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7 장 노인교육기관의 유형과 특성
1. 노인여가복지시설 소개
시설 | 설치 목적 | 대상자 | 설치 |
노인 복지관 |
노인의 교양ㆍ취미생활 및 사회참여활동 등에 대한 각종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과 소득보장ㆍ재가복지, 그 밖에 노인의 복지증진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 | 60세 이상의 자 | 시장․군수․ 구청장에 신고 |
경로당 | 지역노인들이 자율적으로 친목도모․취미활동․공동작업장 운영 및 각종 정보교환과 기타 여가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소를 제공 | 65세 이상의 자 | 시장․군수․ 구청장에 신고 |
노인 교실 |
노인들에 대하여 사회활동 참여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건전한 취미생활․노인건강유지․소득보장 기타 일상생활과 관련한 학습 프로그램을 제공 | 60세 이상의 자 | 시장․군수․ 구청장에 신고 |
시․도 | 65세이상 노인인구 (2012.12.31 주민등록 인구기준) |
합 계 | 노 인 복 지 관 | 경 로 당 | 노 인 교 실 | |
시설수 | 종사자수 | |||||
합계 | 5,980,060 | 64,077 | 300 | 4,000 | 62,442 | 1,335 |
서울 | 1,105,583 | 3,640 | 59 | 1009 | 3,229 | 352 |
부산 | 442,199 | 2,289 | 20 | 277 | 2,102 | 167 |
대구 | 274,152 | 1,462 | 11 | 125 | 1,408 | 43 |
인천 | 267,059 | 1,439 | 13 | 174 | 1,391 | 35 |
광주 | 144,732 | 1,288 | 7 | 84 | 1,242 | 39 |
대전 | 142,979 | 794 | 6 | 81 | 774 | 14 |
울산 | 85,736 | 777 | 8 | 92 | 745 | 24 |
세종 | 17,214 | 300 | 0 | 0 | 293 | 7 |
경기 | 1,135,242 | 9,129 | 51 | 880 | 8,912 | 166 |
강원 | 241,694 | 2,977 | 10 | 135 | 2,948 | 19 |
충북 | 215,245 | 3,992 | 16 | 240 | 3,961 | 15 |
충남 | 309,840 | 5,562 | 13 | 198 | 5,469 | 80 |
전북 | 303,586 | 6,527 | 21 | 218 | 6,423 | 83 |
전남 | 366,524 | 8,657 | 28 | 212 | 8,561 | 68 |
경북 | 437,519 | 7,658 | 13 | 97 | 7,535 | 110 |
경남 | 414,831 | 7,162 | 18 | 143 | 7,053 | 91 |
제주 | 75,925 | 424 | 6 | 35 | 396 | 22 |
- 노인여가복지시설 중 대부분은 경로당(97.4%)이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노인교실(2.0%), 노인복지관(0.6%)임
- 서울, 부산, 대구 등의 도시지역은 경기, 강원, 충북 등의 비도시지역에 비해노인인구수에 따른 전체적 노인여가복지시설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음
- 노인에게 교육의 기회 제공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노인교실의 수는 도시지역이 비도시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음
시설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노인복지관 | 228 | 237 | 259 | 281 | 300 |
경로당 | 57,930 | 59,543 | 60,737 | 61,537 | 62,442 |
