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정년퇴직이나 퇴사 후 꼭 해야할 건강보험 피부양자 등록하는 방법과 인터넷으로 접수하는 법을 단계별로 확인해보세요!

728x90
반응형

정년퇴직이나 퇴사 후 꼭 해야할 건강보험 피부양자 등록하는 방법과 인터넷으로 접수하는 법을 단계별로 확인해보세요!

 

피부양자 등록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피부양자 (자격, 취득) 신청서 양식을 다운로드해 작성 후 관할 건강보험 지사에 팩스로 보내는 방법

2.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인터넷 사이트에서 등록하는 방법

이 번 포스팅은 인터넷 사이트에서 등록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가족 중 직장을 다니다가 정년퇴직하시거나 회사를 퇴사할 경우 자동으로 지역 건강보험으로 바뀌는데요.

1달 이내로 빠르게 이직을 한다면 모르겠지만 길어진다면 가족 중 회사 다니는 사람 쪽으로 피부양자 등록을 하지 않으면 지역가입자가 되어 우편으로 보험료를 받아보시게 되실 수 있습니다.

직장 의료 보험은 피부양자 인원수와 보험료 관계가 없으니까요.

따라서 부모님들 퇴직하시고 자식들이 직장 건강보험 피부양자로 등록을 시키는 경우가 많겠죠.

 

 

먼저 사이트 http://www.4insure.or.kr/ins4/ptl/Main.do 로 방문하시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개인 비회원으로 로그인합니다.

 

 

개인 비회원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양관 동의 및 주민번호를 입력 후 공인인증서를 통해 로그인합니다.

 

 

왼쪽 상단 민원신고 > 자격 취득 >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피부양자 자격 취득신고 부분을 눌러 주세요.

 

 

현재 직장 가입된 있는 분 기본 정보가 나오게 되며 아래 피부양자 자격 취득 신고 입력 칸이 나옵니다.

- 빨간색 네모 칸 부분은 모두 입력해야 합니다.

- 주민번호, 성명, 가입자와의 관계, 취득 연원일, 취득 부호입니다.

※ 다른 부분은 그대로 적어 주시면 되고요. 취득 연원 일은 (직장을 퇴직 한 날짜)를 적어 주시고요.

취득 부호는 아래 사진을 보고 설명드리겠습니다.

 

 

취득 부호에 돋보기 모양을 클릭하면 위와 같은 창이 나타납니다.

1. 등록하시는 분에 해당하는 코드를 선택하면 되는데요.

예) 정년퇴직 또는 퇴사를 하신 분은 직장가입자 상실 선택을 하면 되고요.

예) 남편이 직장가입자 상실을 하면서 부인도 같이 상실이 되었다면 직장 피부양자 상실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2명에 대한 취득 부호까지 다 입력이 완료되면 위와 같이 나옵니다.

 

 

만약 두 분이 같은 집에 함께 살고 있지 않다면 가족관계증명서가 필요하게 됩니다.

가족관계증명서를 집에서 프린트하여 사진으로 찍어서 첨부하시면 됩니다.

 

 

민원이 접수되었다고 나오죠.

인터넷 피부양자 등록 자체는 간단한데

방법이 자세하게 나온 게 없어서 처음 취득 연월일과 취득 부호 입력하는데 시간이 걸렸는데요.

위와 같이 하시면 금방 등록이 되실듯합니다.

 

 

접수 후 민원처리 현황 조회를 하면 전송 완료 처리 상태가 확인됩니다.

 

 

인터넷 등록 접수 이후 2일 정도 지나서 확인해 보니 처리완료 되었습니다.





※ 혹시 부족하지만 저의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었다면, 단 1초만 투자해 주세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