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보석 감정사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11. 컬러 센터 11. 컬러 센터 보석의 색은 결정의 구성 성분이나 그에 따른 결정구조로 인한 자연스런 결과가 아니 라 컬러 센터(color center)에 의해 유발된 색이 나타날 수 있다. (1) 컬러 센터의 정의 보석을 구성하고 있는 원자의 일부가 없거나 결정격자가 뒤틀린 것과 같은 구조적 결 함을 컬러 센터라고 하며, 빛을 흡수하여 색을 유발할 수 있다. 컬러 센터는 보석 물질이 방사선, 열, 압력 등에 노출되어 발생한다. 이러한 컬러 센 터를 만드는 데 필요한 에너지는 천연에서 방사능을 가진 광물로부터 오랜 시간 동안 노 출되는 경우와, 인공적인 방법으로 X-선이나 감마선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컬러 센 터에는 전자 컬러 센터와 홀 컬러 센터가 있다. (2) 전자 컬러 센터 플루오라이트(fluorite)는 .. 더보기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10. 자색 보석과 타색 보석 10. 자색 보석과 타색 보석 어떤 특징적인 색을 발생시키는 원소들을 발색소(發色素, chromophore)라 부르며, 발색소가 보석의 주성분인 경우가 있고 불순물로써 색을 띠는 경우가 있다. (1) 자색 보석 전이원소가 보석을 구성하는 주요 화학성분일 경우 자색(自色, idiochromatic) 보석 이라 한다. 한 예로 알만다이트 가닛의 특징적인 적갈색은 철(Fe)에 의해 생긴다. 이러 한 철 성분은 가닛의 결정구조 내에 있는 원소를 대체한 것이 아니라, 보석 자체의 구성 성분 원소이다. 자색 보석들은 색의 유발 원소가 보석을 형성하는 기본적인 화학성분 중 하나이기 때 문에 색의 범위가 다양하게 나타나지는 않는다. 자색 보석인 페리도트의 색은 황록색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지만, 타색 보석인 커런덤은.. 더보기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9. 전이원소 9. 전이원소 보석의 색은 발색 원소라 불리는 전이원소(轉移元素, transition elements)의 전자가 전자기 복사에너지의 일부 또는 전체를 흡수하여 나타난다. (1) 전이원소와 전하이동 보석의 대표적인 발색원인은 8종류의 전이원소가 보석의 주성분 또는 미량성분으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보통 하나의 전자각에는 2개의 전자가 들어갈 수 있고, 안쪽의 전자각부터 순서대로 채워진다. 이렇게 2개의 전자가 들어간 전자각을 폐각이라 하며, 그 안에서는 전자가 쌍(electron pair)으로 존재한다. 전이원소에서는 전자가 1개 밖에 들어가 있지 않은 전자각이 존재하는데 이를 홀전자(unpaired electron)라고 하며 화학 결합에서 받는 영향이 적다. 보다 높은 준위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더보기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8. 색과 선택적 흡수 8. 색과 선택적 흡수 보석의 색은 대부분 발색소 또는 발색원에 의해 빛의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흡수되기 때문에 나타나며, 그 밖에 분산, 간섭, 형광, 인광, 불순물, 다색성 등의 영향 을 받는다. (1) 색의 개념 색은 빛이 물체를 비추었을 때 생겨나는 반사, 흡수, 투과, 굴절, 산란 등의 과정을 통 해 인간의 눈을 자극함으로써 생기는 물리적인 지각 현상을 말한다. 즉, 빛이 물체를 비 췄을 때 파장별 분광 특성과 물체의 특성에 따라 만들어진 빛이 우리 눈의 망막을 자극 시켜 생겨나는 감각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2) 선택적 흡수 보석의 색은 가시광선 내에서 어느 파장을 흡수하고, 어느 파장을 반사 또는 투과 하 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어떤 보석이 모든 파장의 빛을 반사하면 백색으로 보여.. 더보기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7. 빛의 성질 7. 빛의 성질 모든 빛은 입자성(粒子性)과 파동성(波動性) 두 가지 성질을 지니고 있다. 빛을 입자 의 성질로 볼 때 광자에 해당되며, 파동의 성질로 본다면 빛은 전자기파에 해당한다. (1) 빛의 입자성 빛이 전파될 때에는 파동처럼 행동하지만 빛이 만들어지거나 어떤 표면에서 흡수될 때에는 한 개, 두 개, 세 개 등과 같이 셀 수 있는 입자(덩어리)성으로 행동한다. 형광이 나 인광과 같은 발광성은 빛의 입자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 입자를 물리 학에서는 소립자의 하나로 양자(量子) 또는 빛 알갱이라 불리며, 빛의 경우에는 광자(光子) 라고 부른다. 질량은 0, 스핀(spin : 입자의 고유한 성질)은 1이며, 광속으로 운동한다. 한 개의 광자가 물질 내의 다른 전자와 충돌 할 때 전자는 금.. 더보기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6. 전자기 스펙트럼 6. 전자기 스펙트럼 색은 빛이 물체에 비추었을 때 일어나는 반사, 굴절, 흡수, 투과, 산란 등의 과정을 통 해 인간의 눈을 자극함으로서 생기는 현상이며, 우리 눈에 보이는 보석의 아름다운 색 은 빛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1. 전자기 스펙트럼 지구상의 모든 생물체는 태양으로부터 에너지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얻는다. 에너 지의 근원이라 할 수 있는 태양광선을 전자기 스펙트럼으로 배열하면 감마선, X-선, 자 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마이크로파, 라디오파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광선은 각 각의 파장에 따라 구별할 수 있다[그림 2-2]. 보통 지구상에 도달하는 빛의 약 50%는 가시광선, 40%정도는 적외선, 10%정도는 자외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역, 시간, 계 절, 기후에 따라 약간의 차이.. 더보기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5. 보석의 물리적 성질 5. 보석의 물리적 성질 1. 벽개와 열개, 단구 (1) 벽개 어떤 보석이 외부로부터 힘을 받을 때, 일정한 방향으로 평탄한 면을 보이면서 쪼개 지는 성질을 벽개(劈開, cleavage)라고 한다. 이때 쪼개지는 방향은 보석을 구성하고 있 는 원자들의 결합력이 약한 면과 나란히 한다. 벽개는 보석을 구성하고 있는 원자들의 배열 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결정구조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일반적으 로 결정면이 잘 발달하고 있는 결정의 벽개는 결정면과 나란하게 발달한다. 벽개에 의 해 만들어진 평탄한 면을 벽개면(劈開面)이라고 한다. 벽개면은 항상 원자 밀도가 높은 편이며 어느 결정면에 대하여 항상 평행하나, 결정면이 잘 발달한 결정이라도 벽개가 항상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수정은 결정.. 더보기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4. 보석의 결정학 4. 보석의 결정학 광물을 포함한 결정질 고체의 외형, 성질, 결정구조 등에 대해 연구하는 분야를 결정 학(結晶學, crystallography)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보석 물질은 결정질이므로 결정학 에 대한 기초 지식이 있으면 보석광물의 화학적, 광학적, 물리적, 결정 구조적 성질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1. 결정 (1) 결정질과 비정질 고체를 구성하고 있는 원자들이 3차원적으로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을 때, 이 를 결정질(結晶質, crystalline)이라고 한다. 결정질인 물체가 외부의 방해가 없는 이상 적인 환경에서 성장하면 원자들은 일정한 방식에 따라 배열하기 때문에 특정한 외형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 원자나 이온들이 3차원적으로 규칙적인 배열에 의해 내부 적 규칙성이 ..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