노인교실 | 1,260 | 1,280 | 1,464 | 1,557 | 1,335 |
소 계 | 59,422 | 61,065 | 62,469 | 63,375 | 64,077 |
- 노인여가복지시설의 전체적 숫자는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임
- 노인복지관과 경로당은 꾸준히 증가하는 반면에 노인교실은 2011년 이후 감소세임
2. 노인(종합)복지관에서의 노인교육
(1) 현황
사업 | 세부 프로그램 |
평생교육지원 | 한글교실, 외국어교실, 교양교실, 정보화교육, 역사교실, 예비노인은퇴준비 프로그램 등 |
취미여가지원 | 음악(노래교실, 민요・풍물교실 등), 미술(서예, 수공예 등), 원예, 다도교실, 연극, 운동 등 |
고용지원 | 노인일자리사업, 고령자취업알선, 취업자 사후관리, 공동작업장, 은퇴준비교육 등 |
건강생활지원 | 건강교육, 건강상담, 건강교실(건강체조, 기체조, 요가 등), 독거노인지원 사업(기존 재가사업) 등 |
정서생활지원 | 죽음준비교육, 노인자살예방사업, 노인문제상담, 복지정보 및 상담 등 |
사회참여지원 | 자원봉사활성화 사업, 동아리 및 클럽 활동 지원, 교통편의 서비스 등 |
소득지원 | 퇴직 후 경제생활 적응, 경제교육, 저소득층 후원금 연결 등 |
- 실제적으로 노인교육이 가장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기관임
- 지방자치단체는 노인복지관을 설치한 후 직접 운영을 할 수 있지만 사회복지법인 또는 비영리 법인과 위탁계약을 체결하여 운영하는 것 가능
- 지방자치단체 이외의 자가 노인복지관을 운영하고자 하는 경우 시장, 군수, 구청장 등에 신고서 제출
-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에 따르면 노인복지관이 종합복지센터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사업 운영 필요
(2) 과제 및 발전 방향
1) 평생교육법상 평생교육시설로 분류되어 있지 않음
- 노인복지법상 ‘노인여가복지시설’로 구분되어 있음
- 평생교육법 상 준 평생교육시설로 지정하여 평생교육과 관련한 정책과 사업운영 필요
2) 보다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요구됨
- 주로 교양, 문화, 예술과 관련된 여가 선용과 관련한 교육에 치중됨
- 문자해득교육, 직업능력향상교육, 시민참여교육 등의 프로그램 운영 필요
3) 교육과 관련한 인력보강이 요구됨
- 노인복지법에서 사회복지사의 채용에 대한 규정 존재
- 평생교육사, 전문 강사 등에 대한 채용 확대 필요
3. 경로당에서의 노인교육
(1) 현황
- 노인이 자율적으로 친목도모, 노후건강유지, 소득보장 등 기타 일상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활동을 하는 장소를 제공하기 위한 시설
- 2012년 현재 전국에 약 6만 2천 여 개가 설치되어 있어 노인여가복지시설 중 약 97% 차지
- 면적: 20-30평(45.0%), 10평-20평(20.2%), 30평-40평(18.8%), 40평 이상(12.2%)
- 회원 수: 20-39명(52.9%), 40-59명(24.5%), 60명 이상(11.8%), 19명 이하(10.8%)
- ‘경로당 운영혁신사업’을 통해 노인대상 교육프로그램 운영 중(요가, 노래교실, 레크리에이션, 수족침, 사물놀이, 댄스, 건강증진 교육 프로그램 등)
프로그램 종류 | 대도시 | 중소도시 | 군지역 | 전체 |
건강관련 | 44.1 | 29.0 | 25.3 | 29.7 |
교양 | 11.2 | 9.1 | 5.5 | 7.8 |
정보화 | 4.6 | 2.4 | 1.3 | 2.3 |
취미ㆍ오락 | 44.5 | 34.1 | 25.2 | 31.8 |
자원봉사활동 | 13.5 | 19.5 | 5.8 | 12.6 |
소득연계사업 | 3.0 | 3.0 | 2.4 | 2.7 |
운동 | 33.9 | 17.6 | 15.6 | 19.2 |
미실시 비율 | 25.1 | 40.7 | 50.8 | 42.8 |
(2) 과제 및 발전 방향
1) 교육 프로그램의 제공 및 운영 기관 특화 필요
