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석 감정사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122. 진주 1

728x90
반응형

122. 진주1

 

진주의 가치는 크기(size), 형태(shape), 진주층 두께(nacre thickness), 표면 상태
(blemish), 광택(luster), 색(color) 6가지 요소와 낱알이 아닌 여러 알이 꿰어진 경우는
조화(matching)까지도 고려하여 결정된다.


(1) 크기(사이즈)
진주는 크기가 클수록 가치가 높으며, 진주의 크기(size)는 mm로 표기한다.
1) 진주 사이즈 측정 방법
진주 사이즈 측정은 직접 측정하는 중재법과 진주 체에 걸러내는 사분법이 있는데 주
로 0.01~0.02mm까지 측정이 가능한 게이지를 사용하여 직접측정 한다. 그리고 진주
체에 걸러내는 사분법은 대체로 다량의 진주를 빠르게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싱글
(낱알) 진주는 여러 방향에서 0.01~0.02mm단위까지 측정하여 소수점이하 둘째자리에
서 반올림한다. 스트랜드 진주(줄, 비드)는 드릴 구멍에 수직으로 진주의 직경(폭)을 측
정한다.

 

2) 진주 사이즈 표기 방법
싱글(낱알) 진주는 최대 크기와 최소 크기를 측정하여, 원형류 진주는 최소 직경을
표기하며, 기타 형태의 진주는 최대치와 최소치를 0.1mm 단위로 표기한다. 유니폼
(uniform) 스트랜드 진주는 각 진주의 사이즈의 차이가 0.5mm 미만의 균일한 크기로
배열된 진주이며, 0.5mm 단위로 표기한다. 그래듀에이션(graduation) 스트랜드는 가
장 큰 진주를 중앙에 놓고 좌우로 순차적으로 작은 진주를 배열한 것으로 가장 큰 진주
의 최대 직경과 가장 작은 진주의 최대 직경의 수치를 0.1mm 단위로 표기한다.


(2) 색
1) 진주 색의 주요 특징과 분류
진주의 색(color)은 매우 복잡하여 같은 진주라도 보는 장소와 시간, 날씨 그리고 광
원의 종류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색이 미묘하게 달라 보인다. 진주의 색은 체색, 오버
톤, 오리엔트로 나눌 수 있다.
① 체색(body color) : 진주 자체가 갖는 기본 색으로 진주 전체에 걸쳐 있는 주색을
의미한다. 체색은 진주의 가장자리 둘레에서 가장 잘 관찰할 수 있으며, 해수, 담
수진주의 다양한 체색은 5개의 계열로 분류된다.
- 백색 계열: 순백색, 유백색, 은백색, 백자색 등
- 핑크색 계열: 핑크색, 옅은 장미색, 옅은 자홍색 등
- 황색 계열: 옅은 황색, 옅은 갈색(베이지색), 금황색, 등황색 등
- 흑색 계열: 흑색, 청흑색, 회흑색, 갈흑색, 자흑색, 짙은 갈색, 암회색 등
- 기타: 자색, 갈색, 청색, 다갈색, 자홍색, 녹황색, 옅은 청색, 녹색, 고동색 등
② 오버톤(overtone) : 진주의 체색 위에서 보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반투명한 색
들이 빛의 반사에서 보여지는 색이다. 가장 흔한 오버톤으로는 로제(rose(pink)),
그린(green), 블루(blue) 컬러와 백색, 은색 등이 있다. 이러한 오버톤은 항상 발견
되는 것이 아니며 하나 또는 두개의 오버톤만이 관찰될 수도 있고, 전혀 관찰되지
않을 수도 있다.
③ 오리엔트(orient) : 빛의 간섭(干涉)과 회절(回折)현상에 의해 진주 표면에서 관찰
되는 무지개 빛을 말하며, 이는 매우 명료, 명료, 보통, 미약으로 나눈다.

 

2) 진주 색의 감별과 표기 방법
진주의 색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백색 또는 회색의 배경하에서 진주의 윗부분에 일광
을 등지거나 색온도 5,500~7,200°K의 형광등 조명을 사용한다. 진주와 조명과의 거리
는 20~25cm, 진주와 관찰자 눈의 거리는 15~20cm 범위에서 관찰한다. 이렇게 관찰
된 진주의 체색을 기본 색으로 표기하고 오버톤 색을 보조 색으로 표기한다.

