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기관의 마력과 회전력
마력이란 동력(출력)의 단위이며, 단위 시간당 일의 능률을 표시한 것이다.
1HP=75 kgf.m/s =736 W =632.3 kcal/h
가. 지시마력(IHP)
지시마력(indicated horse power)이란 실린더 내부에서 실제 발생한 마력이며, 지압
계 선도 상에 나타난 압력에 의한 마력이다. 지시마력을 IPS라 하면
● 4행정 사이클 기관
● 2행정 사이클 기관
나. 제동마력(축 마력 또는 정미마력)
제동마력(brake horse power)이란 실린더 내에서 발생한 지시마력에서 기계적 손실
을 뺀 것이다. 즉 크랭크축에서 발생한 마력이며, 실제 기관의 출력을 나타낸 것이다
다. 연료마력
연료마력(petrol horse power)은 연료의 저위 발열량, 연료 소비량, 비중, 시험시간
등을 알면 산출할 수 있다.
라. SAE마력
SAE마력은 공칭마력이라고도 부르며, 지시마력을 간략하게 표시한 것이며, 차량의
세금을 부과하는데 사용하므로 과세마력이라고도 부른다. 이 마력은 실린더 안지름과
실린더 수를 알면 산출할 수 있다. SAE마력은 1906년 영국 왕실 자동차협회(royal auto
motive club)에서 제정하였다고 하여 그 머리글자를 따라 RAC 마력이라고도 한다.
● 실린더 안지름이 mm인 경우
● 실린더 안지름이 inch인 경우
마. 회전력
크랭크축 회전력은 중속에서 가장 크고, 최고 회전속도에서는 적어진다. 이것은 회전
속도에 따라 연소 압력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피스톤에 연소가스 압력 Po작용할 때 피
스톤 핀과 커넥팅로드를 통하여 크랭크 핀과 직각 방향의 힘 P1이 가해졌을 때 P1과 크
랭크 핀의 길이 r과의 곱이 회전력이 되며 이것이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려고 한다. 이때
동일한 기관에서는 폭발압력이 높을수록 커진다.
바. 마력과 회전력의 관계
제동마력은 크랭크축의 회전력에 의해 단위 시간에 한 일이므로 제동마력과 회전력
사이에는 다음 관계 공식이 성립한다.
'자동차기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공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9. 실린더블록과 실린더 (8) | 2023.06.03 |
---|---|
자동차공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8. 연료소비율 및 가솔린기관과 디젤기관의 차이 (5) | 2023.06.02 |
자동차공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6. 기관의 배기량과 압축비 (21) | 2023.06.01 |
자동차공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5. 기관의 열효율과 사이클 (67) | 2023.05.31 |
자동차공학과, 자동차정비기능사 등 내연기관 필수과목 자동차기관 요점 4. 내연기관의 작동원리 일반 (17) | 2023.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