- 현재 보건복지부, 대한노인회, 노인복지관 등에서 각각 지원 중
- 이들 중 교육을 지원할 특화 기관 선정 필요
2) 노인교육 활성화를 위한 재정적 지원 필요
- 보건복지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금은 주로 운영비 집중되어 있음
- 노인의 다양한 능력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필요
3) 지역사회의 보다 많은 관심 필요
- 의료보건기관(24%), 지자체(23%), 노인복지관(16%), 교육기관(2%)과 연계 중
- 보다 많고 다양한 지역사회 단체와의 협력 필요
3. 노인교실에서의 노인교육
(1) 현황
- 1989년 보건복지법상 노인대학, 노인학교 등을 '노인교실'로 명칭을 통일하여 노인여가복지시설로 구분함
- 1978년 문교부(현 교육부)는 ‘학구단위 노인교실 설치 요강’을 만들어 전국의 약 7천 개의 국민학교(현 초등학교)를 개방하여 학군단위의 노인 교실을 개설하고 운영비 지원
- 1981년부터는 문교부에서 노인교실의 운영을 ‘대한노인회’에 위탁하여, 국민학교 교실을 이용하여 월 1회 노인교육 프로그램 운영
- 1987년 정부의 노인학교 지원 중단
- 이후에도 대한노인회는 독자적으로 ‘노인학교’/‘노인대학’을 설립함
- 2012년 전국의 1,335개 설치됨(보건복지부, 2013)
- 지자체에 미등록 기관들이 많음
- 운영주체: 2011년 종교단체(54.9%), 대한노인회(20.5%), 각종 복지관(8.4%), 개인(6.9%)
- 건물면적: 40평 이상(76.8%), 30-40평(11.1%), 20-30평 (6.8%)
- 사용교실 수: 1개 이하(47.8%), 3개 이상(38.7%), 2개(13.5%)- 수입원: 정부보조금(53.1%), 기타 수입금(21.8%), 회원회비(11%), 자체사업수입금(10.2%)
- 교육 프로그램: 건강교육(96.8%), 기초교양교육(81.7%), 노인복지교육(79.3%), 취미교육(72.1%), 가족생활교육(71.7%)
(2) 과제 및 발전 방향
1) 지방자치단체의 실질적 지도와 감독이 거의 없음
- 노인의 여가선용을 위한 교양 및 예체능 위주의 교육과 관련한 사업 지원 필요
- 평생교육법 상 노인교실을 평생교육시설로 구분하고, 지방자치단체의 평생교육 관련 부서 또는 교육청에서 지원 필요
2) 노인교실과 지역사회의 기관과의 네트워킹 확대 필요
- 협력 기관: 의료보건기관(56.1%), 지방자치단체(47.5%), 자원봉사센터(28.7%), 노인 또는 사회복지관(25.8%)
- 지역사회의 다양한 기관과의 네트워킹을 통해 강사 파견, 자원봉사자 제공, 재정 지원 등의 다양한 협조 실시
4. 대학 내 명예학생제도
(1) 현황
- 학부생들이 듣는 수업을 노인에게 개방하고 일정 기간 동안 일정 학점을 수 강할 경우 총장 명의로 명예 졸업장을 수여하는 제도
- 노인에게 높은 수준의 학문을 익힐 수 있는 기회, 젊은 세대와 접촉할 수 있는 기회, 비슷한 분야의 관심을 갖고 있는 동료 노인들을 만날 수 있는 기회 제공
- 2014년 현재 경북대학교, 전북대학교, 안동대학교, 백석대학교 등에서 운영 중이며, 충북대학교와 상명대학교는 2014년 이후로 운영을 하고 있지 않음
대학교 | 지원대상 | 수강과목 | 학기당 최대 학점 |
최대 수강기간 |
수료 취득학점 |
경북대학교 | 55세 이상 | 교양과목 | 9학점 | 6학기 | 30학점 |
전북대학교 | 45세 이상 | 학부생 수강하는 전 과목(의료,예술전공과목 제외) | 9학점 | 6학기 | 30학점 |
안동대학교 | 35세 이상 | 교양과목 | 6학점 | 제한 없음 | 20학점 |
백석대학교 | 50세-70세 | 일부학과 전공과목(어문학부, 정보통신학부 등), 교양과목 | 8학점 | 6학기 | 30학점 |
(2) 과제 및 발전 방향
1) 노인학생과 대학생 및 교수와 활발한 상호작용 필요
- 현재 대부분의 대학에서 노인 명예학생과 일반 대학생, 교수간의 상호작용이 부족
- 노인학생, 일반대학생, 교수 대상으로 서로를 이해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 및 교육 제공 필요
