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소의 기원과 사육현황
■ 학습개요
소는 인간이 자연을 개척하여 새로운 문명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많은
기여를 해 왔으며, 특히 축력제공을 통한 식량생산증가, 고기와 젖의 생
산을 통한 양질의 단백질 공급 그리고 모피제공 등의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오늘날 축력의 이용은 기계로 대체되었으나,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의 역할은 여전히 중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약 43만두의 젖소와
276만두의 한우가 사육되고 있으며 국민건강 및 농민소득 증대에 중요
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학습목표
1. 한우의 기원과 유입경로를 이해할 수 있다.
2. 축우별 사육역사의 개요를 설명할 수 있다.
3. 우리나라에서 우유 및 고기의 생산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 주요용어
원우
유럽원우의 준말로 빙하시대의 야생우임. 현재는 멸종
되었으며 현재소의 선조소로 여겨짐
--------------------------------------------------------------------------------
역용
일소의 한자어. 한우도 70년에 이전에는 역우로써 농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나 현재는 육우로 육종 되
어 있음. 저개발국에서는 일소의 역할이 더 큼
--------------------------------------------------------------------------------
육우
법적으로는 육용전용 외국 육우와 홀스타인 수소를 말
함. 한우도 육우로 사용되나 한우라는 고유명칭으로 불
림
--------------------------------------------------------------------------------
한우
우리나라 재래종인 소의 품종으로 누런 갈색에 체질이
강하고 성질이 온순하며 고기 맛이 좋음. 농경, 운반에
도 이용되어 왔음
--------------------------------------------------------------------------------
<목차>
1. 소의 기원과 역사
2. 소의 분류
3. 소의 사육 현황
4. 축산물의 생산 및 소비 현황
1. 소의 기원과 분류
1) 소의 기원
- 소의 기원 : 야생우였던 원우(原牛, Bos primgenius)
유럽, 서아시아, 북아메리카에 분포했으나 현재는 화석으로만 존재
- 소가 축화된 것 : 약 기원전 8,000년에서 기원전 6,000년 이전인 신석기 시대
- 야생우가 가축으로 축화된 것
: 농경문화가 발달되었던 서아시아의 메소포타미아지방로
티그리스강, 유프라테스강 유역으로 현재의 이라크 시리아 이란 지방
* 소의 전파경로
- 유럽원우 : 북구의 러시아 - 스칸디나비아 -독일, 네덜란드, 필란드 정착
저지소의 선조로 추정
영국 북이탈리아 이동 홀스타인의 성립에 기여
- 견봉우 : 인도, 인도차이나, 중국, 대만등지로 이동
- 한우 : 시베리아, 몽고, 만주, 북한과 남한으로 이동
2) 소의 분류
- 용도별 분류 : 육용, 유용, 역용, 겸용
용도별 | 영어명 | 성립 | 특징 | 주요품종 |
육용 | beef type | 영국,미국,프랑스 | 고기의 양과 질에 중점 | 애버딘 앵거스, 헤어포드,데번,한우 |
유용 | dairy type | 유럽중심 | 쐐기 모양 | 홀스타인,저지,건지 |
역용 | dairy type | 농경중심지대 | 전구 발달 | 인도우, 중국우 보란종 |
겸용 | dual type | 중간형,유육겸용 | 유육의 겸용 | 심멘탈 |
- 동물학적 분류
척추동물문 - 포유강 - 우제목 - 우과 - 우속 - 한우종
