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기사 및 조경사 시험대비 조경기사 핵심 요점 요약 정리 3. 한국 조경사
⊙ 고구려 * 동명왕릉(진주묘) : 봉래,영주,방장+호랑(한 영향) * 안학궁 : 못은 자연곡선, 상림원처럼 신선사상을 배경으로 하는 자연풍경묘사 ⊙ 백제 * 동성왕: 궁동쪽에 임류각(최초의 문헌상의 정원)을 세움 * 무왕: 궁남지(버드나무심음,최초의 신선사상배경,방장산을 상징한섬 축조) * 석연지->세심석 ⊙ 신라 * 문무왕 : 임해전 지원(화초,짐승등) * 임해전지원(월지,안압지)-동국여지승람에서 비롯된 명칭임,1만7천m2,입수도랑(유입부 가까운 곳은32cm 가량 파서 20cm 차를 두 둔 수조에서 흘러오는 토사여과기능,해안연상,정적유락공간,연회의장,주유공간(삼국사기), 동사강목에서 안압지라 가리킴,못바닥은 강회로 다지고 해석을 깜, 연꽃이 가꾸어지지 않음 * 포석정의 곡수거-삼국유사에 기록(헌강왕의..
더보기
조경기사 및 조경사 시험대비 조경기사 핵심 요점 요약 정리 2. 일본 조경사
◉ 일본정원양식의 변천 1. 회유임천식정원(정원 중심부에 못파고 섬만들어 다리놓고 섬과 못주위를 돌아다니며 감 상하는 정원양식, 불교 정토종의 영향으로 침전조,정토정원등장) * 침전조- 침전조 건물에 어울리는 정형화된 정원(지천양식, 홍교,평교) * 정토정원 - 불교의 극락정토를 묘사 * 心자형 연못등 새로운 형식이 등장 2. 축산고산수 정원(14C, 물대신 돌이나 모래로 바다나 계류를 나타내고, 수목을 다듬어 먼 산을 상징수법), 대덕사,대선원 * 불교선종의 영향, 실제 경관을 사실적묘사, 수목의 사용(생장이 느린 상록활엽수) 3. 평정고산수 정원(15세기후반, 물과 식물은 사용하지 않고 왕모래, 정원석,이끼 만으로 정 원을 꾸밈) * 불교 선종영향, 극도의 상징화,추상화,축석기교가 최고로 발달 4.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