2) 노인 명예학생을 위한 다양한 제도 마련 필요
- 학점이수 및 효과적 대학생활을 위한 다양한 제도 필요
- 학부생 도우미, 담임 교수제도, 명예학생 동아리 운영, 대학 생활 오리엔테이션 진행, 상담제공 등
3) 졸업생 대상으로 한 심화과정 개설 필요
- 수료한 학생들의 지속적 교육요구 부응이 필요함
- 명예대학원생제도(경북대), 강사 및 자원봉사자활용 등 필요
5.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서의 노인교육
(1) 현황
- 2013년 총 405개의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26,952개의 프로그램, 883,176명의 학습자 수강 중
- 2013년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서 107개의 노인대상프로그램이 개설 중이며, 총 8,971명의 노인이 프로그램 수강 중
노인대상 프로그램 수 | 노인 학습자 수 | |
총계 | 107 | 8,971 |
전문대학 | 29 | 1,932 |
교육대학 | 2 | 115 |
대학 | 74 | 6,888 |
대학원 대학 | 2 | 36 |
(2) 예시 프로그램
1) 대구대학교 평생교육원의 '사회지도자교육과정‘
- 만 60세 이상 수강 가능
- 일반과정과 고급과정 운영기간은 1년(32주), 하루에 2시간 주 2회 운영
- 각 과정은 공통강의(건강, 교육, 문학, 복지, 역사, 정보통신, 예술, 경제 등)와 선택강의(가요, 댄스스포츠, 탁구, 게이트볼, 서예, 농악 등)로 구성
2) 부산대학교 평생교육원의 '경헌실버 아카데미‘
- 만 60세 이상 수강 가능
- 일 년 2학기제. 각 학기별로 14주 동안 진행
- 교양교육(건강, 문화, 체육, 자치활동 등) 110시간, 컴퓨터 교육 30시간 운영
- 2008년이 수료생이 1,000명 기록
(3) 과제 및 발전 방향
1) 보다 활발한 사회 참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필요
-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여가 선용을 위한 교양 강좌
- 노인의 전문 기술 및 경력을 활용한 자원봉사자 양성, 지역사회 개발을 위한 정치활동 참여, 대학에서 젊은 세대와의 활동 증진 등의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필요
2) 정책적 차원의 지원 필요
- ‘대학 중심 평생학습 활성화 지원사업’은 주로 선취업 후진학 사업, 4050세대의 재취업 교육이 중심
- 고령자의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추가 정책적 지원 필요
6. 종교시설에서의 노인교육
(1) 현황
- 2013년 65세 이상 인구 중 33.4%가 종교단체에 참여하고 있음
- 종교시설은 노인교육 운영을 신고할 의무가 없기 때문에 정확한 현황을 파악하기 어려움
- ‘한국기독교노인학교 현황(2013)’에 따르면 기독교 교회는 총 3,209개의 노인학교 운영 중
‣ 등록한 학생 수는 24만8340명
‣ 노인학교 등록인원 1∼10명(16.8%), 11∼20명(14.1%), 101~200명(13.7%)
‣ 매주 1회 이상 프로그램 운영(92.6%), 주 1회 이하(3.2%), 주 2회 이상(2.4%)
- 2013년 천주교 서울대교구는 120개의 성당에서, 부산교구는 50개의 성당에서 노인교육 진행 중
- 천주교 대구교구, 인천교구 등에서도 노인대학연합회를 운영 중
- 2008년 불교 조계종에서 22개의 노인대학 운영 중
(2) 과제 및 발전 방향
1) 보다 많은 관심과 체계적 행정 시스템 설립 필요
- 각 종교 및 종파 별로 노인교육에 대한 현황 파악 부족
- 보다 많은 관심과 행정적 지원 필요
2) 노인의 나이 차이를 고려한 노인교육 진행 필요
- 천주교 서울대교구는 65-79세 노인과 80세 이상의 노인 구분
- 다양한 나이 대의 노인이 갖고 있는 교육요구(예: 죽음준비, 교양교육 등)에 맞는 교육과정 운영 필요
* 연습문제
1. 다양한 곳에서 진행되는 노인교육과 관련한 설명에서 틀린 것은?