(소의 동물 분류학상 위치)
문(門) 척추동물문(脊椎動物文, Vertebrata)
강(綱) 포유동물강(哺乳動物綱, Mammalia)
목(目) 우제목(偶蹄目, Ungulata)
아목(亞目) 우제아목 (偶蹄亞目, Artiodactyla)
반추류(反芻類, Ruminantia)
과(科) 통각과(洞角科, Cavicornia)
속(屬) 우속(牛屬, Bos)
* 지리학적 분포에 따른 소의 분류
종류 | 분포 | 특징 | 종류 |
유럽소 | 유럽전역 | 주로유우와육우 | 홀스타인,애버딘 앵거스 |
동아시아소 | 동아시아지역(한중일) | 농경용 | 한우, 화우 |
서남아시아소 | 인도지역 | 열대에 잘 견딤 | 반텡, 가얄 |
습윤열대지역소 | 동남아시아 | 습지대에 적응된소 | 수우 |
건조고냉지역소 | 인도북부, 중국고지대 | 추운지대 적응 | 야크 |
* 두개골의 모양에 따른 분류
종류 | 한자 | 학명 | 두개골모양 | 동일계통소 |
유원우 | 類原牛 | Bos taurus primigenius | 약간 긴 두개골 | 홀스타인,에어셔,애버딘앵거스 |
장액우 | 長額牛 | Bos taurus brachycerus | 긴 두개골 | 브라운 스위스,저지,건지 |
대액우 | 大額牛 | Bos taurus frontosus | 큰 두개골 | 심멘탈 |
단두우 | 短頭牛 | Bos taurus brachycephalus | 짧은 두개골 | 헤어포드 |
2. 소 사육의 역사
1) 한우
- 농경문화의 꽃을 피우는 데 중요한 역할
- 유럽원우와 인도원우의 교잡종
- 기원전 2000년경 한반도에 유입된 것으로 추정
- 삼국지, 동이전 : 부여에서 가축의 이름을 딴 마가, 우가, 저가등 관직
- 신라의 눌지왕 : 특수계급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우마차 사용 권장
- 고구려 평원왕 : 한우의 젖을 이용하는 기관 운영
- 백제시대 : 도축금지, 가축보호
- 고려시대 : 소의 사육방법 전구서에서 담당, 우의방을 통한 질병예방및 치료 지도
- 조선 태조 : 사축서 설치 소의 사육 관장
세종 : 농사직설 편찬- 작물 재배법 기술, 두엄이용 강조
세조 : 양우법 편찬, 소의 증식에 기여
- 조선조 말에 수원에 농촌진흥청의 전신인 권업모범장에서 소에 대한 조사 및 연구 시작
*한우 개량의 역사
연대 | 시대별 명명법 | 주요 행적 | 정책추진 |
1910-1940 | 수난기 | 유전자 유출기 | 기술지도 실시 |
1950 | 증식기 | 법령제정 | 등록제, 도살제한 |
1960 | 개량태동기 | 개량방향설정 | 제1회챔피온 대회 |
1970 | 개량혼란기 | 한우-샤롤레교잡 | 외모심사표준제정, 번식단지조성 |
1980 | 개량정착기 | 후대검정사업착수 | 종모우 확보, 개량단지확대 |
1990 | 개량의 최첨단화 | 등급제실시 | ID사업,DNA마커에 의한 개량기술도입 |
2000 | 국제화 대응기 | 생우수입,수입고기유입 | FTA에 의한 수입자유화 |
(2)육우
(3)유우
- 1902년 최초로 도입
- 학교급식을 통한 학생들의 보건과 건강 및 체격향상에 직접적인 영향
- 우리나라 유우사육의 특징 : 두수의 증가와 농가당 사육두수 급격한 증가
- 1962년 2,400두, 농가당 3.6두로 부업적 수준
- 2002년 54만두
- 2007년 45만두로 감소
- 현재 농가당 사육 두수가 약 60두, 전업농으로 발전(점차 대형화, 전문화)
<표1-> 연도별 유우 사육 두수와 농가호수
연도 | 농가호수 | 사육두수 | 호당 두수 | ||
암소 | 수소 | 계 | |||
1962 | 676 | 1,950 | 450 | 2,406 | 3.6 |
1970 | 3,126 | 20,510 | 3,114 | 23,624 | 7.6 |
1980 | 22,120 | 172,883 | 6,958 | 179,841 | 8.1 |
1990 | 33,277 | 503,947 | - | 503,947 | 15.1 |
2000 | 13,348 | 543,708 | - | 543,708 | 40.7 |
2004 | 9,612 | 497,261 | - | 497,261 | 51.7 |
