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 비취
(1) 비취의 특징
비취는 에메랄드와 함께 5월의 탄생석으로 동양을 대표하는 보석 중 하나이며, 주요
산지는 버마(미얀마)이며, 연마는 주로 중국에서 이루어진다. 비취의 가치 평가는 색과
투명도가 주요 평가기준이 되며, 색이 짙고, 고르고, 캐보션 형태의 밸런스가 좋고, 알맞은 높이로 연마되었는지가 고려된다.
보석 중에서 연옥과 함께 충격에 의한 영향을 가장 적게 받지만, 열과 초음파 세척기
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비취는 내구성과 광택을 개선하기 위한 수지처리와 유기염료를
사용해 다양한 색을 만들기 위한 염색처리가 주로 행해진다. 비취의 유사석으로는 마우
싯싯, 서펜틴, 크리소프레이즈, 아이도크레이즈, 하이드로그로슐라 가닛 등이 비취와
외관상 유사하다.
(2) 비취의 분류
비취는 상업적으로 A-Jade, B-Jade, C-Jade, B+C Jade로 홍콩에서는 분류되기
도 한다. A-Jade는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천연유 세척과 미세한 왁스 광택과 같은 전통
적인 과정을 제외하고 어떠한 화학처리도 되지 않은 천연 비취를 말한다. B-Jade는 어
두운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화학적으로 표백이 이루어진 비취가 표백 후 내구성과
광택을 개선하기 위해서 무색 폴리머 수지가 주입된 비취를 말한다. C-Jade는 일반적
으로 백색이거나 매우 연한 색을 지닌 비취의 색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 미세한 균열 사
이로 유색 염료를 침투해 염색이 이루어진 비취를 말한다. B+C Jade는 투명도와 색을
개선하기 위해서 염색과 폴리머 수지가 주입된 비취를 말한다.
비취의 분류
분류 코드 | 특징 |
A-Jade | 주입의 징후가 없음 |
B-Jade | 왁스나 수지 주입 |
C-Jade | 염색 |
B+C Jade | 염색과 주입 |
(3) 비취(녹색)의 등급 구분
비취(녹색)의 품질은 채도, 명도, 투명도, 질감, 정도의 5가지 평가 요소에 의해 나눌
수 있다. 그리고 비취는 다양한 색이 있으나 보통 비취라고 하면 대표적인 색인 녹색을
의미하며, 크게 세 범주로 녹색, 황록색, 청록색으로 나뉜다. 중국에서는 국가 표준(翡
翠分級 GB/T 23885-2009)으로 모든 색의 비취를 등급 구분하는 시스템이 있는데, 다
음의 비취 등급 구분은 녹색 계열의 비취만을 인용하였다.
1) 색상의 종류와 표시 방법
색상 종류 | 육안 관찰 특징 | 스펙트럼 파장 (λ/nm) |
|
녹색 | G | 순수한 녹색이거나 아주 연한 황색이나 청색을 띠는 녹색 | 500≤λ<530 |
황록색 | yG | 주된 색이 녹색이고, 비교적 쉽게 황색을 인지 | 530≤λ<550 |
청록색 | bG | 주된 색이 녹색이고, 비교적 쉽게 청색을 인지 | 490≤λ<500 |
2) 채도의 등급 구분과 표시 방법
[ 표 9-10 ] 채도의 등급 구분과 표시 방법
채도 등급(중문) | 육안 관찰 특징 | 색 순도 Pc/% |
GemDialogue 채도칩 C/% |
|
극농(極濃) | Ch1 | 녹색이 선명하고 매우 뚜렷함 | Pc≥65 | C≥85 |
농(濃) | Ch2 | 녹색이 강하고 뚜렷함 | 45≤Pc<65 | 65≤C<85 |
교농(較濃) | Ch3 | 중간정도의 녹색이며, 비교적 밝음 | 30≤Pc<45 | 45≤C<65 |
교담(較淡) | Ch4 | 옅은 녹색이며, 색이 연함 | 20≤Pc<30 | 25≤C<45 |
담(淡) | Ch5 | 색이 매우 옅고, 육안으로는 무색에 가까움 | 10≤Pc<20 | 5≤C<25 |
3) 명도의 등급 구분과 표시 방법
[ 표 9-11 ] 명도의 등급 구분과 표시 방법
명도 등급(중문) | 육안 관찰 특징 | 회색 명도칩 (G/%) | |
명량(明亮) | V1 | 회색감을 띠지 않은 밝고 선명한 색 | G<10 |
