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 인공 처리의 표기에 대한 규정
CIBJO - 1961년에 설립된 CIBJO(Confederation Internationale de la Bijouterie, Joaillerie Orfèvrerie, des Diamants, Perles et Pierres : 세계주얼리연맹)는 국제 보석 산업의 발전을 위해 회원들의 의견을 모아 보석과 주얼리의 검사 및 표기 방법 등에 관한 표준화 그리고 다양한 등급 시스템 제도를 규정하여 보석과 주 얼리의 국제적으로 대두되는 현안 등을 논의하여 균형적으로 통합하고 소비자 신뢰 확보를 우선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유럽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유관기 관이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으며, 우리나라는 지난 2003년에 한국보석협회가 가 입하였다. CIBJO는 유색보석, 다이아몬드, 진주 그리고 귀금속에 관한 규정(rule) 을 담고 있는, Blue book 이라고 불리는 보석과 귀금속에 관련된 규정집이 있 다. 이 Blue book은 다이아몬드, 유색보석, 진주, 보석감정원 등 보석과 주얼리 업계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위원회에서 각계의 의견을 모아 만든 규정집이며, 지 속적으로 개정되고 있다. ICA - ICA(International Colored Gemstone Association : 세계유색보석협회)는 전세계 보석 산업을 대표하여 1983년에 설립된 비영리단체이다. 보석을 생산하 는 국가와 소비하는 국가 사이의 의사소통을 향상시키고자 일관된 표준과 공통 으로 사용될 수 있는 보석 용어 명칭법을 제정하고 국제적 보석의 판촉과 홍보, 교육을 후원하고 있다. 미국 FTC -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 : Federal Trade Commission)는 주기적 으로 주얼리 거래를 위한 지침서를 발행하고 있다. FTC는 단지 미국에서만 적 용되지만, 많은 나라에서 그 지침을 종종 받아들이고 있다. |
(1) 일본 AGL 규정(일본 보석감별단체협의회)
1) 인핸스먼트의 규정과 처리 방법
그 보석이 지닌 잠재적인 아름다움을 끌어 낼 목적으로 행해진 것
- 가열
- 투명도, 광택의 개량을 목적으로 한 무색재의 침투 등
2) 트리트먼트의 규정과 처리 방법
그 보석이 지닌 본래의 성질과는 관계없이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방법에 의해 색 또는
외관이 처리된 것.
- 착색(염색을 포함)
- 코팅
- 표면 확산
- 방사선 조사
- 착색 물질의 침투
- 결함의 은폐 또는 보강을 목적으로 이루어진 무색재의 침투
- 충전 등
(2) CIBJO(세계주얼리연맹) 규정
1) 소재의 분류
① 천연물질 : 인간의 간섭 없이 완전히 자연에 의해 형성된 물질
② 인공제품 : 일부 또는 전부가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제품
2) 인공 처리된 보석 및 유기물질의 처리방법과 표기
① 반드시 공개해야만 하는 처리방법
- 방사선 처리에 의해 색이 변경된 것
예) 쿤자이트, 투어멀린, 옐로 사파이어, 토파즈 등
- 확산처리(디퓨전)나 화학처리 또는 착색제를 이용하여 색을 변경한 것
예) 루비, 사파이어 등
- 플라스틱, 유리와 같은 고화물(固化物)을 이용하여 보석의 균열 및 캐비티를 충전
처리한 것
예) 루비, 투어멀린, 에메랄드, 오팔 등
CIBJO에서는 위와 같은 경우 보석의 거래시 ‘방사선 처리된’ 또는 ‘인공적으로 착색
된’ 또는 ‘처리된’이라는 표현을 애매하지 않고 분명하게(보석의 이름과 동일한 강조와
조건으로) 보석명 옆에 반드시 덧붙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② 일반적인 거래관행으로서 알려져 있는 처리방법
- 무색오일 또는 왁스와 같은 무색 물질을 보석에 충전 처리한 경우
예) 에메랄드, 비취, 터키석 등
- 열처리만 되어 있으며, 보석의 색을 영구적으로 변화시킨 경우
예) 호박, 커런덤, 베릴, 수정, 조이사이트, 투어멀린, 토파즈 등
- 열처리 또는 산처리, 화학적 착색에 의해 아게이트의 색을 변화시킨 경우
예) 커닐리언, 오닉스 등
- 산호 또는 아이보리를 표백시킨 경우
(3) ICA(세계유색보석협회) 규정
1) N.E.T. 시스템
N.E.T. 시스템은 ICA 회원들의 통일성과 소비자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보석의 처리 과정을 3개의 카테고리로 나누어 N(natural), E(enhancement),
T(treatment)로 표기한다. N, E는 일반적인 업계 관행에 속하는 것을 말하며, T는 정
확한 설명이 필요한 처리이다.