(3) 형태
1) 진주 형태 평가의 주요 특징
진주의 형태(shape)는 구형(round)의 진주가 가장 높이 평가된다. 해수 양식 진주의
경우 핵 삽입 수술을 할 때 둥근 핵을 삽입한다고 해도 완성되는 진주가 모두 완전한 구
형으로 산출된다고 할 수가 없다. 이것은 진주패가 진주층을 핵의 표면에 균일하게 분
비하지 않는 경우와 얼룩 등의 이(異)물질이 부분적으로 감겨 들어가는 경우 등이 원인
이다. 담수 양식진주의 경우에는 피스만을 삽입하기 때문에 구형 진주를 얻기는 매우
어렵다. 그러나 최근에는 피스를 구형으로 둥글게 만들어 삽입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담
수 양식진주도 구형으로 산출되는 경우도 많아졌다.
2) 진주 형태 구분 방법
진주의 형태는 진주의 전체적인 외관 윤곽을 판단하는 것으로, 원형류를 보이는 진
주는 아래 수식과 같이 최대 직경과 최소 직경의 차이를 백분율(%)로 산출하여 1% 미만
인 경우 정원형, 5%미만인 경우 원형, 10%미만인 경우 거의 원형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10% 이상이거나 다양한 형태의 진주는 타원, 납작, 바로크 형 등으로 구분한다.

3) 해수진주의 형태 등급 구분
[ 표 9-15 ] 해수진주의 형태 등급 구분

형태 등급 구분 직경의 백분율 차 (%)
용어 영문 기호
정원형 A1 ≤1.0
원형 A2 ≤5.0
거의 원형 A3 ≤10.0
타원형(페어형) B >10.0
납작한 형 C 대칭이고, 한쪽 또는 양쪽이 납작함
바로크형 D 대칭이 명확하지 않고 부정형임

4) 담수진주의 형태 등급 구분


[ 표 9-16 ] 담수진주의 형태 등급 구분

 

(4) 진주층 두께
1) 진주층 두께 평가의 주요 특징
진주층 두께(nacre thickness)는 결과적으로 진주의 색이나 광택 그리고 내구성과 관
계가 있어 중요한 품질 요소 중 하나이다. 진주층의 두께는 양식 기간과도 관계가 있으
며 일반적으로 양식 기간이 길수록 진주층이 두껍다. 그리고 진주층의 두께는 모패의
종류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다. 수온이 높은 어장에서 양식되는 남양 진주를 양식할 수
있는 백접패와 흑접패의 경우에는 연중 계속 진주질이 분비되어 아코야 진주에 비해 진
주층이 더 두껍게 된다.
2) 진주층 두께 측정 방법
측정 방법으로 직접적인 측정법과 X-선법, X-선 컴퓨터 단층촬영법(CT) 등이 있다.
중앙으로 직접 측정법은 절단 또는 관통된 진주의 진주층을 세 군데 이상 최대 두께와
최소 두께를 측정하고, 평균하여 두께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X-선법은 X-선 투
시로 촬영한 진주 내부구조의 사진을 통해 진주층의 두께를 측정한다. CT는 X-선 촬영
에 비해 구조물이 겹쳐지는 것이 적어 구조물을 좀 더 명확히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두 기법은 진주 내의 핵 유무를 판별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3) 해수진주의 진주층 두께 등급 구분

 

해수진주의 진주층 두께 등급 구분

진주 두께 등급 구분 진주층의 두께(mm)
용어 영문 기호
매우 두꺼움 A ≥0.6
두꺼움 B ≥0.5
보통 C ≥0.4
얇음 D ≥0.3
매우 얇음 E <0.3

(5) 표면 상태
1) 진주 표면 상태 평가의 주요 특징
진주의 표면 상태(blemish)는 불규칙한 돌기나 주름 잡힌 표면, 검은 반점, 작게 함몰
된 부분, 스크래치 등으로 그 수나 크기 그리고 종류와 위치 등에 따라서 진주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표면 상태는 양식 중 자연적으로 생기는 특징과 처리나 취급 중에 생
긴 특징이 있다. 표면 상태를 평가할 때는 우선 부분적인 특징인지 전체적인 특징인지
를 관찰한다. 그리고 작은 특징이 이어져 있는지 중간 또는 큰 크기인지의 상태를 검사
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