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원핵 미생물의 분류
(1) 프로테오박테리아에 속하는 그람 음성 세균들
① 프로테오박테리아 문 – 그람 음성균, rRNA에 기초하여 알파부터 엡실론까지의 5강으로 분류
나. 베타 프로테오박테리아 : 수소, 암모니아, 메탄, 또는 휘발성 지방산 이용.
Purple sulfer bacteria, Neisseria (임질, 수막염 원인), 나선균 (spirillum),
sheathed bacteria 등이 속함
다. 감마 프로테오박테리아 : 대부분 화학유기영양 생물, 조건부 혐기성 발효 미생물,
Enterobacteriaceae, Vibrionaceae, Pasteurellaceae, Pseudomonadaceae,
Azotobacerace, 메틸구균, 자색황세균 등이 속함
슈도모나스 목 : 녹농균이 중요 (청록색색소 생산) - 화상환자의 피부감염,
낭포성 섬유증, 각막염, 원내교차감염의 주요원인균
비브리오 목 : 물속에 주로 살고 그람 음성의 약간 굽은형의 간균 (콤마형)
Vibrio cholerae는 콜레라 독소를 분비하여 심한 설사 유발
장내세균 목 : 그람 음성의 통성 혐기성 세균, Escherichia, Klebsiella, Proteus,
Salmonella, Serratia, Shigella, Yersinia, Enterobacter등이 속함
파스퇴렐라 목 : Haemophilus influenzae (소아의 뇌수막염)
레지오렐라 목 : Regionella, Coxiella
라. 델타 프로테오박테리아 : 자실성 Myxococcus, Desulovibrio 등이 속함
포식성의 Bdellovibrio (세균포면에 고속 회전, 배지상에 플라그 형성)
Bdellovibrio : 호기성, 극성 편모, 다른 그람 음성 세균 포식
비성장 포식기와 세포내 생식기의 생활사
Myxpbacteria : 호기성, 활주세균. 자실체내에 점균포자를 형성하는 생활사
세균이나 효모를 분해하는 효소를 분비
마. 엡실론 프로테오박테리아 : 캄필로박터 Campylobacter, 헬리코박터 Helicobacter 등
나선 또는 굽은 형태의 가늘고 긴 그람음성 세균
Helicobacter : 위십이지장궤양의 원인균, 미세호기성 세균,
- urease 분비하여 염기성인 암모니아 생성하여 위산 중화
Campylobacter : c. jejuni 는 사람에게 장염, c. fetus 는 가축유산일으킴
(2) 프로테오 박테리아가 아니면서 광합성을 하는 그람 음성 세균들
광합성세균 - 자색세균 (프로테오박테리아), 녹색세균, 남세균 (호기성 광합성)
① 시아노박테리아 문 - 호기성 광합성 세균,
② Chloroflexi 문과 chlorobi 문 - 혐기성 광합성 세균
③ 녹황세균 - 황축적
④ 녹색비황세균 - 온천수에 서식
(3) 프로테오박테리아가 아니면서 광합성을 하지 않는 그람 음성 세균들
① 데이노 구균 문
② Spirochaetes 문 - 그람 음성, 종속영양형균, 나선구조,
낸편모가 몸통에 길게 붙어 축섬유 axial filament 구조 형성,
트레포네마, 보렐리아, 렙토스피라속 등이 속함
① 클라미디아 문 - 기생성 그람음성세균, 기본소체 상태로 숙주세포 표면에 부착,
단단한 세포벽을 가지며 감염형태인 기본소체와
펩티도글리칸 없는 세포벽을 가지는 망상소체의 생활사
앵무새병, 성병성 림프아종과 결막염, 클라미디아성 폐렴 유발
(3) 프로테오박테리아가 아니면서 광합성을 하지 않는 그람 음성 세균들
① 박테로이드 Bacteroidetes 문 : 혐기성, 그람 음성균
사람의 장관에서 분리되는 세균 중 30% 비중
Bacteroides fragilis 복부감염의 원인
(4) G+C 함량이 낮은 그람 양성 세균들
- 그람 양성 세균은 16S rRNA 염기서열에 따라 Firmicutes 문 ( G+C 함량이 낮음),
방선균 Actinobacteria 문으로 (G+C 함량이 높음) 구분함
• Firmicutes 문 : Clostium 강, mollicutes 강, Bacilli 강
• 세포벽이 없어 그람 음성으로 나타나는 마이코플라즈마도 rRNA 염기서열로는
mollicutes 강으로 분류함
① Firmicutes 문
가. Clostium강 ; 모두 혐기성, 가장 큰 속이 clostridium 임. 내생포자를 형성
Clostridium : 아미노산을 산화하여 ATP생성,
stickand 반응 - 전자수용체로 또 다른 아미노산 사용
C. Botulinum (식중독), C. tetani (파상풍), C. difficile (기회감염, 장염),
C. Perfringens (가스괴저)
clostridia 강 - helicobacterium, veilonella 속
'약품미생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리학, 생물공학, 생물, 약학 과목 공부에 도움이 되는 약품 미생물학 요약 정리 3. 원핵미생물의 형태와 분류 (0) | 2022.01.24 |
---|---|
생리학, 생물공학, 생물, 약학 과목 공부에 도움이 되는 약품 미생물학 요약 정리 2. 원핵미생물의 형태와 분류 (0) | 2022.01.21 |
생리학, 생물공학, 생물, 약학 과목 공부에 도움이 되는 약품 미생물학 요약 정리 1. 미생물학 역사와 영역 (0) | 2022.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