① N은 천연 원석에 일련의 연마 작업만을 가한 것을 말하며, 연마 작업 외의 그 어떤
과정이라도 한 단계 더 거친 보석은 E나 T에 속한다.
② E는 두 가지의 경우가 있다. 첫 번째는 일반적인 가열이 행해진 유색 보석이며, 두
번째는 연마 작업 이외에 무색 물질의 침투에 의하여 투명도가 향상된 경우이다.
③ T는 유색물질의 침투와 같이 N, E이외의 처리가 이루어진 경우이며, 처리과정에
대한 정확한 표기가 필요하다.
(4) 미국 FTC(연방공정거래위원회) 규정
1) 처리된 보석의 공개에 관한 지침
보석이 처리되었고, 그 처리가 비영구적이거나, 특별한 주의를 요한다는 것을 안다
면, 반드시 공개해야 할 의무가 있다. 다음의 예는 대개 비영구적이거나, 특별한 주의를
요하기 때문에 공개되어야 한다. 코팅, 충전, 방사선 처리, 열처리, 방사선 조사, 유색
또는 무색 오일 처리나 에폭시 같은 수지, 왁스, 플라스틱, 글라스의 사용, 표면 확산 처
리, 염색 등이 있다.
2) 모조품에 대한 지침
모조품 또는 유사석을 칭할 때, ‘루비’, ‘사파이어’, ‘에메랄드’ 또는 다른 보석명과 같
은 용어의 단독 사용을 금한다. 천연 보석이 아니라는 사실을 분명히 나타내는 ‘모조품’, ‘유사품’(또는 비슷한 뜻의 용어)이란 용어를 기입해야 한다.
3) 합성과 관련된 단어와 용어에 관한 지침
천연보석이 아닌 보석에 ‘루비’, ‘사파이어’, ‘에메랄드’ 또는 다른 단독 보석명과 같은
용어의 사용을 금하고 있다. 합성석은 그에 상응하는 천연 대응물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광학적, 물리적, 화학적 특성이 있어야하며, 모든 합성석은 합성이라는 용어가 보석명
앞에 표기되어야 하고 동일하게 눈에 띄어야 한다.
(5) 국내 보석류 규정안
보석이란 용어는 천연보석만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합성석, 인조석, 모조석 등의 인공
적인 생산물에는 사용하지 않으며, 인위적인 수단이 가해지지 않은 자연계에서 생성된
보석 물질(광물, 암석, 유기물)에는 모두 ‘천연’이란 접두어를 붙인다.
1) 인핸스먼트의 표기
인핸스먼트의 정의에 부합되더라도 인핸스먼트의 목적에서 현저히 벗어나거나 결과
가 영구성에 현저한 문제가 있는 경우는 인공 처리로 분류한다. 그리고 인핸스먼트의
경우 그 내용에 관한 코멘트를 기록해야 한다.
2) 트리트먼트의 표기
트리트먼트가 확실한 경우, 처리란 용어를 기록해야 함과 동시에 그 방법에 대한 코
멘트도 기록해야 한다. 예를 들어 착색 처리, 함침 처리 등으로 표기한다. 그러나 처리
가 널리 행해지고 있는 보석일지라도 그 확증을 얻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처리란 용
어는 부가하지 않고 그 뜻을 코멘트 한다.
'보석 감정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92. 종 및 변종의 분류 2 (0) | 2023.05.07 |
---|---|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91. 종 및 변종의 분류 1 (0) | 2023.05.06 |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89. 인공 처리 (0) | 2023.05.05 |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88. 기타 처리 (0) | 2023.05.04 |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87. 메꿈 처리 (2) | 2023.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