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산업심리학의 세부 분야
▶ 모집: 일정한 조건을 가진 지원자들을 모으는 것
▶ 모집방법 : 인터넷, 대학 방문, 추천 등
▶ 선발: 많은 지원자 중 회사에 이직하지 않고, 우수한 직무수행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는 사람을
선택하는 것
▶ 배치: 선발된 사람들 중 특정 직무를 가장 잘 수행할 것으로 판단되는 인원을 선택하는 것
▶ 수행평가: 직원들의 직무관련 수행이 얼마나 우수한지를 평가하는 것
▶ 보상: 직무수행에 대한 대가, 혹은 높은 직무수행을 위한 금전적, 물질적, 사회적 보상
▶ 훈련: 특정 직무수행을 배우거나, 더 잘해내기 위해, 즉 일정한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활동
▶ 사회화: 신입직원들이 회사에 적응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승진, 직무 순환 등 새로운 직무나 지
위에 적응해가는 과정
▶ 동기: 행동의 원인들을 의미하며, 근로자들이 더 열심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
▶ 직업 스트레스: 일 혹은 일터에서 오는 스트레스 원인과 이에 대한 반응, 그리고 이러한 스트레
스를 감소시키는 것
▶ 리더십: 집단의 목표나 내부 구조의 유지를 위하여 직원이 자발적으로 집단활동에 참여하여
이를 달성하도록 유도하는 능력
==> 즉 직원들이 자신과 팀, 부서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 직무수행을 할 수 있도록 개발하고
동기부여 하는 능력
▶ 집단 수행: 개인수행과는 다르게 집단으로 모여서 직무수행을 하면 응집력, 사회적 태만 등
다양한 현상이 나타남
▶ 조직 개발: 조직이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 될 수 있도록 각 조직을 변화시키는 것
▶ 산업심리학의 분야들: 전통적으로 다양한 직무들에 있어서 선발, 배치, 교육/훈련, 수행평가, 측
정 및 보상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기술적(Technical)인 측면이 강함
▶ 조직심리학의 분야들: 동기 부여, 리더십, 고용주-직원 관계 및 직무 태도와 같은 관계적
(Relational) 요소를 더 많이 포함하고 있음
▶ 산업심리학과 조직심리학의 두 분야는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분법적으로 구분
한다는 것은 적절치 않음
▶ 예: 객관적이지 않고 비합리적인 수행평가와 스트레스 동기와의 관계
▶ 두 영역은 상호 의존적이며, 산업 및 조직심리학이라는 응용심리학의 하위 전문분야들임
▶ 산업심리학자는 주로 선발과 배치, 교육과 개발, 직무수행관리, 조직 문화와 관련된 업무를 하고
있음
'산업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6. 산업심리학의 미래 및 당면 과제 (1) | 2023.12.20 |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5. 제1, 2차 세계대전과 산업심리학의 주요 역사적 이슈 (4) | 2023.12.18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4. 산업심리학의 초기 주요 연구자들 (1) | 2023.12.15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2. 과학자-실천가 모델의 의미 (1) | 2023.12.13 |
기초 부터 심화까지 요약한 산업심리학 정리 1. 산업심리학의 개념적 정의 (1) | 2023.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