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한국사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시험 대비 꼭 알아야 하는 한국사 핵심 요약 정리 16. 民主主義(민주주의)의 성장 16. 民主主義의 성장 [ 제1절 8·15 해방 ] 1. 해방 ㆍ제2차 세계대전의 종결 - 1943년 6월에 이탈리아의 항복 - 1943년 12월에 미·영·중 3국의 ‘카이로선언’ 발표 → 한국의 자유·독립 인정 - 1945년 2월 미·영·소 3국은 소련의 대일 참전과 38선의 분할을 결정 : 얄타회담 - ” 5월에 독일의 항복 - ” 7월에 미·영·중 3국의 ‘포츠담선언’, 8월에 소련도 참가 → 카이로선언의 재확인 -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 ㆍ해방후의 국내의 양상 - 송진우 계열과 여운형 계열의 대립 󰠆 송진우 계열 : 연합군이 즉시 진주하고, 임시정부가 곧 귀국하여 정권을 담당할 것을 주장 󰠌 여운형 계열 : 연합군이 진주할 때까지 민족대표기관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 - 여운형 계.. 더보기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시험 대비 꼭 알아야 하는 한국사 핵심 요약 정리 15. 民族運動(민족운동) 의 발전 15. 民族運動의 발전 [ 제1절 일제 식민정책의 전환 ] 1. 문화정치의 표방 ㆍ3·1 운동의 영향으로 일본은 헌병경찰정치를 버리고 문화정치를 실시한다고 발표 - 새 총독 사이토의 부임과 함께 표방됨 - 총독에 문관도 임명될 수 있게 함 ⇒ 실제론 한명의 문관도 총독에 임명되지 않음 - 보통경찰제도의 채용 → 경찰기관과 인원은 오히려 증가함 - 언론 통제의 완화 → ‘동아일보’,‘조선일보’,‘시대일보’ 등이 창간되었지만 검열이 심했음 ㆍ일본에서 관동대지진(1923)이 일어났을 때 무고한 한국인들을 학살 2. 식량의 약탈 ㆍ1918년 일본에서 쌀값이 급등하여 미소동 발생 → 한국의 쌀에 대한 요구 증대 ㆍ산미증식계획 - 1910년대에 시작한 미작개량 정책이 더욱 강력하게 추진된 것 - 쌀의 증산은 1.5.. 더보기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시험 대비 꼭 알아야 하는 한국사 핵심 요약 정리 14. 민족국가의 태동과 제국주의의 침략 제 14 장 민족국가의 태동과 제국주의의 침략 [ 제1절 독립협회의 활동 ] 1. 대한제국의 성립 ㆍ아관파천 : 건양 원년(1896) - 을미사변으로 전국 혼란 → 러시아 대표 웨베르는 공사관 보호 명목으로 水兵 100명 파견 - 친러파인 이범진 등이 국왕을 러시아 공사관으로 데려감 - 친일 내각의 김홍집·어윤중 등 살해, 유길준 등은 일본 망명 - 이범진·이완용 등 친러내각 성립 - 러시아의 이권 획득이 열강을 자극하여 아관파천 이후 많은 이권이 외국인 손으로 넘어감 ㆍ대한제국 성립 : 광무 원년(1897) - 아관파천으로 국민의 비나 집중 ⇐ 독립협회 등.. - 고종은 경운궁(덕수궁)으로 옮겨와 국호를 大韓, 연호를 光武, 왕을 황제 칭함 2. 독립협회의 창립과 발전 ㆍ정부가 외세에 의존하여 국가를 .. 더보기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시험 대비 꼭 알아야 하는 한국사 핵심 요약 정리 13. 開化勢力(개화세력)의 성장 제 13 장 開化勢力의 성장 [ 제1절 개화정책과 그에 대한 반발 ] 1. 통상 개화론의 대두 ㆍ초기 통상론 - 박제가 (북학파) : 청,일본,서양과 통상해야 국가 부강 주장 - 이규경 : 순조 32년(1832), 영국상선 통상 요구때 허락 주장 - 최한기 : “지구전요” 저술, 무호개방 주장 ㆍ박규수·오경석·유홍기 등에 의한 통상론 추진 - 박규수 : 박지원의 손자 - 오경석 : 중인 출신의 역관, 청 왕래하면 “해국도지”등 수입 - 유홍긱 : 중인 출신 醫 종사 ㆍ대원군의 정권 하야 (고종 10년,1873) 2. 開港 ㆍ운양호 사건 : 고종 12년(1875) - 대원군의 정권 하야를 통상조약 강요의 기회로 삼음 - 譯官 오경석이 우의정 박규수를 움직여 통상 수교 방침을 결정 - 신헌(申櫶)을 파견하여.. 