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기관

자동차상식 + 자동자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93강. CNG 자동차의 적용배경

728x90
반응형

93강. CNG 자동차의 적용배경

천연가스 자동차와 관련한 기술 개발 내용은 가솔린 자동차와 유사한 기술 등이 많
이 적용되어 있으나 천연가스를 이용하는 데에 필요한 특별한 장치 등도 필요하다. 특
히 우리나라의 경우 대형 엔진을 이용한 버스가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외국의 경우는
소형 자동차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어, 향후 우리나라의 기술도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
할 것이다. 그러나 천연가스 자동차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천연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저장, 공급시스템이 함께 공급되어야 하는데 이에 대한 관련 법규의 개정 검토 등도 뒤
따라야 할 것이다.
천연가스(NG : natural gas)는 인공적인 과정을 거치는 석유(휘발유, 경유)와는 다
르게 천연적으로 직접 채취한 상태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가스 연료이며, 땅속에 퇴
적한 유기물이 변동되어 생긴 화학 연료라는 점에서는 동일하며, 차량에 연료를 저장하
는 방식에 따라 압축 천연가스(CNG) 자동차, 액화 천연가스(LNG) 자동차, 흡착 천연
가스(ANG) 자동차로 구분된다. 천연가스는 현재 가정용 연료로 사용되고 있는 도시가
스 (주성분은 Methane)이다.
또한 천연가스는 메탄(CH4)이 주성분으로 80~90%를 차지하며 에탄, 프로판등
의 불활성가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액화온도는 -162℃ 이하로 냉각되어 액체상태인
것을 LNG(Liqrfied Natural Gas)라 하며 상온에서 기체상태로 가압 저장된 상태를
CNG(Compress Natural Gas)라고 한다.


- LNG : 액화 천연가스(Liqrfied Natural Gas)
- CNG : 액화석유가스(Compress Natural Gas)

- LPG : 액화석유가스(Liqrfied Petorlium Gas)
- ANG : 흡착천연가스(Absorbed Natural Gas)


표 8-1. NG의 주성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