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 부모교육과 부모자녀관계교육
1) 개념 및 정의
⑴ 부모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용어들
① 부모(parent)
- 어원 : parens. ‘출산하다(give birth)’라는 의미.
- 부모가 된다는 것은 자녀출산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짐. 부모는 전 생애에 걸쳐서 양육과
보호 및 교육을 통해 아동발달의 모든 영역을 증진시키는 사람으로 정의됨.
② 부모기(parenthood)
- 임신을 선택하는 때부터 부모역할을 수행하는 전 기간.
③ 부모역할(parenting)
- 부모기동안 수행하는 부모로서의 다양한 역할
⑵ 부모됨의 일반적 동기(유안진·김연진, 2000)
① 자기확장
② 사회적 지위획득
③ 사랑과 애정의 욕구
④ 가계계승의 동기
⑤ 정서적·상징적 동기
⑥ 운명론적 동기
⑶ 부모역할(parenting) : Brown
① 자녀를 포함한 가족에게 기본적으로 헌신하겠다는 결단
② 가족 모두에게 따뜻한 보살핌을 제공
③ 믿음을 갖고 개개인의 발달을 장려하고 발달의 기회 제공
④ 자아완성과 자신감을 갖게 하는 것
⑷ 부모교육의 정의
① Grotberg(1983) : 부모로서의 역할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부모에게 정보나
지식을 전달하거나 기술을 가르치는 것.
② 조형(1986) : 부모뿐 아니라 예비부모를 포함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부모 됨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하고 부모역할 긴장을 완화시켜 부모로서 균형 잡힌 전인적 삶을
살아가도록 도와주는 것.
③ 정문자(1992) : 부모를 직접적인 대상으로 하여 자녀의 발달 및 성장을 도모하고
부모역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데 도움을 주는 조직적인 교육활동.
④ 이재연(1992) : 부모로 하여금 자녀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증가시켜 부모의 이전의
사고와 감정, 행동을 바꾸도록 하고, 동시에 자녀를 양육하는 새로운 방법을 습득하도록
도와주는 다양한 교육적 경험.
⑤ Brock과 동료들(1993) : 가족에서나 아동양육기관에서 아동양육방법에 대한 지식을
높이고 변화시키려는 조직화되고 체계적인 노력.
⑥ Heath(1995) : 부모와 자녀의 발달과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태도, 통찰과 이해를 높이는
과정뿐만 아니라, 부모자녀관계와 부모의 자녀의 발달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과정.
⑦ Carter(1996) : 부모와 아이들을 돌보는 사람들에게 자녀들을 건강하게 양육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 주고 자신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제안된 프로그램, 지원 서비스나 자원.
⑧ 미국부모교육네트워크(National Parenting Education Network) : 부모와 그들
자녀들의 발달과 그들 간의 관계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이에 대한 태도, 이해와
통찰을 확장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과정.
2) 목적과 기본 가정
⑴ 부모교육의 목적
∙ 부모역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부모들이 선택할 수 있는 대안적 부모역할 모델을 제공함.
∙ 인간발달과 관계에 대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가르치고, 지역사회에서 가능한 자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러한 교육은 가족의 기능과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⑵ Smith와 동료들(1994)의 NEPE(National Extension Parent Education) Model에서의
부모교육에 대한 기본 가정
① 부모는 아동의 일차적인 사회화 담당자이다.
② 부모의 태도, 지식, 기술과 행동은 부모교육의 노력에 의해 긍정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③ 부모역할은 연구와 경험을 통해 강화될 수 있는 학습된 기술이다.
④ 부모교육은 부모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기여할 때 가장
효과적이다.
⑤ 부모자녀관계는 다중적인 사회와 문화 체계에 의해 영향 받고 그 안에 포함되어 있다.
⑥ 프로그램은 부모들의 다양성에 반응적이어야 한다.
⑦ 효과적인 부모교육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⑧ 부모와 자녀 양쪽 요구가 다 맞추어져야 한다.
⑨ 부모교육의 목적은 부모(혹은 양육자)를 교육하고 강화하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보호와 돌봄, 능력 있고 건강한 아동발달을 더 잘 촉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3) 부모자녀관계교육
∙ 지금까지 부모교육은 주로 부모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을 의미하게 때문에 체계론적
관점에서 관계로서의 부모자녀관계가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음.
∙ 평균수명이 길어지고, 자녀의 수가 줄어들면서 부모자녀관계의 강도나 기간이 과거보다
길어지고 있음.
∙ 조부모가 손자녀의 중요한 양육자로 대두되고 있음.
∙ 부모교육의 교육대상은 부모 개인뿐만 아니라 주모자녀의 체계를 다룰 수 있으며,
발달론적 관점에서 영유아기, 아동기, 청소년 자녀와 성인 자녀와의 관계도 포함됨.
⇨ 이러한 양상과 관계를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인 ‘부모자녀관계교육’이라는 용어를 사용하 되, 기존의 부모교육의 개념도 함께 적용됨. |
'가족생활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46. 부모자녀관계교육의 내용 (5) | 2023.11.09 |
---|---|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45. 부모자녀관계교육의 효과 및 역사 (7) | 2023.11.08 |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43. 부부관계 향상교육의 실제 (6) | 2023.11.06 |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42. 부부관계 향상교육의 이해 (5) | 2023.11.05 |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 아동학 등 가족생활교육 핵심 요약 41. 결혼준비교육 (6) | 2023.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