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1 장 조 림 총 론
1. 조림학의 정의
조림학은 삼림을 조성하고 그것을 보육하며 임지의 생산능력을 높여서 인간생활을
풍요롭게 하고자 하는 학문이다.
2. 조림의 기능
1) 임분구조의 조절
수종의 조성 수령의 변이 임관층의 분화와 배치 수간직경급의 분포 등 삼림의 내구구조의 , , ,
변화요인을 인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삼림에서 오는 이익을 올리는 행위
2) 수종구성의 조절
식생천이 과정에서 사람의 힘을 가해서 우세한 분자로 유도해 나아가는 의도
입지조건의 알맞는 유용수종이나 유전자형을 인공번식을 통해 식재 또는 외지에서 수종도입
3) 임분밀도의 조절
수목은 알맞은 밀도로 서있어야함 과밀하거나 과소해서는 안된다 성기면 쓸모없는 수종이 .
나타나 경제성이 떨어지고 과밀하며 생리적으로 쇄약해짐
4) 생산성 향상의 위한 조림
불량한 숲 또는 황폐한임지 산화지등에는 인공적 조림으로 생산성 향상 ,
5) 삼림에 대한 보육적 처리
각종 피해에 대한 을 보호 林
6) 윤벌기의 조절
윤벌기 수목의 경제성을 고려 수령에 상관없이 벌채 이용 조림작업으로 윤벌기 단축 ( ): , , 輪伐期
7) 환경의 보호
입지인자가 생산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이므로 삼림의 생산성을 계속유지하기 위해서는
토양을 보존하고 비옥하게 하는데 힘을 기울여야 한다.
3. 조림작업의 범위
1) 조림작업
(1) : 갱신방법 갱신기간중에 이류어지는 작업
다음세대 임분 예상 세대견인이 잘 되도록 주의해서 성숙목을 벌채 ,
※ 갱신기간 새로운 임분이 들어서고 동시에 기존의 성숙림이 이용 벌채되는 기간 : ,
(2) : ∼ 보육작업 갱신의 끝난후 다음 갱신 작업이 시작되기 전까지의 기간에 실시되는 모든
조림작업
중간기의 적용되는 작업중 벌채가 특히 중요 따라서 보육작업을 보육벌 중간벌로서 강조됨 ,
※ 삼림작업종 한세대 동안에 실시되는 모든 작업 갱신방법과 보육작업 을 ( ) : ( ) 森林作業種
합쳐 체계화시켜 일켣는 말 한 윤벌기 동안의 모든 조림 작업 ( )
갱신기간중의 이루어지는 작업이 후에 숲의 구성 모양 생태학적 성상 이용면이 , , ,
결정되므로 삼림작업종의 명칭은 갱신방법의 명칭과 일치
※ → → 윤벌기 삼림의 조성되어 이용 벌채 갱신이 완료될 때까지의 기간 : ( 삼림의 세대의 길)
※ 나무의 발육단계에 따라 구분
1) 치수 ( , seeding) : 1m 치수 수고 이하의 나무 稚樹
2) 유목 ( , sapling) : 1~3m 유목 수고 의 나무 幼木
3) 성목 ( , pole) : 10~30Cm 성목 흉고 직경 의 나무 成木
4) 성숙목 ( , standard) : 30~60Cm 성숙목 흉고 직경 의 나무 成熟木
5) 노숙목 ( , veteran) : 60Cm 노숙목 흉고 직경 이상의 나무 老熟木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조경-조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업직, 산림직 공무원 및 기사시험 대비 조림학 핵심 필수 요점 정리 2. 임업종자 (1) | 2021.09.1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