더보기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시험 대비 꼭 알아야 하는 한국사 핵심 요약 정리 12. 중인층의 대두와 농민의 반란 제 12 장 중인층의 대두와 농민의 반란 [ 제1절 세도정치 ] 1. 세도정치 ㆍ순조 (1800∼1834) - 11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 → 외척세력이 왕권 압도 - 안동김씨 집권 : 김조순 등 ㆍ헌종 (1834∼1849) - 풍양조씨 집권 : 조만영,조인영 등 ㆍ철종 (1849∼1863) - 안동김씨 재집권 : 김문근,김흥근,김좌근 등 ㆍ과거의 문란 ← 세도정치의 영향 2. 三政의 문란 ㆍ세도정치로 인하여 정치의 문란 → 田政·軍政·還穀의 문란으로 농민들이 피해 ㆍ田政의 문란 - 전정 : 토지를 결수를 기준으로 하여 받는 각종의 세 - 실제 토지세는 20斗에 못미침 (총 수확량의 1/10 안됨) - 지방의 관례에 따른 부가세와 수수료가 높음 (총 수확고의 1/2 되는 경우도 있음) - 백지징세 : 황폐.. 더보기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시험 대비 꼭 알아야 하는 한국사 핵심 요약 정리 11. 광작농민과 도고상인의 성장 제 11 장 광작농민과 도고상인의 성장 [ 제1절 벌열정치 ] 1. 벌열정치 ㆍ인조반정(1623)이후 서인의 집권 - 효종(1649∼1659)때 송시열 등용 ㆍ남인의 등용 - 예송논쟁 (숙종 즉위년,1674), 세자책봉 문제 (숙종 15년,1689) ㆍ숙종 20년(1694)이후 서인 장기 집권 (갑술환국) - 노론 : 송시열 계열 - 소론 : 윤극 중심 ㆍ벌열의 성립 : 노론을 중심으로 한 장기집권 - 소수 가문에 의한 정권 독차지 - 많은 사림학자들의 지방 낙향 → 서원 설립 (숙종때 300여개) - 농업에 종사하는 잔반 생김 ⇦ 오랜기간 관직 못나감 2. 탕평책 ㆍ노론의 벌열정치에 대한 반발 → 성리학 지상주의 비판 - 실학사상, 양명학, “정감록”, 서학(천주교) 추구 ㆍ탕평책 ⇦ 왕권의 권위회복 .. 더보기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시험 대비 꼭 알아야 하는 한국사 핵심 요약 정리 제 10 장 사림세력의 등장 제 10 장 사림세력의 등장 [ 제1절 훈구세력 지배하의 사회적 변화 ] 1. 훈구세력의 지배 ㆍ훈구세력 - 개국공신 : 정도전,조준, ··· - 세조 추대 : 정인지,최항,양성지,신숙주,서거정, ··· - 높은관직, 많은토지(농장), 노비 소유한 집권세력 - 실용적 학문에 능하여 많은 관선사업에 참여한 관학자 - 주로 경기도 지방에 거주, 近畿派 ㆍ반 훈구세력 - 생육신 : 김시습,원호,이맹전,조려,성담수,남효온 ⇦ 세조 찬탈 비판 - 죽림칠현 : 남효온, ··· ⇦ 출세 제약 (종실,향리 출신) 2. 농장의 확대와 貢賦의 증가 ㆍ농장의 확대 : 과전(사실상 세습), 공신전, 별사전, 매입·겸병·개간 등 소유지 확대 → 국가의 공적인 수입 감소, 농민생활 곤궁 (병작제 등..) ㆍ공납의 폐해 : 방납제.. 더보기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시험 대비 꼭 알아야 하는 한국사 핵심 요약 정리 9. 兩班社會(양반사회)의 성립 제 9 장 兩班社會의 성립 [ 제1절 조선 양반사회의 성립 ] 1. 사대부와 왕권 ㆍ건국초기 : 태조 (1392∼1398) - 도평의사사 : 개국 공신들의 회의기관 - 유교적 이상정치를 표방한 법전 편찬 정도전 “조선경국전”, 정도전·조준 “경제육전” ⇦ 개국 공신들의 이익위해 ㆍ태종 (1400∼1418) - 정도전등 개국공신 숙청후 왕위 등극 (1400) - 사병혁파 ⇨ 병권집중 - 도평의사사를 의정부로 고침 → 권한 축소 - 6조직계제 실시 - “원육전”, “속육전” 편찬 ⇦ 왕권강화 위해 ㆍ세종 (1418∼1450) - 집현전 확대(1420) → 집현전 학자들의 영향력 커짐 - “정전” 6권 편찬 * 집현전에서 편찬된 책 : 고려사,농사직설,오례의,팔도지리지,삼강행실,치평요람, 동국정운,용비어천가,..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