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주식] 테마주 및 이슈목록

증시가 어려워도 가는 전기차 관련 섹터! 탄소 중립 등 친환경 정책으로 더 갈 수 밖에 없는 전기차 관련 이슈와 추천종목을 확인해보세요!

728x90
반응형

* 전기차 및 2차전지 관련 이슈 & 주목할 점 

탄소중립이 각국에 중책 과제로 떠오르며 친환경 자동차로의 전환 속도가 더욱 빨라졌다. 가장 빠르게 전기차 전환을 선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유럽 주요 국가에서 현대차와 기아가 7월 전기차 판매 1, 2위에 올랐다. 이에 더해 중국에서 업계 선두주자인 테슬라의 판매량이 급감하며 국내 기업들도 중국 시장의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국내 전기차 업계에 실적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16일 유럽 주요국 전기차 통계 전문 사이트 EU-EVs에 따르면 기아는 7월 스웨덴 전기차 판매 1위를 기록했다. 스웨덴의 자동차시장에서는 순수전기차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의 7월까지 누적 점유율이 29.7%로 친환경차량의 침투율이 높다. 기아는 스웨덴에서 7월 612대의 전기차를 판매해 시장 점유율 24.1%를 기록했다. 1~7월 누적으로는 총 3122대를 팔아 폴크스바겐(5505대)에 이어 2위에 올랐다. 모델별로는 7월에 니로EV가 587대 판매돼 폴크스바겐 ID.3(206대)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또한 유럽 최대 자동차 시장인 독일에서는 현대차가 7월 한달간 2373대의 전기차를 판매해 폴크스바겐에 이어 2위로 조사됐다. 1~7월 누적 판매량은 1만4187대로 폴크스바겐(4만1660대), 테슬라(1만4257대)에 이어 3위이다.

유럽에서 국내 기업의 전기차 판매량이 호조를 보이는 가운데, 중국의 전기차 판매는 급증하고 있지만 업계 선두주자인 미국 테슬라 전기차 수요는 급감하고 있다. 테슬라는 업계를 선도해왔지만 최근 잇단 스캔들로 인해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한 중국에서 인기가 차갑게 식고 있다. CAAM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에서 배터리 전기차, 충전식 하이브리드, 수소연료전지 차량 등 이른바 '신에너지 차량(NEV)' 출하 규모가 전년동월비 164% 폭증한 27만1000대에 이르렀다. 올들어 7월까지 중국내 신차 판매의 10%가 전기차로 채워졌다. 그런데 중국 승용차협회(CPCA)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내 테슬라 자동차 판매대수는 8621대에 그쳤다. 6월에 비해 무려 69% 급감한 규모이다. 지난해 7월에 비해서도 26% 줄었다. 테슬라가 비틀대는 사이 중국 토종업체들과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이 그 틈을 비집고 들어가고 있다. 수십개 새 모델을 출시하며 테슬라의 시장점유율을 잠식하고 있다.

국내 업계 뿐 아니라 정부에서도 전기차 인프라 구축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대구시에서는 전기차 분야 핵심인 '이차전지 산업' 육성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고, 정부 또한 전기차 충전소를 전국에 적극적으로 넓히겠다는 계획이다. 미국 바이든 정부 또한 2030년까지 전기차 판매 비중을 50%까지 확대하고 관련 인프라를 확대한다는 행정명령에 서명하였다. 중국 또한 스타트 기업들이 앞다퉈 전기차 시장에 진출하고 있고, 자국 내에서 홍광 미니가 판매 1위를 기록했다. 이처럼 각국이 앞다퉈 친환경 자동차 전환에 속도를 올리는 것은 범지구적 목표의 핵심이 환경이기 때문이다. 기후변화 대책 및 탄소중립 선언 이후 최근 탄소 과세까지 등장했다. 특히 국내에서 탄소 발생은 높은 수준이기에 업계들은 실적에 큰 영향을 줄 수 밖에 없는 탄소과세에 긴장할 수 밖에 없다.

BCG에 따르면 이런 시장 분위기에 힘입어 2020년 승용차 시장에서 순수 전기차(B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의 비중은 미국 2.2%, 중국 5%, EU 9.3%로 집계됐고 특히 4분기 플러그인의 판매량은 전년 대비 230%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35년에는 그 비중이 90%에 육박할 것으로 내다봤다. 제 2의 반도체라는 수식어와 함께 국내 시장에서도 전기차 판매가 빠르게 늘어가고 있는 가운데, 관련 인프라 구축 및 기업과 정부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 전기차 관련주

* 현대모비스 : 친환경자동차,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전기차, 수소연료전지차용 핵심부품 사업을 영위. 준중형 전기자동차용 구동모터 등을 개발.

* LG화학 : LG그룹 계열의 국내 대표적인 화학기업. 전지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해 신설회사 주식회사 LG에너지솔루션을 설립.

* 파워로직스 : 전기차랑용 배터리 관리시스템 개발에 성공해 양산. 2011년 6월 한국전기연구원과의 공동 연구로 전기 자동차 인프라 구축을 위한 급속 충전기의 상용화 개발을 완료함.

* 기아 : 전기차 배터리 시스템과 충전스탠드를 연결하는 장치인 "전기차용 충전 인터페이스"를 현대/기아차와 한국전력이 공동으로 개발. 국내 최초 양산용 전기차 "레이EV" 출시했으며, 쏘울 전기차도 출시.

