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사초의 중요성 및 분류
2.1 사초의 중요성
ㅇ 사초 : 사료로 이용되는 초지 및 사료작물을 의미
ㅇ 사초의 중요성 : ①완전한 사료, ②초식동물에 필수적인 사료, ③경제적인 사료
- 농후사료 과다 급여 소 문제점 : 대사성 질병인 부전각화증 발생, 요석증으로 요로폐쇄 현상 발생, 지나친 농후사료로 인한 과비로 지방간 발생과 분만장애 수명단축
ㅇ 사초의 생산현황(‘05) : 초지관리면적 44만ha, 감소추세. 사료밭작물과 답리작은 97만ha, 총 141만ha
ㅇ 사초 공급능력(‘02) : 옥수수 32%, 호밀 31%, 수단그래스 18%
ㅇ 수입조사료 : 34만톤(‘99)->70만톤(‘05) 2배 증가
<표2-3> 축우사육에서 조사료와 농후사료 공급현황
연도 | 농후사료(A) | 조사료(B) | 계(A+B) | 조사료 비율(%) | ||||
초지 | 사료작물 | 볏짚 | 수입 | 소계 | ||||
2005 | 488 | 31 | 99 | 213 | 70 | 413 | 901 | 45.8 |
(단위 : 만톤)
- 수입조사료 중 목건초>알팔파 베일. 국내 조사료 자급률 82% 내외
- 수입조사료의 TDN(56~66%), 볏짚은 52%. 수입보다 자급조사료가 30~50% 저렴
2.2 사초의 분류
이용목적에 따른 분류
1)청예용 : 생초를 가공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용, 낙농지대에서 많이 채택, 키 크고 수량이 많은 작물을 재배이용 ; 수단그래스, 호밀, 유채, 귀리
2)방목용 : 키 작고 줄기가 초지위에 포복/지하경을 만들어 가축의 발굽에 잘 견디는 목초 이용 ; 켄터키블루그래스, 페레니얼라이그래스, 톨페스큐, 라디노클로버
3)건초용 : 고초기에 이용하는 목초, 수량이 많고 제조 후 기호성이 좋은 목초 선택 ; 오쳐드그래스, 티머시, 알팔파
4)사일리지용 : 김장독 원리 이용, 매초.엔실리지.매장사료로 불리는 저장사료
- 여름철에 풀을 잘게 썰어 저장고에 저장하고 비닐로 밀봉, 겨울에 이용.
- 사일리지 : 생초에 젖산균이 자라 젖산발효를 일으킨 것, 전분 함량이 높아야 발효가 잘 되므로 전분함량이 많은 옥수수가 가장 좋은 재료, 두과보다 화본과가 더 좋은 재료, 좋은 사일리지 만드는 관건은 사일로에 답압 후 밀봉유지
5)총채용 : 줄기와 이삭을 총체적으로 이용 의미, 지역은 호남지역, 유숙.황숙기에 베어 곤포사일리지로 만들어 TMR로 이용
2. 기상생태적 분류
1)한지형 사료작물 : 북방형 ; 저온에 강하고 고온에 약함
- 생육적온은 15~20℃, 25℃ 이상에서 생육불량, 우리나라 재배목초 대부분은 한지형, 늦봄에 출수와 개화가 되면서 최고의 생장, 고온에 의한 하고현상 발생
2)난지형 사료작물 : 남방형, 열대 및 아열대가 원산지,
- C4식물로 여름철에 높은 광합성 능력 발휘, 대개 1년생, 더운 지방에서만 월동 가능,
- 두과는 레스페데자, 칡이 이에 속함 ; 옥수수, 수수, 수수×수단그래스 교잡종이 중요
3. 생존연한에 따른 분류
ㅇ 발아에서 고사까지 기간에 따라 분류, 보통 1년생, 월년생, 영년생으로 분류
①1년생 : 봄에 발아, 여름에 최대 생육, 그 해에 죽는 사료작물 ; 수단그래스, 수수, 옥수수
②월년생 : 가을 파종, 그해 겨울 월동, 이듬해 생육 시작, 개화결실 후 여름에 죽는 것 ; 이탈리안라이그래스, 호밀 , 귀리 등
③영년생 : 2년 이상 생존하면서 개화, 결실하는 작물 ; 각종 북방형 목초(티머시 오쳐드그래스 등)
4. 식물학적 분류
1)화본과 사료작물 ; 세계 재배작물의 75% 포함, 6개아과 28개 족
①기장아과(Panicoidea) : 열대, 아열대 분포
- 기장족 : 피, 기장, 조
- 쇠풀족 : 수수, 수단그래스, 억새
- 옥수수족 : 옥수수, 염주, 율무
②포아풀아과 : 한냉지역 기원, 온대 한 대 분포
- 김의털족 : 톨페스큐, 켄터키블루그래스, 페레니얼라이그래스, 이탈리안라이그래스
- 보리족 : 보리, 밀, 호밀
- 귀리족 : 귀리
- 갈풀족 : 리드 카나리그래스
- 겨이삭족 : 티모시
③그령아과 : 고온건조지 분포
- 그령족, 왕바랭이족(버뮤다그래스), 잔디족(잔디)
2)두과 사료작물 : 3개 아과, 콩아과만 온대지역 재배
①콩아과 : 루핀족, 토끼풀족(알팔파, 스위트.레드.화이트.크림슨클로버), 벌노랑이족(버드풋트레포일), 나도황기족(코리안레스페데자, 땅콩), 콩족(대두, 칡), 나비나물족(헤어리베치, 완두)
5. 기타
ㅇ 주형 : 웃자라며 다발을 이루는 형태(오쳐드그래스, 크림슨클로버)
ㅇ 포복형 : 켄터키블루그래스, 화이트클로버
<표 2-14> 주요 사초의 학명 | |||
부류 | 보통명 | 속명 | 종명 |
두과목초 | 알팔파 | Medicago | Sativa |
화본과 목초 | 오쳐드그래스 | Dactylis | glomerata |
청예용 사료작물 |
티모시 | Phleum | pratense |
톨페스큐 | Festuca | arundinaceae | |
수단그래스 | Sorghum | bicolor | |
옥수수 | Zea | mays |
※ 혹시 부족하지만 저의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었다면, 단 1초만 투자해 주세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축산] 초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산기사, 농학과, 귀농, 지도사 대비 초지학 요약 정리 - 6. 조사료 생산용 사초 (0) | 2021.05.11 |
---|---|
축산기사, 농학과, 귀농, 지도사 대비 초지학 요약 정리 - 5. 초지용 주요 목초의 특성 (0) | 2021.05.10 |
축산기사, 농학과, 귀농, 지도사 대비 초지학 요약 정리 - 4. 사료작물의 형태 (0) | 2021.05.09 |
축산기사, 농학과, 귀농, 지도사 대비 초지학 요약 정리 - 3. 초지와 자연환경 (0) | 2021.05.08 |
축산기사, 농학과, 귀농, 지도사 대비 초지학 요약 정리 - 1. 초지학의 의의와 중요성 (0) | 2021.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