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가와삶

방통대 교양학과, 생활 교양 등 여가와삶 요점 요약 정리 4. 미술에의 첫걸음 - 풍경화와 자화상

728x90
반응형

제 4 강 미술에의 첫걸음 - 풍경화와 자화상

 

자연이란 인간의 벌거벗은 몸을 거대하게 확대한 것이다. 따라서 자연과 인간의 화해는 인간의 누드를 바라보는 사랑의 눈. 그것이야말로 자연을 바라보는 열쇠다.

<칸트 Kant, 미학론>

 

강의 1> 풍경화

Paradise

- 케네드 클라크 (Kenneth Clark), 영국의 미술사학자

실제로 고대 페르시아(현재 이란의 북부)의 장로, 신선들이 불로장생하던 곳.

이곳에는 많은 꽃들과 나무와 초라한 집들. 낭만주의 시대에 오면서 성서의 파라다이스에 나오는 것은 이곳을 묘사했음.

초기의 풍경화는 세로 2인치, 가로 3인치의 작은 액자였고 정교한 그림이었다.

정교한 그림들을 그려서 왕족이나 귀족들에게 증정하면서 명예를 얻었음.

부르조아들이 자연속으로 picnic을 가면서 화가들도 자연의 풍경화을 그리기 시작함

 

부르주아의 자연

- 레저 개념으로서 유유자적한 생활을 할 수 있는 자연

 

시대별 풍경화의 이해와 감상

1. p.47. 강변의 풍차 (호이엔, 1642)

- 3/1만 대지. 나머지는 모두 하늘. 인간을 구체적으로 그릴 의지가 없다. 화가가 인간의 이야기가 없는 자연(구름)의 모습을 그림.

자연의 모습에 화가의 감정을 투영시킴

2. p.49. 시골풍경 (게인즈버러, 1786)

- 그림의 밑그림으로 미완성의 그림. 뒤의 나무와 언덕은 실제의 풍경이 아니고 화가가 임의로 붙인 것임.

→ ◈ 실제의 시골풍경에 이상적인 조건을 합성해서 풍경화를 그림

- 자연을 합리적으로 꾸몄던 것은 낭만주의 시대 사람들이 지나치게 자연에 자신의 감정과 이상을 실현하는 수단으로 생각했기 때문.

이러한 자연관은 베르사이유 궁전의 정원에 나무를 옮겨 심으면서 기하학적인 배치, 합리적으로 자연을 가꾸는 것이 예. 국내의 비원의 스타일(자연 그대로)과 베르사이유 궁전의 양식(합리적)

 

3. p.49. 난파선 (터너, 1840)

- 영국 낭만주의 풍경화의 대표작. 붉은 색은 노을이나 특별한 감흥을 일으킴. 증기선이 폭풍우에 휘말려 위기국면에 처해 있음.

파도와 구름의 모습 등 전체의 움직임이 자연의 분노다 라고. 터너의 감정은 자연에 몰입하려는 미학을 보여줌

→ ◈ 개인과 자연의 감정 일치를 도모

4. p.50. 슐레지엔 산악 풍경 (프리드리히, 1814-1920년경)

- 포인트는 벌거벗은 나무와 어두운 면. 심각한 감정상황을 묘사하고 있음.

→ ◈ 자연에 감정이입

 

동양 풍경화의 이해와 감상

서양화는 한 계절을 화폭에 담지만 동양화는 4계절이 함께 있다.

1. p.53. 몽유도원도 (안견, 1447)

- 동양식 paradise. 부드러운 언덕 등이 아니고 암각으로 둘러친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 위치.

서양의 풍경화는 자연을 부드럽게 그렸고 동양은 고난의 길을 지나야 하고 접근하기 어려운 곳이다.

→ ◈ 풍경화에 대한 동.서양의 다양한 시각

 

강의 2) 자화상

 

자화상의 기원

기원은 관상학에 있다. 얼굴은 오학?이다.

자화상이나 초상화를 그리는 사람들은 관상학 등을 알아야 한다.?

인간의 몸과 자연의 몸을 일치해서 인간의 몸에 침을 놓듯이 자연에 쇠못을 박으면서 기를 관리.

자화상 = 얼굴은 자연이다.

1. p.60. 자화상 (레오나르도 다빈치, 16C)

- 미화시키지 않고 있는 그대로를 보여줌. 특히 머리카락과 피부가 그대로 치밀하게 묘사 되어있다.

2. p.60. 자화상 (윤두서, 17C)

- 얼굴만을 그리고 몸체를 생략. 자신의 얼굴, 특히 눈에서 자신의 자아를 분명히 들어내는 작품. 턱의 수염도 치밀하게 그림. 양명학파

 

자화상을 얘기할 때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와 램브란트를 빼 놓을 수 없다.

램브란트는 자화상을 꾸미지 않고 사실적으로 그렸는데, 다빈치와 다른 점은 잠옷을 입은 외광파 (빛을 이용해 인물의 품위를 높이는)를 사용.

빛은 성자에게만 비쳤는데 그는 하찮은 예술가지만 자신은 진리를 깨쳤다고 생각하고 그림.

자화상 - 자아에 대한 관심

산수화 - 자연의 모습 속에서 자신을 본다.

龍顔(용안) - 임금님의 얼굴

- 일반인을 얼굴 (=낯짝)

 

서양 자화상의 의미

* 서양 : 자아(ego)에 대한 의식에서부터 출발

* 동양 : 정신적이고 신분적인 의미를 내포

서양은 자연 속으로 인간의 감정이 몰입하는 방식의 화해,

동양은 자연과 자아가 화해하는 방식. 특히 라는 측면에서 화해하는 측면을 볼 수 있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