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가와삶

방통대 교양학과, 생활 교양 등 여가와삶 요점 요약 정리 3. 미술에의 첫걸음 - 왜 누드인가?

728x90
반응형

제 3 강 미술에의 첫걸음 - 왜 누드인가?

 

* 실제의 벌거벗은 몸 : Naked

그림 속의 나체 : Nude

 

강의 1) 누드의 기원

 

* 남자토르소. 하라파 출토. 기원전 2000년경. (p.31. 도판 1)

(머리와 팔, 다리가 없다. 우상이나 인체를 감상키 위해 만든 것은 아니다. 고대 농경시대에 인체를 연구하기 위한 표본)

 

* 아폴론(쿠로스) - 그리스 고전 시대 (p.42. 도판 10)

(두상의 길이가 몸 전체의 길이를 재는 척도라고 믿었다.

감상형이 아니라 의학적 측면에서 만들어진 작품.

그리스 고대시대 인간신체의 머리부분과 몸의 비례

황금비례=만물의 척도 : 다른 동물과 달리 인간만이 3:2의 비례가 있다.)

 

* 머리부분 - 로고스 (사고하는 부분)

심 장 - 파토스 (감성의 부분)

성 기 - 에로스 (생산을 담당하는 부분)

 

*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 예술은 인간을 모방하는 것이다.

 

* 다이아나 - 퐁텐블로파의 화가 (p.33. 도판 2)

사냥하는 그림. 학문과 예술의 여신 = 사냥의 의미

사냥은 고대에 있어서 학문과 예술을 연마하는 기본적인 학문

 

* 신체중요기관

남성 - / / / / 심장 / 위장 / 성기 / / 다리 / 항문

여성 - “ ” / 가슴 / 자궁

(남성=10/ 여성 = 12, 여체는 가슴과 자궁 부분을 강조)

 

* 뿔배를 든 비너스 - 후기 구석기 시대 (p.39. 도판 5)

- 가슴과 배 부분을 강조 (나체의 아름다움보다는 가슴, 자궁이 여성 신체의 중요기관이라는 기능적인 면을 강조)

 

* 누드 미학의 기원

- 인간의 감춰진 비밀을 이해하는 목적에 의해서 발생하고 발전함

 

강의 2) 누드미술의 감상

 

* 누드미술의 감상 - 르네상스

 

* 비너스의 탄생 - 보티첼리. 1485년경 (p.37. 도판 3)

- 비너스 (아프로디테)의 탄생 : 우라노스가 난폭해져서 가이아와의 사이에서 난폭한 신들을 만들어내자 가이아와 그의 아들 크레도스가 합심하여 우라노스의 성기를 잘라 지중해에 던졌다. 이때 우라노스의 성기에서 떨어진 피에 서린 정기가 바다에 떨어져 거품이 되어 떠돌다가 후에 아름다운 여신을 빚어낸다. 그녀가 바로 비너스(아프로디테)이다.

- 지중해 바다에서 탄생해서 올림포스로 올라가며, 바람의 신들이 비너스를 환영하는 그림임

 

* . 보티첼리. 1485년경 (p.37. 도판 4)

- 여신을 뽑는 장면

- 공정치 못한 선거방식 때문에 심사를 다시하는 장면

 

* 삼권분립이 그리스 신화의 핵심

- 입법의 신, 행정의 신, 생산의 신(여신)

 

* 그리스 여체미학 부활의 의미

- 중세의 남성적인 이데올로기 숭상에 대한 반동으로 여체미학이 부활

 

* 목욕하는 여자들. 르누와르, 19181919 (p.39. 도판 6)

- 여체와 자연의 화해를 바라는 사상 (여체와 자연이 하나가 되어있다.)

- 나체를 바라보는 사랑의 눈 (욕망의 눈이 아니라)

 

인상주의 - 빛과 사건이 중심

서양미술 - 인체를 다루는 미술

동양미술 - 자연을 다루는 미술

 

* 누드미술의 감상 - 20세기 대한민국

 

* 봉선화 최영림, 1978(p.41. 도판 7)

- 해학적이고 토속적인 를 반영

(서양화의 누드보다 한국적으로. 해학적, 토속적으로 보름달 같이 둥근 얼굴.)

 

* 풍요로운 마음 고정수, 1989(p.41. 도판 8)

- 다산과 풍요의 심볼을 표현

(풍만한 가슴, 다리, 배와 엉덩이. 단군신화의 어머니상처럼 지나치게 풍만하게 만듦.)

 

한국미술은 누드미학이 취약. 누드미술이 정착할 만한 문화적 근거를 마련해야 할 것.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