* 삼성SDI : 자동차전지(배터리셀, 고전압배터리, 저전압배터리, 전기동력화 장치 등 전기차용 리튬이온전지) 등을 생산/ 판매하는 에너지솔루션 사업부문을 영위.

* 현대차 : 현대자동차 그룹의 국내 대표 자동차 제조 및 판매 업체로 전기차 개발/판매.

* 한온시스템 : 국내 최대 자동차 공조제품 전문 제조업체로 전기차 등 친환경 차량용으로 최적화된 차량 실내 냉난방 겸용 공조시스템을 공급.

* 성창오토텍 : 차량용 Cabin Filter, 클러스터 이오나이저, 인버터 등과 같은 자동차공조부품 및 전기전장부품 제조 업체.

* 피에스텍 : 2011년 6월 한국전기연구원과의 공동 연구로 전기자동차 인프라 구축을 위한 급속 충전기의 상용화 개발을 완료함.

* LS ELECTRIC : 전기차 전장부품 등의 그린에너지 사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 중. 전기차용 필수 제어장치인 인버터 제조능력 보유.

* 뉴인텍 : 전기차용 커패시터 양산. 전기차와 관련해 국내 최초 고속전기차인 블루온 및 전기버스인 일렉시티 개발사업에 참여한 바 있음.

* SK이노베이션 : SK그룹 계열의 종합에너지기업. 배터리 사업을 영위 중. 친환경 전기자동차 및 ESS에 사용되는 대용량 리튬-이온 배터리를 생산/판매 중.

* 인지컨트롤스 : 준중형 전기차 플랫폼 및 히트펌프식 냉난방 시스템개발. 국내외 주요 전기차용 배터리 생산업체와 협조체계를 구축해 전기차용 배터리 팩 모듈 개발 진행 중.

* 우수AMS : 현대 BlueOn 고속전기차 개발에 참여하여 감속기 핵심부품을 공급한 바 있으며, 테슬라 모델3에 마운트 브래킷을 시제품으로 납품한 바 있음.

* 한국단자 : 친환경차의 고전압커넥터 및 모듈 등을 제조, 판매. 현대 BlueOn 고속전기차 개발에 참여하여 고전압와이어링의 커넥터 부품을 공급한 바 있음.

* KEC : 전기자동차 및 전기스쿠터에 적용되는 BMS 전용 파워모듈 출시.

* 원익피앤이 : 2차전지 후공정 장비 제조업체.

* 지엠비코리아 : 자동차부품 제조업체. 친환경 자동차 기술 개발에 발맞춰 전기자동차용 전동식 워터펌프 등을 개발 완료해 양산 중.

* 상신이디피 : 2차전지 부품 전문생산업체. 삼성SDI에 전기자동차용 2차전지 CAN을 공급 중.

* 삼화콘덴서 : 국내 유일의 콘덴서 종합 메이커로 관계사인 삼화전기가 생산 중인 전해콘덴서를 제외한 거의 모든 콘덴서를 생산.

* 엠플러스 : 파우치형의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 이차전지 조립공정 장비 제조업체. 조립 장비는 공정 순서대로 스태팅기, 노칭기, 패키징기, 디개싱기 등으로 구분.

* 신흥에스이씨 : 리튬이온 2차전지 제조업체. 리튬이온전지 부품제조업, 전지 팩모듈 제작업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 중.

* 성문전자 : 콘덴서용 금속 증착 필름을 제조해 코웰패션, 삼화콘덴서 등 콘덴서 회사에 납품.

* 대창스틸 : 계열회사 (주)대창모터스가 초소형 전기차 '다니고3', 화물 전기차 '다니고 밴' 등을 생산/판매.

* 코스모신소재 : 전기자동차 및 중대형배터리 시장에 진입하고자 High-Ni계 설비투자 및 양극활물질 개발 완료.

* 아모그린텍 : 주력 제품으로 전기차 등의 파워 모듈에 사용되는 Powder Core 등이 있음. Tesla 모델S, BYD의 SUV용 전기차 OBC 모듈에 파워 효율 향상용 부품 납품.

* 휴맥스 : 전기차 충전기 제조 및 서비스 전문기업 휴맥스EV를 자회사로 보유.

* 명신산업 : 핫스탬핑 공법을 활용한 자동차용 차체 부품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 화신 : 자동차 섀시 및 차체의 각종 부품을 생산하여 납품하는 자동차 부품 전문 업체.

* LG전자 : VS사업부문에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제품, 전기자동차용 구동부품, 자율 주행 부품 및 자동차 램프를 생산, 판매 사업 영위.

이 밖에 스카이이앤엠, 엘앤에프, 포스코 ICT, 코다코, 만도, 우리산업, 상아프론테크, SNT모티브, 디아이씨, 씨아이에스, 엠에스오토텍, 쎄미시스코, 보성파워텍, 로스웰, 삼보모터스, 캠시스, 신흥에스이씨, 영화테크, 세원, 알파홀딩스, 삼화전자, 에슽트래픽, 유에스티, 삼화전기, 삼기, 트루윈, 아이에이, 센트랄모텍, SKC, 계양전기, 나라엠앤디, 현대위아, 네오티스, 포스코강판, 유일에너테크, 현대공업, 한국앤컴퍼니, 경창산업, 대유플러스 등이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