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 형광성 검사방법
형광성 검사는 보석의 내부와 표면에 자외선을 쬐어서 발광하는 것을 관찰하는 것이
며, 형광성은 보석감별에 결정적인 증거가 되는 경우는 많지 않지만 보석감별의 지표가
될 수 있다. 일부 특정한 보석들은 자외선(UV)형광의 반응으로 천연과 합성을 구분하는
데 도움이 되며 접합석의 판별, 에메랄드의 오일이나 수지 주입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형광성 검사는 장파(long wave : LW)와 단파(short wave : SW)가 부착된 자외선램
프와 무형광의 검은색 배경으로 구성된 자외선 형광기 세트에서 이루어지며 과정은 다
음과 같다.
1) 기름기나 먼지들도 형광을 발할 수 있으므로 검사하기 전에 보석을 잘 닦아야 한
다. 보통 젬크로스로 닦지만 보석이 매우 더럽다면 따뜻한 비눗물에 닦아 스톤을 깨끗
이 한 후, 검사용 케이스 안에 놓는다.
2) 램프를 켜고 LW 또는 SW는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항상 같은 순서로 검사하도
록 한다.
3) 형광기 세트의 윈도우를 통해 보석을 여러 방향에서 관찰하며 자외선이 눈으로 들
어오지 않고, 보석에 비추도록 해야 한다. 보석의 위치를 바꿀 때는 트위저를 사용하는
데, 일반적으로 트위저는 금속으로 되어 있어 자외선을 반사하므로 검사하는 동안에는
트위저로 보석을 잡지 않도록 하고 트위저를 사용해야 한다면 반사되지 않는 검은 물질
로 트위저를 감싸는 것이 좋다.
4) 형광 반응이 강한 보석은 반응이 약한 보석을 압도하여 약한 보석이 무반응으로 보
일 수 있으므로 2개의 보석을 함께 검사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형광은 단순히 빛이 보석에 반사하는 것이 아님을 염두해야 한다. 적색, 보라색,
자주색의 반응은 마치 약한 형광처럼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단파로 형광 검사 시에 반
사 여부를 확인하고 싶다면 창문 유리 조각을 램프와 보석 사이에 놓은 후 관찰한다. 그
리하여 단파는 일반 유리는 통과하지 못하므로 만약 빛이 보인다면 이것은 형광 반응이
아니라 반사 빛인 것이다.
5) 검사하는 장파와 단파의 반응을 각각 기록한다. 만약 형광이 없으면 ‘무반응
(inert)’이라고 표기하고, 형광 반응이 있다면 그 강도와 색을 기록한다. 형광의 강도는
약함(weak : W), 중간(moderate : M), 강함(strong : S)으로 묘사한다. 형광의 색은
대개 색상으로 표시하지만 ‘라이트’ 또는 ‘브라우니쉬’와 같은 수식어를 사용하여 명도와
채도를 표현하기도 하고, ‘쵸키(chalky) 화이트’ 같은 묘사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6) 형광검사 과정에서 인광의 유무 및 정도를 검사할 수 있는데, 어떤 보석의 경우에
는 감별 포인트로서 인광검사가 필요하기도 하다.
'보석 감정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50. 분광기 검사방법 (2) | 2023.04.13 |
---|---|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49. 형광성 검사의 유의사항 (1) | 2023.04.12 |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47. 내포물의 종류 (1) | 2023.04.11 |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46. 침적 현미경 (4) | 2023.04.10 |
귀금속 보석공예사, 보석디자인 전공 등 보석 감정사 요점 정리 45. 조명 방법의 종류 (1) | 2023.04.09 |