기록, 범주화.
■ 관찰 연구를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
■ 관찰 방법: 자연적 관찰 방법, 녹화 장비 활용, 참여 관찰, 일방경을 통한 관찰, 자기 관찰
법 등 다양한 방법 활용 가능
(2) 관찰 연구 방법의 종류
■ 자연관찰법
- 연구자가 자연스러운 행동을 관찰하는 것
- 관찰된다는 것을 인식하면 실제 반응과는 다른 반응이 유발될 수 있음
■ 유사관찰법
- 제한된 통제환경 속에서 관찰하는 것
- 조작된 관찰환경이 개인행동에 영향을 미침
- 영유아의 행동 관찰에 많이 사용됨
■ 자기관찰법
- 스스로의 행동을 직접 관찰하고 기록하는 것
- 광범위한 문제행동에 적용 가능하고 비용과 시간이 절약됨
- 외부에서 관찰하기 어려운 현상도 측정 가능함
- 객관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 참여관찰법
- 관찰 대상자의 주변 인물을 선정하여 관찰 대상자의 행동을 기록하게 하는 것
- 연구자가 관찰하는 것보다 더 자연스러운 행동을 관찰할 있음
- 사전에 훈련이 필요함
- 발생빈도가 낮은 행동이나 외부 관찰자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는 행동을 평가할 때 유용 함
- 관찰자의 주관이 내포될 가능성이 있음
(3) 관찰 연구의 예시
■ Komaki(1986). 12명의 효과적인 리더와 12명의 비효과적인 리더들을 7개월 동안 한번에
30분 동안 20회 관찰
- 효과적인 리더는 직원들에게 더 많이 찾아감. 업무관련 커뮤니케이션과 피드백을 많이 함,
명확하게 업무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칭찬/인정을 많이 해줌, 일이 성공하면 직원의 공
로로 돌림. 개인적인 대화도 많이 함.
- 비효과적인 리더는 찾아가지 않음. 문제가 발생했을 때 책임을 직원에게 전가
(4) 관찰 연구 방법의 장단점
■ 관찰은 연구 아이디어를 얻어내기에 유용함
■ 관찰 대상자가 관찰되고 있음을 의식할 수 있음
■ 반응성(Reactivity)이 발생하여 자연스러운 행동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음
■ 관찰 외 시간의 행동은 알 수 없음
■ 연구자/관찰자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수 있음
■ 행동 그 자체가 아닌 기저의 원인을 파악하고 해석하는 것이 중요
'산업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13. 중심 경향치 (2) | 2024.01.11 |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11. 사례 연구 방법의 특징 (1) | 2024.01.08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9. 연구 관련 기본 개념과 용어 (2) | 2023.12.28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8. 산업심리학에서의 실증적 연구과정 (2) | 2023.12.23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7. 과학의 목표와 가정 (2) | 2023.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