① 노인복지관은 노인교육이 가장 활발히 진행되는 곳이다.
② 경로당에서는 가장 많이 진행되는 교육은 취미오락 및 건강 관련 프로그램
이다.
③ 노인교실은 평생교육법상 교육시설로 지정되어 있다.
④ 얼마나 많은 종교시설에서 노인교육을 실시하고 있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
③ 노인교실은 평생교육법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으며, 노인복지법에서
노인여가복지시설로 분류되어 있다.
2. 노인(종합)복지관에서 보다 활발한 노인교육이 진행되기 위해 필요한 사항은?
① 평생교육법상 준교육시설로 지정하여 다양한 평생교육 관련 정책과 사업을 실시해야
한다.
② 노인의 여가복지시설로 활용되고 있으므로 여가선용형 교육에 보다 충실해야 한다.
③ 현재 평생교육사가 배치되어 근무하고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교육부에서
담당해야 한다.
④ 빈곤고에 시달리는 노인들을 위해 소득지원을 교육과 연계하여 실시해야
한다.
① ② 현재 노인복지관에서의 교육이 여가선용형 교육에 편중되어 문제있다. ③ 평생교육사 등 교육 전문 인력이 배치되어 있지 않다. ④ 현재 소득지원사업과
연계하여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3. 노인교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노인복지법상 노인여가복지시설로 분류되어 있다.
② 가장 활발히 진행되는 교육 프로그램은 건강교육과 기초교양교육이다.
③ 의료보건기관, 지방자치단체 등과 전혀 연계되어 있지 않다.
④ 보건복지부에서 실질적 지도와 감독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③ 의료보건기관과 56.1%, 지방자치단체와 47.5% 연계하고 있다.
4. 다음은 어느 시설에 대한 설명인가?
•012년 전국의 1,335개가 설치되어 있다.
•주로 노인단체, 사회봉사단체, 종교단체 및 개인들에 의해 설립・운영되고
있다.
•미등록 기관이 많아 그 숫자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① 노인교실 ② 노인복지관
③ 사회복지관 ④ 경로당
① 노인교실은 법제적 용어로 노인대학, 노인학교, 장수대학 등의 용어로 불리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약 1,300개 시설이 등록되어 있지만 정확한 숫자는 파악하기가 어렵다.
5.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서 이루어지는 노인교육의 특성이 아닌 것은? 2
① 노인을 위한 교육이 여가선용을 위한 교양강좌 수준에 그치고 있다.
② 대학 내에서 젊은 세대와의 활발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③ ‘대학 중심 평생학습 활성화 지원사업’에서 60대 이상 고령자를 위한 교육지원이 더
실시되어야 한다.
④ 대학의 위상을 고려하여 노인의 보다 활발한 사회참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어야 한다.
② 대학 내에서 교육이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대학 내 젊은이들과 노인의 연계가
부족하다.
'노인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학과 필수과목 노인교육론 핵심 요점 요약 정리 9. 노인 취업교육 및 자원봉사교육 (1) | 2022.04.30 |
---|---|
사회복지학과 필수과목 노인교육론 핵심 요점 요약 정리 8. 퇴직준비교육 (0) | 2022.04.29 |
사회복지학과 필수과목 노인교육론 핵심 요점 요약 정리 6. 노인교육관련 법령과 정책 (0) | 2022.04.27 |
사회복지학과 필수과목 노인교육론 핵심 요점 요약 정리 5. 노년기와 학습 (0) | 2022.04.26 |
사회복지학과 필수과목 노인교육론 핵심 요점 요약 정리 4. 노년기의 인지와 정서 (0) | 2022.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