교명량(較明亮) | V2 | 회색감을 약간 띠는 비교적 밝고 선명한 색 | 10≤G<30 |
교암(較暗) | V3 | 회색감을 띠는 비교적 어두운 색 | 30≤G<50 |
암(暗) | V4 | 회색감이 명료하며 매우 어두운 색 | G≥50 |
자료: 翡翠分級 GB/T 23885-2009
4) 투명도의 등급 구분과 표시 방법
[ 표 9-12 ] 투명도의 등급 구분과 표시 방법
투명도 등급(중문) | 육안 관찰 특징 | 투과율(t/%) | 상업명(참고) | |
투명(透明) | T1 | 대부분의 빛이 쉽게 투과되며, 내부 특징이 쉽게 관찰됨 |
t≥75 | 유리지(琉璃地) |
아투명(亞透明) | T2 | 빛이 투과되며, 내부 특징이 관찰됨 | 65≤t<75 | 빙지(氷地) |
반투명(半透明) | T3 | 빛은 투과되나 내부 특징이 모호하게 관찰됨 | 55≤t<65 | 나화지(糯化地) |
아반투명(亞半透明) ~ 불투명(不透明) |
T4 | 빛이 극히 일부 투과되거나 전혀 투과되지 않고, 내부 특징은 관찰되지 않음 | t<55 | 동과지(冬瓜地)~ 자지(瓷地) |
5) 질감의 등급 구분과 표시 방법
질감의 등급 구분과 표시 방법
질감 등급(중문) | 육안 관찰 특징 | 입자 크기 (d/mm) | |
극세(極細) | Te1 | 조직이 극히 섬세하고 치밀하며, 10배 확대 하에서도 광물 입자를 발견하기 어려움 |
d<0.1 |
세(細) | Te2 | 조직이 섬세하고 치밀하며, 10배 확대 하에서 광물 입자를 발견할 수 있으나 육안으로는 발견되지 않음 |
0.1≤d<0.5 |
교세(較細) | Te3 | 조직이 치밀하며, 육안으로도 광물 입자를 관찰할 수 있고, 균일한 입자 |
0.5≤d<1.0 |
교조(較粗) | Te4 | 조직이 비교적 치밀하며, 육안으로도 광물 입자를 쉽게 관 찰할 수 있고, 크기가 고르지 않은 입자 |
1.0≤d<2.0 |
조(粗) | Te5 | 조직이 매우 거칠며, 광물 입자가 육안으로 눈에 띄게 관 찰됨 |
≥2.0 |
6) 정도(淨度)의 등급 구분과 표시 방법
[ 표 9-14 ] 정도(淨度)의 등급 구분과 표시 방법
정도(淨度) 등급 (중문) | 육안 관찰 특징 | |
극순정(極純淨) | C1 | 육안으로는 내·외부의 특징이 없거나 눈에 띄지 않을 정도의 매우 작은 특징 이 있을 수 있으나 전체적인 아름다움에는 영향이 거의 없음 |
순정(純淨) | C2 | 육안으로는 쉽게 관찰되지 않는 내·외부의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아름다움에 경미한 영향을 미침 |
교순정(較純淨) | C3 | 육안으로 관찰되는 비교적 뚜렷한 내·외부의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전체적인 아름다움에는 영향을 미침 |
상순정(尚純淨) | C4 | 육안으로 쉽게 관찰되는 내·외부의 특징을 지니며, 전체적인 아름다움 및 내 구성에 영향을 미침 |
불순정(不純淨) | C5 | 육안으로 관찰되는 매우 뚜렷한 내·외부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전체적인 아 름다움 및 내구성에 큰 영향을 미침 |
'보석 감정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123. 진주 2 (8) | 2023.05.28 |
---|---|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122. 진주 1 (23) | 2023.05.27 |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120. 에메랄드 (2) | 2023.05.26 |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119. 사파이어 (27) | 2023.05.25 |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118. 루비 (24) | 2023.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