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생물의 정의
미생물 정의 : 지름이 1 mm 이하의 작은 존재로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생명체
미생물의 존재확인과 연구를 위해 필요한 기술 : 순수분리기술, 배양기술
1-2. 미생물 존재의 인식
네덜란드의 안경제조자인 얀센이 2개의 렌즈를 이용하여 복합렌즈 제조
갈릴레오는 1610년에 더 개량된 복합현미경을 제조
로버트 후크는 1660년에 복합현미경을 만들어 사용하여 마이크로피아 책에 생물의 미시적
구조를 관찰 기록(희곰팡이 기록, 타 미생물 기록이 거의 없음)
Antony van Leeuwenhoek - 미생물 발견(확대경을 이용) 타액에서 발견한 미생
물- 미소동물 (amimalcules )
1-3 미생물의 발생 기원 논란
원래 생물의 기원에 관한 두 가지 학설
☞ 자연발생설
- 무생물로부터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 고대인 - 개구리나 쥐는 개천이나 오물로부터 자연적으로 생기는 것이라고 믿음.
☞ 생물속생설
- 생물의 종자 또는 세균 등이 공중에 존재
하며 이것이 침입하여 증식한다고 주장.
1710년 : 프랑스 조블로는 건초침출액을 가열한 뒤 밀봉하여 저장하면
미생물이 생기지 않음
1749년: 존 니담은 밀봉한 것에도 미생물이 생긴다는 자연발생설 주장
라자로 스팔란자니는 가열시간 연장으로 자연발생 부정
니담은 장시간 가열로 생명력이 파기되었다고 주장
스팔란자니는 다시 마개를 열어 두면 혼탁해지므로 생명력파괴는 아니라고 주장
1861년 Louis Pasteur
- 공기 중의 미생물이 솜마개에 부착하여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
- 공중에 떠 있는 세균의 중력에 의해서 위에서 아래로 떨어진다고 생각
1877년 John Tyndall의 탄달현상
- 공기 중의 미세한 먼지를 검출할 수 있음을 발견
- 간헐 멸균법 고안 , 100℃ 30분 가열처리, 24시간마다 3회 반복
1-4. 미생물학의 발전
히포크라테스 : miasma 사기설 제창
Joseph Lister : 살균 수술법 창시 - phenol 분무사용
Edward Jenner : 우두 vaccinia 를 사람에게 접종
천연두 smallpox 예방
=>예방주사, 면역학의 기초가 됨
Pasteur : 양조 발효에 대한 연구 - 발효의 원리 밝혀냄
저온살균법 pasteurization 포도주 50~60℃맥주 50~55℃
Pasteur 양조의 원리
1. 포도주나 맥주의 산패는 잡균이 혼입되어 발생
2. 잡균은 공기나 양조과정에서 옮아옴
3. 포도주나 맥주가 미생물을 포함하지 않을때 산패는 안 일어남
Robert Koch : 특정질병은 특정병원균 관계 확립
- 탄저병을 bacillus anthracis임을 증명, 결핵균, 콜레라 발견
Koch’s postulates (Koch의 4원칙)
1. 그 병에 걸린 환자나 동물에 반드시 그 균이 존재
2. 균은 환자로부터 분리하여 순수하게 배양되어야 함
3. 순수하게 배양한 균을 건강한 개체에 접종 → 그 병이 발생
4. 실험적으로 감염시켜 발병한 개체로부터 균이 다시 분리되어야 한다.
Petri – ‘페트리 접시’ 고안
Louis Pasteur
- 강독 병원체를 약독 병원체로 변화시켜(attenuated) 건강한 동물에 미리 접종하여 전염
병 예방
- 광견병 백신 – page 8 참조
Emil von Behring, S. Kitasato
- 혈액이 항독소를 지님을 발견
=> 혈청학의 기초가 됨.
베이링크 – 뿌리혹 박테리아 발견
이바노프스키 – 담배모자이크 바이러스 발견
Walter Reed – 황열이 모기에 의해 매개되고 이 균은 일종의 바이러스임을 구명
Paul Ehrlich
- 측쇄설 제창 → 면역학의 발전에 기여
- salvarsan을 창제 → 화학요법제의 기초
Domagk – protosil(설파제 ), 화합요법제 계기가 됨
prontosil이 연쇄상구균 억제함을 발견
Fleming – penicillin을 발견, 1928
20세기 가장 유명한 항생물질
포도상구균이 자라고 있는 배지에 우연히 떨어진 penicillium 배양액 성분
Selman Waksman
- 방선군에서 streptomycin을 발견
- 결핵균에 유효한 항생물질
John Enders, T.H. Weller, F.C. Robbins
- 소아마비 바이러스 인공배양 성공
=> salk백신과 sabin백신 제조의 기초
지석영 - 종두법
Domagk(1939) - prontosil을 화학요법제로 사용할 수 있음을 발견, 설파민제 발
전에 기여
Fleming(1945) – 페니실린의 발견, 약으로 개발
Waksman(1952) – streptomycin 발견
Severo Ochoa, Arthur Kornberg
- 핵산 합성 효소에 관한 연구
J. Lederberg(1952)
- 세균의 유전방식으로서 형질도입의 현상을 발견
J.Salk(1953)
- Enders의 배양법을 이용하여 소아마비 예방약을 만듦
A.B. Sabin(1956)
- 소아마비의 약독화 생 바이러스 백신을 만듦
• W. Waldeyer (1888) - 염색체 발견
• 1941년 - 액내배양법에 의한 penicillin의 대량 생산 시작
• J. Lederberg, E.L. Tatum (1946)
- 대장균이 성의 구별이 있음을 발견
• Salvador E. Luria Alfred D. Hershey Max Delbruck
- bacteriophage의 증식과 유전의 기전에 관한 연구
• G.M. Edelman, R. porter (1972)
- 면역글로불린의 분자구조를 결정
• Renato Dulbecco,David Valtimore, Howard Temin
- 종양바이러스와 세포 유전물질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Susumu Tonegawa (1987)
- 다양한 항체의 생산이 유전자의 재조합에 의해 이룩됨을 증명
• George Hitchings, Gertrude Elion, James Black (1988)
- 항바이러스 화학요법제
• E.Donnall Thomas, J. Murray (1990)
- 골수 및 장기이식의 선구적 업적
• P.C. Doherty, R.M. Zinkernagel (1996)
- 바이러스로 감염된 세포를 T임파구가 식별하는 기적을 발견.
'약품미생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리학, 생물공학, 생물, 약학 과목 공부에 도움이 되는 약품 미생물학 요약 정리 4. 원핵미생물의 형태와 분류 2 (0) | 2022.01.26 |
---|---|
생리학, 생물공학, 생물, 약학 과목 공부에 도움이 되는 약품 미생물학 요약 정리 3. 원핵미생물의 형태와 분류 (0) | 2022.01.24 |
생리학, 생물공학, 생물, 약학 과목 공부에 도움이 되는 약품 미생물학 요약 정리 2. 원핵미생물의 형태와 분류 (0) | 2022.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