2007 | 7,657 | 453,403 | - | 453,403 | 59.2 |
<표1-8> 연도별 우유 생산량 및 두당 산유량
연도 | 총유우두수 (두) |
착유우두수 (두) |
착유우비율 (%) |
두당산유량 (%) |
총우유생산량 |
1970 | 23,624 | 12,067 | 51.1 | 3,593 | 51,888 |
1980 | 179,841 | 84,114 | 46.8 | 4,546 | 457,580 |
1990 | 503,947 | 272,963 | 54.2 | 5,363 | 1,751,758 |
2000 | 543,708 | 285,609 | 52.5 | 6,591 | 2,252,804 |
2007 | 453,403 | 237,209 | 52.3 | 4,825 | 2,187,824 |
2)쇠고기 및 우유 생산 이용
(1)쇠고기
- 쇠고기의 수급 : 70년대 이후 경제성장 발전으로 인하여 급속히 증가
- 1970년 1인당 쇠고기 소비량 1.2kg, 2007년 7.6k으로 증가
- 쇠고기 수입 1980년 초반부터
- 자급률 : 약 47% 수입, 자율화에 따라 더 낮아질 가능성 있음
(2)우유 및 유제품
- 유우사육두수의 증가와 함께 우유 및 유제품 소비도 동시 증가
- 우유 1인당 소비량 1976년 4.6kg에서 2007년 63kg으로 증가
- 유제품 수입 증가 2001년 소비량의 20%, 2007년도 31%정도 수입
2. 외국의 축우 사육현황
- 지구상에 13억 8천두의 소가 사육됨
- 주 사육국가 : 인도, 미국, 아르헨티나
- 선진국 : 주로 육용으로 사육
- 저개발국가 : 축력과 분뇨를 이용한 지력 증진,
메탄가스발생에 의한 지구 온난화 우려
1) 한우
- 거친 조사료의 이용, 우수한 품종 육성
- 19C 이전에도 일부 무역품으로 교역, 본격적 유출은 일제강점기
- 1911년 2천두 수출
- 1920년 6만 2천두 수출
- 1940년 9만 7천두 수출 (대부분 일본으로 수출)
- 일본에 유입된 한우는 일본우의 일종인 갈색화우 형성에 기여
2) 육우와 고기생산
- 전세계에서 사육되는 축우의 2/3가 육용
- 쇠고기 전용소 : 주로 유럽에서 개량
- 대륙별 사육두수 중 아시아가 가장 많음
- 인도 : 종교적인 이유
- 미국 : 규모가 크고 집약적, 옥수수나 사일리지 중심의 집단사육
- 남아메리카 : 방목 중심, 조방적 사육
- 호주 : 기후조건 때문에 진드기에 강한 제브종과 교잡한 품종
- 우리나라, 일본 : 농후사료중심, 집약비육
- 지육생산 : 미국이 가장 많고, 아르헨티나, 호주순
- 두당 생산량 : 일본이 1위
국가 | 도살두수 (천 두) | 두당(kg) | 생산량(천M/T) |
전세계 | 296,400 | 201 | 59,532,305 |
한국 | 577 | 251 | 144,902 |
일본 | 1,265 | 406 | 513,600 |
인도 | 14,400 | - | - |
미국 | 33,760 | 331 | 11,180,700 |
캐나다 | 4,300 | 348 | 1,496,042 |
아르헨티나 | 12,600 | 240 | 3,024,000 |
호주 | 8,779 | 232 | 2,033,000 |
뉴질랜드 | 4,120 | 172 | 709,077 |
영국 | 2,300 | 313 | 719,000 |
<표1-> 주요 국가별 육우 도살두수 및 쇠고기 생산
3) 유우와 우유생산량
- 착우유 사육두수 : 인도, 미국등이 많음
- 전세계 유생산량 : 5억2천만톤, 연간 두당 산유량 약 2,200kg
- 저개발 국가는 조사료 위주로 유우사양을 하기 때문에 300kg이하
국 가 | 두당 산유량 (kg) | 총 생산량(천M/T) |
전 세계 | 2,192 | 523,228 |
한국 | 7,286 | 2,555 |
일본 | 7,063 | 8,334 |
인도 | - | 38,500 |
미국 | 8,637 | 77,470 |
캐나다 | 7,571 | 8,000 |
아르헨티나 | - | 8,100 |
호주 | 5,112 | 10,377 |
뉴질랜드 | 3,668 | 14,780 |
영국 | 6,636 | 14,600 |
<표1-> 주요 국가별 우유생산량
▣ 연습문제
1. 한우가 한반도에 정착한 경로로 맞는 것은?
① 중국 남단을 거쳐서
② 대만을 거쳐서
③ 조선조 말 서양인에 의해서
④ 시베리아와 만주를 거쳐서
정답 : ④
해설 : 한우의 기원은 유럽원우이며 견봉우와의 교잡을 거쳐 새로운 품종이
되었다. 그리고 시베리아와 만주를 거처 한반도에 오랫동안 정착하면서 한국
고유의 품종이 되었다.
2. 다음은 축우의 용도와 품종특징을 서술한 것이다. 이 중 바르지 않은 것
은?
① 육용종 : 우유의 질과 양을 중요시
② 유용종 : 유량을 높이기 위해 후구가 발달하고 쐐기모양
③ 역종 : 힘을 잘 쓸 수 있는 전구발달형
④ 겸용 : 보통 젖과 고기의 생산에 적합하도록 발달
정답 : ①
해설 : 육용종은 고기의 양과 질에 중점을 두어 육종한 것으로 전구와 후구
가 골고루 발달하고 등이 평평한 형태의 축종을 말한다.
3. 한우의 한반도 정착연대에 대하여 아는 바를 쓰시오.
정답 및 해설 : 한우는 우리나라에 기원전 2000~1800년에 정착하였고 신석
기 시대부터 농경을 위한 축력의 수단으로 한우를 축화하여 이용하였던 것
으로 보고 있다.
4. 우유 및 그 제품의 소비형태를 설명하시오.
정답 및 해설 : 우리나라에서 우유를 이용하는 형태는 크게 음용유, 발효유
(요쿠르트), 그리고 아이스크림 및 빙과류 그리고 버터나 치즈용이다. 음용
유가 약 60%, 발효유가 약 30% 그리고 나머지가 약 10%정도 된다.
5. 다음 설명을 잘 읽고, O, X 를 선택하시오.
세계의 소는 약 14억 8천만 두 정도다.
정답 및 해설 : O
▣ 정리하기
1. 소의 기원은 원우이며 기원전 8000~6000년에 축화되었다.
2. 한우는 기원전 약 2000~1800년에 한반도에 정착하여 신석기 시대부터
농경에 이용되었다.
3. 사육두수는 일제 강점기, 해방, 동란 등을 거쳐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2014년 현재 한우가 약 276만 두, 젖소가 약 43만 두 정도이다.
4. 1인당 쇠고기 소비량은 1970년 1.2kg에서 2014년 8.1kg까지 증가하였
고, 1인당 우유 소비량은 1975년 4.6kg에서 2014년 74kg까지 증가하였다.
5. 세계적으로 약 14억 8천만 두의 축우가 사육되고 있다.
※ 혹시 부족하지만 저의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었다면, 단 1초만 투자해 주세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공무원시험] 가축사양학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산기사, 농학과, 농업직 공무원 시험 대비 가축사양학 핵심요약 14. 식육의생산 (0) | 2021.05.04 |
---|---|
축산기사, 농학과, 농업직 공무원 시험 대비 가축사양학 핵심요약 13. 돈사 및 돼지의 질병 (0) | 2021.05.03 |
축산기사, 농학과, 농업직 공무원 시험 대비 가축사양학 핵심요약 12. 돼지의 사양관리 및 돈사 (0) | 2021.05.02 |
축산기사, 농학과, 농업직 공무원 시험 대비 가축사양학 핵심요약 11. 돼지의 사양관리(1) (0) | 2021.05.01 |
축산기사, 농학과, 농업직 공무원 시험 대비 가축사양학 핵심요약 10. 돼지의 영양과 사료 (0) | 2021.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